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민·관·학 연계 실시간 갈등지식정보관리시스템 구축 및 실용화 방안 연구
Building and Utilizing a Real-time Public Conflict Knowledg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연구분야 토대기초연구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B4A01036743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5 년 6 개월 (2015년 09월 01일 ~ 2021년 02월 28일)
연구책임자 이선우
연구수행기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심준섭(중앙대학교)
조은영
김광구(경희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기존의 갈등사례DB의 기능과 활용도상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갈등사례DB간의 표준화와 연계성 강화를 위한 목표로 한 갈등사례DB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현재 진행 중인(on-going) 갈등의 생생한 현장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갈등현안에 대한 관찰-진단-처방의 전 과정 자료를 생성·탑재하는 DB를 구축하고자 한다. 셋째, 갈등현황 및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운영을 위해 민-관-학 연계·분담·협업시스템을 구축하여 실효성과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넷째, 일반인, 공무원, 그리고 전문가 모두가 이 자유롭게 소통·공유할 수 있는 통합 갈등관리 허브 구축 및 서버운영을 통해 갈등사례DB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이 네 가지 목표를 종합해 보면, 본 연구의 목적은 ‘갈등사례DB간의 연계통한 허브기능, 갈등관리 모니터링 기능, 실시간 갈등사례DB 기능, 민-관-학 연계·협력’을 통한 실용적인 종합 갈등관리시스템을 구현하고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학문적 차원, 사회적정책적 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학문적 차원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로 구축되는 갈등사례DB 허브 스테이션, 갈등모니터링 시스템, 갈등지식정보관리시스템에 탑재된 자료는 향후 갈등관리에 대한 학술적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인식조사 결과 및 인터뷰결과, 갈등영향분석결과 등 1차자료는 소중한 연구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갈등사례DB에 대한 표준화 기준은 향후 갈등사례 분석의 표준화된 기준으로 적용될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갈등사례DB를 바탕으로 한 갈등사례의 계량적 종합분석 가능성을 높인다. 따라서 갈등사례 분석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갈등의 성공 및 실패요인 도출, 조정의 성공 및 실패요인 도출의 체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사회적·정책적 차원의 기대효과로는 정부 및 공공기관이 갈등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즉각적인 현장정보와 전문가의 분석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이제 막 생성되는 떠오르는 갈등 이슈(emerging issue)의 발굴을 통해 조기에 갈등을 탐지, 대응할 수 있는 예방적 갈등관리 업무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실시간으로 상황맞춤형 대응을 해야 하는 정부 및 공공기관의 갈등관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며, 품질 좋은 기초자료를 적시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갈등사례DB 간 연계를 통해 기존의 중복연구문제, 갈등사례DB 활용성 부족 문제를 종합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민간전문가와 활동가가 정부 및 공공기관 갈등담당자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함께 문제를 고민하고 해결 대안을 모색하는 거버넌스를 구축함으로써 정부의 갈등대응역량을 강화할 수 있고, 사회적으로도 갈등관리안전망을 구축할 수 있다. 특히 갈등지식정보관리시스템의 활용은 일반국민의 갈등관리 지식 및 인식을 개선하고 교육할 수 있기 때문에 갈등문화 선진화와 갈등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갈등을 통합의 기회로 삼을 수 있는 문화적 기반을 구축하는 인프라로서 기여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민-관-학 연계 실시간 갈등지식정보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실용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단순한 갈등사례DB 기능에서 벗어나 다양한 사용자(users)들이 통합적인 정보를 실시간 구할 수 있고 자신들이 직면하고 있는 갈등의 대응 및 해소를 위한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선택을 할 수 있는 인프라로 기능함과 동시에 갈등현상이 갖고 있는 동태성에서 비롯되는 갈등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토대로 기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① 갈등 사례DB간의 표준화와 연계성 강화를 위한 목표로 한 갈등사례DB구축, ② 현재 진행 중인(on-going) 갈등의 생생한 현장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고 갈등현안에 대한 관찰-진단-처방의 전 과정 자료를 생성·탑재하는 DB 구축, ③ 갈등현황 및 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운영을 위해 민-관-학 연계·분담·협업시스템을 구축하여 실효성과 활용도 증진, ④ 일반인, 공무원, 그리고 전문가 모두가 이 자유롭게 소통·공유할 수 있는 통합 갈등관리 허브 구축 및 서버운영을 통해 갈등사례DB의 활용도 증진이라는 목적으로 수행된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내용은 갈등사례DB 표준화 및 연계·확산을 위한 갈등사례DB 허브 스테이션 구축, 갈등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과 구축 및 활용, 민-관-학 연계 갈등관리 지식정보시스템 구축과 운영 및 활용의 세 가지 방향으로 수행된다. 첫째, 1차 년도에서 3차 년도까지는 갈등지식정보관리시스템의 구축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다. 둘째, 4차 년도에서 5차 년도까지는 갈등지식정보관리시스템의 활용 및 고도화를 위한 연구를 수행한다.
