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빅데이터를 활용한 영화의 텍스트 내/외적 요인과 흥행예측과의 관련성 연구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in Film and Forecasting Box Office Hit Utilizing Big Data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B6037028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9월 01일 ~ 2016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권오영
연구수행기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함종호(서울시립대학교)
황영미(숙명여자대학교)
신강호(대진대학교)
김광선(한국기술교육대학교)
우정권(단국대학교)
문일영(한국기술교육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연구목표
    오늘날 지식정보사회에서는 기존의 분과 학문의 급격한 재구성과 새로운 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통합의 방향은 학제간 연구를 통한 융합 학문 중심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여전히 ‘인접 학문 간 융합’, 즉 외형적인 유사성에 주목한 융합 연구가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공계와 인문․사회․문화․예술 등의 폭넓은 융합을 실현하여 사회적 현안을 해결하고 더욱 창의적·혁신적인 학문의 미래를 만들어가고자 한다. 이 연구는 좀 더 근원적인 차원에서 융합 가능성을 모색함과 동시에 융합 연구 결과가 실제 산업적 측면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영화 흥행 요인 분석 및 예측 프로그램 개발’을 목표로 한다. 최근 5년간 제작된 한국영화 중 관객 수 500만 명 이상 영화를 대상으로 사회적/시대적 분위기 및 텍스트 내적/외적 요인을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 결과가 실제로 어떠한 흥행 결과를 낳게 되었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영화 흥행 예측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프리 프로덕션 단계에서부터 포스트 프로덕션 단계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영향 평가가 가능한 기초 자료 마련을 통해 구현된다. 이를 바탕으로 구축된 모델을 통해 영화흥행 예측까지 가능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흥행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모델 구축을 통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한 후 예측까지 가능하게 하고자 하는 이 연구는 ‘영화공학’의 전형적 사례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분야에서는 ‘스토리 공학’을 넘어서 ‘영화공학’이라는 용어가 필요하다고 본다. ‘영화공학’은 ‘스토리’를 비롯한 텍스트적 요소뿐만 아니라 컨텍스트의 요소까지 모두 고려할 필요성에 의해 생긴 개념이다.
    본 연구에서 창출하는 ‘영화공학’은 영화와 첨단공학이 만나는 과정에 있어서 미디어와 빅데이터까지 관련되는 융합학문적 접근으로 영화의 융합연구의 지평을 확대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실제 대학이나 대학원에서 영화공학이라는 교과가 신설될 수 있으며, 나아가 영화공학과라는 융합학과의 신설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의 필요성
    영화산업은 자본이 많이 드는 산업이다. 그러므로 프리 프로덕션 단계부터 어느 규모로 제작할 것인가를 고려하여야 한다. 흥행 성패가 분명하게 나뉘는 한국영화산업의 특성상 영화 흥행 요인 분석은 필수적이다.
    영화는 제작비용의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여러 가지 자료가 진작 개발됐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겨우 스토리공학이라는 이름으로 스토리헬퍼(www.stroyhelper.co.kr)나 캘틱스(www.celtx.co m) 등의 스토리 측면에 대한 프로그램만 개발된 데 불과하다. 스토리공학에서의 프로그램은 스토리에 집중되어 있고, 종합예술인 영화가 지니는 스토리 외적 요소에 대해서는 프로그램화 된 바 없다.
