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현지조사를 통한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전통생활문화 총서 및 DB 구축
현지조사를 통한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전통생활문화 총서 및 DB 구축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토대기초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4S1A5B4038166
선정년도 2014 년
연구기간 3 년 (2014년 09월 01일 ~ 201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강정원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정형호(전북대학교)
강명구(서울대학교)
최아영
고가영(서울대학교)
남영호
양승조(숭실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앙아시아 고려인 연구를 확대·심화시킬 수 있는 전통생활문화에 대한 통합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전통생활문화와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정리하여 DB화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해제하여 총서로 발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기대효과
  •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① 고려인 전통생활문화 자료를 통한 다양한 학문 연구의 기반 제공 :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전통생활문화와 관련되어 총체적으로 수집된 자료는 다양한 분과학문에 연구의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국내 전통생활문화 연구자에게는 문화 원형 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인류학자나 민속학자에게는 문화가 결합되는 방식이나 소수 민족의 문화가 현지화 되는 방식에 대한 사례들을 제공하는 등 사회학, 역사학, 인류학, 언어학, 문학 등 인문사회과학 전반의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② 비교 연구를 위한 사례 제공 :
    · 코리안 디아스포라 간의 전통생활문화 비교 :
    본 연구를 통한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전통생활문화 자료 수집은 한반도를 떠나 러시아(중앙아시아), 중국, 미국, 일본 등지로 흩어진 코리안 디아스포라에 보존되어 있는 전통생활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 이는 다양한 정치적 사회적 배경에 처해 있는 서로 다른 지역에 위치한 한인 공동체들 내에 공통적으로 보존되고 있는 한민족 문화 원형의 틀에 대한 파악과 현지 문화에 동화되어 변형된 전통생활문화의 다양한 측면들을 비교 분석해 볼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이 보존 전승하고 있는 전통생활문화와 한국사회에 현존하고 있는 전통생활문화를 비교해 볼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정주 한민족 전통생활문화와 이주 한민족 전통생활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데 필요한 토대를 제공한다.

    연구결과의 사회적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① 전통생활문화의 원형에 대한 인식의 깊이 심화 :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이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행한 노력과 고려인 전통생활문화가 현지에서 유지․계승되는 과정을 보여줌으로써 세대가 지날수록 점점 서구화되어 전통생활문화와 멀어지고 있는 한국인들에게 한국 전통생활문화의 원형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
    ② 고려인 전통생활문화를 통한 한류의 가능성 제고 및 방법론 제시 :
    본 연구에서는 중앙아시아 고려인 전통생활문화 중 현지화를 통해 중앙아시아인들도 공유하고 있는 것들을 보여줌으로써 현재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국 문화의 해외 전파(예를 들면, 한류 등) 가능성을 제고하는데 일조하고, 더불어 이와 관련된 연구를 위한 다양한 방법론들을 제시한다.
    ③ 한국 내 외국인 거주자들에 대한 인식 제고: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된 고려인들은 정착 과정에서 겪은 경제적 고통과 문화적 차이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의 삶에 대한 기록과 이들이 간직하고 있는 전통생활문화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국내에 들어와 있는 외국인 거주자들의 생활 방식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이들을 돕는 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근거 자료를 제공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팀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자료를 수집할 것이다.
    먼저, 지역적으로는 중앙아시아 국가들 중 고려인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우즈베키스탄(3개 도시와 그 주변 지역), 카자흐스탄(3개 도시와 그 주변 지역), 키르기즈(2개 도시와 그 주변 지역)에서 자료를 수집할 것이다.
    다음으로 자료는 다음과 같은 4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수집할 것이다.
    ① 개인:
    - 구술 인터뷰를 통해 개인의 생애사와 그 속에 보존되어 있는 전통생활문화에 대한 기억 채록.
    - 개인적으로 소장하고 있는 전통생활문화 관련 자료 수집.
    ② 공공기관:
    - 공공기관에 소속된 주요 고려인 인사들에 대한 구술인터뷰를 통해 공공기관이 고려인 전통생활문화의 보호·유지에 있어 수행한 역할에 대한 기억 채록.
    - 콜호즈, 고려인 단체, 언론기관, 교육기관, 종교단체 등과 같은 고려인 공동체들에서 생산되고 보존된 전통생활문화 자료 수집.
    ③ 문화·예술 기관: 
    - 문화예술기관에 소속된 주요 고려인 인사들에 대한 구술인터뷰를 통해 공공기관이 고려인 전통생활문화의 보호·유지에 있어 수행한 역할에 대한 기억 채록.
    - 고려인 극단과 극장에서 상연된 공연 작품, 전시회 자료 수집
    ④ 타자(비고려인):
    - 고려인 이주 이전부터 중앙아시아 지역에 거주하고 있던 원주민족과 러시아계 주민으로 고려인과 접촉한 경험이 있는 사람들에 대한 구술인터뷰를 통해 이들이 바라본 고려인 전통생활문화에 대한 기억과 평가 채록.
    - 아카이브, 현지 언론사 등에 소장되어 있는 자료 수집.

    본 연구팀의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차 년도에는 기초 연구를 실시하여 분류체계를 수립하고, 면접을 위한 질문지를 한글과 러시아어로 작성한다. 질문지는 고려인 전통생활문화의 새로운 발굴과 고려인과 비 고려인들의 전통생활문화에 대한 인식을 파악할 수 있는 문항들로 구성한다.
    1, 2, 3차 년도에 진행될 현지 조사에 앞서 사전 조사를 실시하여 국내에서 소장하고 있는 기 수집 자료의 소재와 현황을 파악하고 목록화한다. 또한 웹이나 현지의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필요한 자료의 소재를 파악하고, 사전에 이용이 가능하도록 준비한다.
    1, 2, 3차 년도에 걸쳐 이루어질 현지 조사는 개인, 기관 및 단체, 예술문화 단체, 비고려인을 대상으로 구술 인터뷰와 자료 수집을 동시에 진행하는 방식으로 계획되어 있다. 현지 조사의 지리적 범주를 보면, 1년차에는 카자흐스탄의 3개 도시, 2년차에는 우즈베키스탄의 3개 도시, 3년차에는 키르기즈의 2개 도시에서 조사를 수행할 것이다. 이러한 현지 조사의 결과 획득하게 된 결과물들은 도서, 이미지, 영상, 음향, Link, 기타 자료들로 분류한다. 그리고 현지 조사를 통해 수집하고 분류한 자료들을 디지털화하고, 목록과 메타데이터를 작성한다.
    3차 년도에는 1, 2, 3차 년도에 걸쳐 수행한 현지 조사들과 그 결과물들을 토대로 결과보고서와 최종 DB를 작성하여 제출한다. 또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자료집 및 총서로 출간한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