    본 연구 수행을 통하여 향후 갈등관리에 대한 학술적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인식조사 결과 및 인터뷰결과, 갈등영향분석결과 등 1차자료는 소중한 연구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정부 및 공공기관이 갈등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즉각적인 현장정보와 전문가의 분석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이제 막 생성되는 떠오르는 갈등 이슈(emerging issue)의 발굴을 통해 조기에 갈등을 탐지, 대응할 수 있는 예방적 갈등관리 업무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단은 연차별로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목표의 설정과 입체적인 구현전략을 통해 성공적으로 계획된 연구성과를 달성하였다. 연차별 목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년차에는 기존 갈등사례DB 운영기관과의 협의를 통한 표준화 방안 모색과 신규 개발될 자체 갈등DB의 설계 및 민-관-학 연계 정책거버넌스의 구축방안 검토를 목표로 삼았다. 2년차에는 기존 갈등사례DB표준화와 민-관-학 협력을 통한 관찰-진단-활용 연계시스템을 구축하고 갈등관리 체크리스트의 개발 및 갈등인식도 조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3년차에는 갈등사례DB표준화 완료 및 타 기관 갈등DB와의 연계 구축과 일반인 대상 갈등관리 웹페이지 구축 및 민-관-학 연계 온/오프라인 대화창구 운영과 이를 통해 생산되는 자료를 축적을 목표로 하였다.
    4차 연도에는 첫째, 갈등사례DB 표준화 확산 및 추가 사례 발굴·축적 지원 둘째, 갈등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고도화 및 지속적인 생성자료 탑재 셋째, 갈등관리 체크리스트를 통한 1차 갈등관리 의사결정 지원 기능 추가 넷째, 민-관-학 연계 확대 및 학습기능 강화를 목표로 하였다. 이를 통해 대국민 갈등지식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3차 연도에 웹페이지를 오픈하고, 4차 연도에는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연구 활동이 수행되었다.
    5차년도에서는 1년차~4년차 사업에서 진행하였던 갈등DB표준화 사례를 완료하고, 최종적으로 구조화하였다. 4차년도에 정리한 갈등DB자료 중 표준화 작업이 추가적으로 필요한 사례와 5차년도에 추가적으로 정리한 갈등DB 자료를 표준화하였다. 기존의 DB에 축적된 사례들 중 종료된 갈등사례의 경우에는 갈등과 관련한 정책적인 함의와 최종적인 갈등해소방안을 확인하고, 이를 활용하여 세부적으로 갈등관리를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공개하였다.
    본 연구단은 갈등지식정보관리시스템을 통해서 첫째, 갈등사례DB표준화 작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체계적인 갈등DB구축 및 표준화를 위해 갈등관련 연구 및 실무자들이 다수 참여하여 사례분석 및 언론기사 코딩 스킴을 체계적으로 구성하고 이를 연구진 전체를 대상으로 공유 및 교육을 실시하여 3년차까지 표준화된 형식에 따라 체계적으로 갈등DB를 구축하였다.
    둘째, 사전-과정-사후의 갈등 전 과정에 걸친 갈등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중앙/지역 언론보도 및 빅데이터 기반의 트렌드분석과 체계적 갈등인식도 설문조사를 통해 사전모니터링을 수행하였고, 실시간 웹 토론, 갈등현장답사 및 지역별 언론현황 보도에 기반한 갈등지도 현황을 통해 과정모니터링을 수행하였으며, 갈등상황이 종료된 현장 답 및 국내/외 사례보고서, 갈등관리 전문가의 기고)를 통해 사후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셋째, 민·관·학 연계 정책거버넌스를 구축 및 운영하여 갈등 연구 및 실무에 사용할 수 있는 생산적인 자료를 축적하고 적시에 제공하였다. 갈등연구 고도화 및 실무적용을 위해 민·관·학 갈등 연구자 및 실무자, 일반 국민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학술활동으로 정책네트워크의 구성 및 운영을 수행하였다.