    영화 흥행 요인 분석 논의가 미래의 영화 제작 및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기 위해서는 영화 제작 전반에 걸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수준에서 제기되어야 한다. 즉, 영화 흥행 요인 분석 및 평가 체계는 영화 제작 사전 프리 프로덕션 과정(시나리오 개발 및 선정, 배우섭외, 스태프 결정, 장소헌팅, 콘티, 제작발표회 등)에서부터 포스트 프로덕션 과정(편집, 광학녹음, 홍보마케팅, 배급, 상영 등)에 이르기까지 모든 영화 제작 과정에 대한 평가 및 예측이 행해질 수 있는 데로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영화 사회적/시대적 분위기 요인과 텍스트 내적/외적 요인 모두를 아우르는 흥행 요인 분석이 행해져야 하며, 그 결과를 통합적인 체계 속에서 영화 흥행 예측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 기대효과
  • ○ 학문적․교육적 기대효과
    이 연구는 공학, 영화, 언론학, 문학의 결합이라는 점에서 학제간 융합 연구의 한 구체적인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공학적 연구 방법론을 영화 연구에 도입함으로써 영화 전반에 걸친 통합적이며 체계적인 연구의 장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영화 데이터에 대한 과학적이며 공학적인 체계와 관리를 통해 훨씬 구체적이고 정밀한 분석과 평가의 근거들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영화 흥행 예측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기존의 흥행영화를 분석하는 데 있어 사회적/시대적 분위기 등 감성공학의 개념이 필요하다. 사회적/시대적 분위기에 따른 사람들의 감성을 영화의 내용이 그 감성적인 부분을 자극시킨다면, 영화가 흥행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인이 될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영화공학’의 개념을 창출하고 이론을 구축하는 데 기여한다. 기존의 ‘스토리공학’과 ‘영화공학’의 변별적 개념과 이론의 구축함으로써 영화 연구에 대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고 영화 연구의 폭과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교육에 있어서도 융합학의 지평을 확대하고 영화공학이라는 교과목, 또는 더 나아가 전공 신설에도 기여해 현 시대가 요구하는 융합형 인재양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영화산업적 기대효과
    영화산업에 있어서 흥행의 성패는 민감할 수밖에 없다. 이는 영화가 문화산업의 대표적이라는 점에서 국가경제에도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 연구의 영화산업적 측면에서의 기대효과로는 먼저 최근 5년간 제작된 한국영화 중 관객 수 500만 명 이상인 영화의 주요 작품들에 대해 분석 및 예측 모델을 구축한다. 그리하여 빅데이터를 활용한 영화 흥행 요인 분석과 예측 평가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영화의 내외적 요소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특정 영화에서 발견되는 사회적/시대적 분위기 요소와 텍스트 내적 요소와 영화 제작 및 상영 단계에서 작용하는 텍스트 외적 요소가 어떻게 상호 연관되면서 긍정적 혹은 부정적 흥행 결과를 낳게 되었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판단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적/시대적 분위기와 텍스트 내적/외적 요인의 수많은 데이터들에 대한 통합적인 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또한 이들 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개발은 이러한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이 연구과정에서 정리한 자료들은 최근 흥행작에 대한 사회적/시대적 분위기와 내/외적 요소들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체계적인 자료의 보존과 창작 및 제작 과정에서 활용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영화의 사회적/시대적 분위기 요소와 내외적 요소들에 대한 정밀한 분석과 정보 구축을 통해 영화의 발상이나 구성에 있어 기초 자료들을 풍부히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영화 제작이나 기타 관련 영상물의 생산 작업 현장에도 실질적인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화 흥행 요인 분석 및 예측 체계는 프리 프로덕션 단계에서부터 포스트 프로덕션 단계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과 작업들에 대한 통합적인 관리와 분석, 예측이 행해질 것이다. 따라서 영화 제작의 모든 과정에 있어 실제적이며 직접적으로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소와 그 영향들을 미리 살펴봄으로써 영화 산업 현장에서 영화 제작 과정 전반에 걸쳐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결과적으로 영화의 흥행이나 부가가치 창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영화 흥행 예측 소프트웨어의 활용은 영화 제작 과정의 효율성 극대화에 큰 기여를 할 것이다. 영화 흥행에 관련된 제작과정으로부터 배급과 관객의 반응까지 반영한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영화 제작에 드는 비용의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기존 영화 데이터 분석을 통해 영화 제작 과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 흥행 실패에 따른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이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영화흥행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영화 흥행 예측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국의 영화산업 규모는 날로 커지고 있지만, 현재까지 진행되어온 영화 흥행 요인 분석 및 예측과 관련된 논의는 관련 데이터를 망라하지 못해 정확성을 담보할 수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영화 제작과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정도가 두드러지지 않았다. 또한 기존의 영화 흥행 요인을 분석한 연구 결과가 통합적으로 관리되지 못하는 문제 역시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최근 5년간 제작된 한국영화 중 500만 명 이상의 영화에 대한 사회적/시대적 분위기와 내/외적 요인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한 결과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고자 한다.