    넷째, 5년간의 연구활동을 통해 축적된 갈등관련 다양한 자료를 안정적으로 저장하여 국민들에게 알기 쉬운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웹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축하였을 뿐만 아니라 기술적·비기술적 제약을 극복하고 기관 간 갈등DB의 연계를 성공적으로 이루었다. 타 기관의 비공개 갈등DB를 Rest API기술을 통해 검색어 연계체계를 구축하였고, 축적된 자료를 적극적인 시각화(Data Visualization) 기법을 활용하여 일반국민의 정보접근성을 극대화하는 등 연구를 통하여 활용가능한 민관학 연계 갈등지식정보관리시스템 구축 및 실용화를 달성하였다.
  • 영문
  • This study has successfully achieved the planned research result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and step-by-step research goal and a three-dimensional implementation strategy on an annual basis. The annual goals are as follows.
    In the first year, the goal was to seek case standadization through consultation with the existing conflict case DB operating organization, to design a newly developed own conflict DB. and to review the establishment method of public-private sector linked governance. In the second year, it was decided to standardize the existing conflict case DB and establish an real-time conflict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of checklist, and conduct a conflict perception survey. In the third year, the goal was to complete the standardization of the conflict case DB, establish a connection with the conflict DB of other institutions, build a DB as a webpage the general public, operate an on/offline communication system of public-private-academic connection, and accumulate the data produced through it.
    In the fourth year, first, standardization of the conflict case DB and support for finding and accumulating additional cases. Upgrading the conflict management monitoring system loading continuously generated data and adding the fuction to support the primary conflict management decision-making through the conflict management checklist, In the 3rd year, a web page was opened, and in the 4th year, research activities for system advancement were carried out.
    In the 5th year, the conflict DB standardization case carried out in the 1st~4th year project was completed and finally structured. Among the conflict DB data compiled in the fourth year, cases requiring additional standardization work and the conflict DB data additionally organized in the fifth year were standardized. Among the cases accumulated in the existing DB, in the case of a conflict case that has been closed, the policy implications related to the conflict and the final conflict resolution method are checked, and the information is disclosed to find a way to manage the conflict in detail using this did.

    This study peformence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conflict knowledg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systematic conflict DB construction and standardization, many conflict-related studies and practitioners participate to construct a case analysis and media article coding scheme systematically, share and educate the entire research team, and systematically follow the standardized format until whole year Conflict DB was built with.
    Second, a conflict management monitoring system was established throughout the pre-process-post conflict process. Pre-monitoring was performed through central/regional media reports, big data-based trend analysis and systematic conflict perception survey, and process monitoring was performed through real-time web discussions, conflict site surveys, and conflict map status based on regional media reports. , post-monitoring was conducted through on-site answers to the end of the conflict situation, domestic/foreign case reports, and contributions from conflict management experts).
    Third, by establishing and operating public-private-academic linkage policy governance, productive data that can be used for conflict research and practice were accumulated and provided in a timely manner. For the advancement of conflict research and practical application, the policy network was organized and operated as a variety of academic activities in which public, private, and academic conflict researchers, practitioners, and the general public could all participate.
    Fourth, we have successfully built a web system that can stably store various conflict-related data accumulated through five years of research activities and provide it to the public in an easy-to-understand form, as well as overcome technical and non-technical limitations and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s. Conflict DB was successfully linked. Conflicts linked to public-private studies that can be used through research, such as establishing a search term linkage system through Rest API technology for the private conflict DB of other institutions, and maximizing the general public's access to information by using the active data visualization technique of accumulated data The knowledg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as established and put into practical us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합 갈등관리 허브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이를 기반으로 민관학 상호 소통 및 공유를 진행하는 것이다. 5년 간의 사업을 통하여 갈등관리 종합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종합 갈등관리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는 총 2단계로 진행되었다. 1단계에서는 갈등지식정보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였다. 갈등사례 DB표준화 방안 연구, 갈등관리모니터링 시스템 프레임워크 개발 및 모니터링 시스템 적용 및 활성화 방안 모색, 민-관 소통창구 마련 등의 사업을 진행하였다. 이후 2단계에서는 갈등지식정보관리시스템을 활용하고, 고도화할 수 있게 하였다. 표준화된 갈등관리방안을 만들고, 갈등사례 분석을 위한 기본적인 틀을 구상하였다. 갈등사례를 갈등관리모니터링 시스템에 자료로 탑재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갈등관리지식정보관리시스템 고도화를 통하여 쌍방향 및 온/오프라인 의사소통 창구를 활성화하였다. 이는 갈등을 관리하고, 관심을 두고 있는 일반인, 공무원, 그리고 전문가 모두가 자유롭게 소통하고 공유할 수 있는 통합 갈등관리 통합허브를 만들어 활용할 수 있는 결과가 되었다.