    영화 흥행 요인 분석 및 평가 체계에 있어서 제작 상황뿐만 아니라 프리 프로덕션(시나리오 개발 및 선정, 배우섭외, 스태프 결정, 장소헌팅, 콘티, 제작발표회 등) 과정에서부터 포스트 프로덕션(편집, 광학녹음, 홍보마케팅, 배급 상영 등)과정에 이르기까지 영화 제작과 관련된 전방위적인 평가 및 예측이 행해질 수 있는 데로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영화와 사회적/시대적 분위기 요인과 텍스트 내적/외적 요인 모두를 아우르는 흥행 요인 분석이 행해져야 하며, 그 결과를 영화 흥행 예측 모델을 구축하여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국영화산업이 급속도로 발전한 최근 5년간 제작된 한국영화를 대상으로 텍스트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을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 결과가 실제로 어떠한 흥행 결과를 낳게 되었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수행방법은 ‘① 영화 흥행 요인 분석 → ② 영화 흥행 예측 모델 및 요인 분석을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 ③ 빅데이터를 활용한 흥행 예측 평가 프로그램 개발’의 단계를 거쳐 진행될 예정이다. 본 연구의 수행은 영화, 문학, 언론학에서 분석한 영화흥행 요인을 지표화한 후 빅데이터를 활용한 공학적 접근으로 구축하고, 기계학습을 통한 영화 흥행 예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순서로 진행될 것이다. 먼저 영화 흥행요소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하여 다양한 독립변수가 도출되어야 하며, 도출된 독립변수는 영화흥행을 평가할 수 있는 최종목표치로 나타나게 된다. 이에 목표치를 나타내는 목적 함수를 도출하여 독립변수 집합 안에서 제약 조건들을 만족시키며 최소화(또는 최대화)하는 해를 찾는 최적화 이론을 통한 기계공학적 사유방식을 기반으로, 컴퓨터 공학을 통해 흥행 예측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과정에 이르게 된다. 이 연구는 빅데이터를 공학적으로 재구성하는 기술 개발 추진 방법이 상당히 중요하다. 다음으로는 시나리오 분석 및 평가를 위한 문서 모델링과 이에 대한 확률 모형 설계가 주요한 과정이 된다. 또한 빅데이터를 수집, 분석, 처리하기 위한 하둡시스템을 활용하여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 및 안정성을 확보하는 과정이 뒤따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영화 흥행 예측 모델 구축 및 소프트웨어 개발로 인한 흥행 예측이 가능해지면 영화의 생산성 향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며, 이러한 융합 연구의 결과물을 통해 영화산업에 상당히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이 연구는 학문 간의 융합도 학문이 인간과 삶을 바라보는 방식이라는 큰 틀에서 만난다고 보는 입장에서 출발한다. 공학은 과학을 응용하여 산업과 만나게 하는 학문이다. 영화 분야에서의 융합은 영화콘텐츠를 공학과 만나게 하여 영화산업에서 이를 활용가능하게 만드는 방향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융합연구방법을 ‘영화공학(Film Engineering)’이라는 새로운 용어로 지칭하며 영화 분야에서의 융합연구의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한국의 영화산업 규모는 날로 커지고 있지만, 현재까지 진행되어온 영화 흥행 요인 분석 및 예측과 관련된 논의는 관련 데이터를 망라하지 못해 정확성을 담보할 수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영화 제작과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정도가 두드러지지 않았다. 또한, 기존의 영화 흥행 요인을 분석한 연구 결과가 통합적으로 관리되지 못하는 문제 역시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최근 5년간 제작된 한국영화 중 년도 별 순위 Top10을 선정하여 사회적/시대적 분위기와 내/외적 요인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한 결과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방법은 ‘① 영화 흥행 요인 분석 → ② 영화 흥행 예측 모델 및 요인 분석을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 ③ 빅데이터를 활용한 흥행 예측 평가 프로그램 개발’의 단계를 거쳐 진행하였다.
    영화흥행 요인 분석 단계에서는 영화의 흥행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텍스트 내외적요인과 사회적분위기 요소를 영화진흥위원회, 국내외 포털사이트, 영화전산망 API를 이용하여 수집하여 요소별로 분류하였다. 이 과정에서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으며, 흥행과의 관계 규명 및 평가를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수집 된 정보를 기반으로 흥행 예측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내용은 영화의 웃음, 눈물 요소와 흥행과의 관계 규명, 사회적 분위기와 흥행과의 관계 규명, 명장면에 대한 전문가, 일반인 평가 분석 이다. 또한, 수집한 데이터 및 평가 결과를 누구나 활용 가능하게 하기 위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영화 흥행 예측이 가능해지면 영화의 생산성 향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며, 이러한 융합 연구의 결과물을 통해 영화산업에 상당히 기여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는 학문 간의 융합도 학문이 인간과 삶을 바라보는 방식이라는 큰 틀에서 만난다고 보는 입장에서 출발하였다. 공학은 과학을 응용하여 산업과 만나게 하는 학문이다. 영화 분야에서의 융합은 영화콘텐츠를 공학과 만나게 하여 영화산업에서 이를 활용가능하게 만드는 방향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융합연구방법을 ‘영화공학(Film Engineering)’이라는 새로운 용어로 지칭하며 영화 분야에서의 융합연구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였다.