    본 연구는 총 5년 동안, 2단계에 거쳐서 진행되었다. 1차년도에서 3차년도까지는 갈등지식정보관리시스템의 구축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1차년도에서는 기존사례 DB운영기관과의 협의를 통한 갈등사례DB의 표준화를 모색하고. 갈등 모니터링 시스템의 프레임워크 개발을 진행하였다. 2차년도에는 기존의 갈등사례DB를 표준화하고, 갈등관리모니터링 시스템의 민․ 관․ 학 협력 연계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을 조성하며, 갈등 진단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을 진행하였다. 3차년도에서는 갈등사례DB 표준화 작업을 완료하고 갈등사례DB간 연계시스템을 구축하며, 민․관․학 연계 온오프라인 대화창구를 마련하여 생성자료를 탑재하였다.
    4차년도에서 5차년도까지는 갈등지식정보관리시스템의 활용 및 고도화를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4차년도에서는 표준화된 갈등사례DB를 확산시키고 추가로 사례를 발굴하여 축적하고, 갈등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을 고도화하기 위한 노력을 하였다. 또한, 갈등 진단도구인 갈등관리 체크리스트를 통한 갈등관리시스템의 의사결정지원 기능을 강화하고, 민․관․학 연계확대 및 학습기능을 강화하였다. 5차년도에서는 해외갈등DB 자료를 축적하여 해외 갈등DB와 연계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갈등지식정보관리시스템에서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온오프라인 대화창구를 확대시켰다. 그리고 갈등사례 및 갈등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에 자료를 탑재하고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갈등지식정보 관리시스템 구축기반 조성’과 ‘갈등지식정보관리시스템의 활용 및 고도화’로 구분된다. 갈등지식정보관리시스템 구축기반을 위하여 1차년도와 3차년도 연구를 수행하였다. 4,5차년도는 갈등지식정보관리시스템의 활용 및 고도화를 위하여 갈등사례를 확산하였다. 특히, 갈등지식정보관리시스템이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지속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구축된 갈등사례DB 허브 스테이션, 갈등모니터링 시스템, 갈등지식정보관리시스템에 탑재된 자료는 향후 갈등관리에 대한 학술적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갈등과 관련한 인식조사 결과 및 인터뷰결과, 갈등 현장 모니터링결과 등 본 연구를 통해서 구축된 1차 자료는 소중한 연구자료로서 활용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공개되어 있다. 민관학연계 갈등지식정보관리시스템(홈페이지)은 시스템을 활용하고자 하는 민관학 관련 유저(user)는 시스템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갈등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연구소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공개가능한 연구결과물을 이용할 수 있다. 연구결과물은 한국연구재단과 연계하여 이루어지며, 연구결과 규정 등을 고려하여 중앙정부, 지방정부, 공공기관, 시민단체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연구소에서 갈등사례 등을 수집하기 위하여 구축한 갈등사례DB에 대한 표준화 기준은 향후 갈등사례 분석의 표준화된 기준으로 적용될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갈등사례DB를 바탕으로 한 갈등사례의 계량적 종합분석 가능성을 높일 것이다. 따라서 갈등사례 분석의 수준을 향상시키고, 갈등의 성공 및 실패요인 도출, 조정의 성공 및 실패요인 도출의 체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구축된 갈등사례 DB 허브 스테이션, 갈등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갈등지식정보관리시스템은 정부 및 공공기관이 갈등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즉각적인 현장정보와 전문가의 분석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이제 막 생성되는 떠오르는 갈등 이슈(emerging issue)의 발굴을 통해 조기에 갈등을 탐지, 대응할 수 있는 예방적 갈등관리 업무를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 및 공공기관의 갈등관리 역량은 갈등에 관하여 지속하여 정보를 확인하고, 또 갈등해결방안을 정리하고 모색할 경우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소에서 구축한 갈등DB를 통해 품질 좋은 기초자료를 적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갈등사례DB를 통해 갈등의 유형화와 갈등의 내용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서 갈등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는 민간전문가와 활동가가 정부 및 공공기관 갈등담당자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함께 문제를 고민하고 해결 대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로 역할할 것이다. 갈등에 관한 세부적인 정보는 정부의 갈등 대응역량을 강화할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도 갈등안전망을 구축하는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갈등지식정보관리시스템의 활용은 일반국민의 갈등관리 지식 및 인식을 개선하고 교육할 수 있기 때문에 갈등문화 선진화와 갈등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갈등을 통합의 기회로 삼을 수 있는 문화적 기반을 구축하는 인프라로서 기여할 수 있다.
  • 색인어
  • 갈등사례DB, 사례 표준화, 실시간 갈등 모니터링, 민관학 연계시스템, 갈둥관리종합시스템, 갈등지식정보관리시스템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