  • 영문
  • Although the size of Korean movie industry is increasing, discussions on the analysis and prediction of movie entertainment factors that have been progressing to date was not possible to cover related data and it was impossible to guarantee accuracy, the degree of contribution to film production and industry development was not noticeable. In addition, research results that analyzed the factors of traditional movie entertainment have also problems not being integrally managed. In this research, utilizing big data, we picked Top 10 ranking by year among Korean movies which was produced in the last 5 years, collect the social / era atmosphere and internal / external factor data, analyze We will try to prepare a system that can manage the results of integrated analysis.
    The method of carrying out this research is as follows.
    step1. Factor analysis of movie entertainment
    step2. Build a big data platform for movie entertainment prediction model and factor analysis
    step3. Development of a box office prediction evaluation program utilizing big data
    At the stage of analyzing the factors of the movie entertainment, the elements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the text and the social atmosphere that are expected to be related to the entertainment of the movie are used by the KOFIC,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rtal sites, movie computer network API. We collected and classified it by element. In this process, we developed software that can automatically collect information and constructed a database for investigating and evaluating relations with box office. In addition, we are conducting research for box office prediction based on collected information, research content is laugh of the movie, investig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tear element and box office, investig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tmosphere and box office, Experts in name scenes, general evaluation analysis. We also constructed a content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anyone to use the collected data and evaluation results.
    If prediction of movie entertainment becomes possible through such process, it will have a big influence on improving movie productivit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contribute considerably to the movie industry using the results of these fusion studies.
    In this research, the fusion of the survey also started from the viewpoint that the survey meets in a large framework of viewing human beings and life. Engineering is the discipline to meet industry with applying science. The convergence in the field of movies will be the direction of meeting movie contents at the engineering department and making it available in the movie industry. In this research, we tried to expand the horizon of fused research in the field of movies by referring to such a fusion research method with a new term "Film Engineer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오늘날 지식기반 정보화 사회에서는 기존의 분과 학문의 급격한 재구성과 새로운 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통합의 방향은 학문간 상호 소통, 즉 학제 간 연구를 통해 융합 학문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여전히 ‘인접 학문 간 융합’, 즉 겉으로 드러난 형식적인 유사성에 주목한 융합 연구가 많았다. 본 연구는 인문․사회․문화․예술 등의 학문적 융합에서 나아가 이공계와도 폭넓은 융합을 실현함을 통해 사회적 현안 문제를 해결하고 더욱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학문의 미래를 만들어가고자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영화 흥행 요인 분석 및 예측 프로그램 개발을 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문학, 과학, 공학, 언론학, 산업적 측면 등 다양한 학문 및 사회 제분야와의 융합을 모색하고자 하며, 좀 더 근원적인 차원에서 제기될 수 있는 융합 가능성을 모색함과 동시에 궁극적으로는 융합 연구 결과가 실제 산업적 측면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연구함이 목표이다.
    본 연구는 최근 5년간 제작된 한국영화 중 흥행기준 각 년도 별 10편의 영화를 대상으로 사회적/시대적 분위기 및 텍스트 내적/외적 요인을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 결과가 실제로 어떠한 흥행 결과를 낳게 되었는지에 대한 영화 흥행 예측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와 같은 모델 구축은 영화 제작 환경에서 프리 프로덕션 단계에서부터 포스트 프로덕션 단계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영향 평가가 가능한 기초 자료 마련을 의미한다. 이 과정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하며, 구축된 모델을 바탕으로 영화 흥행 예측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학제간 융합 연구의 구체적 사례 제시
    영화와 공학의 결합이라는 점에서 학제간 융합 연구의 한 구체적인 사례를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이질적이며 배타적일 수 있는 인문예술과 과학기술 분야 간의 교섭과 소통의 학문적 사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학제간 경계를 지우며 융합연구를 지향하는 최근 학계의 흐름이나 시대적 패러다임에 부합할 수 있는 흥미로운 사례가 될 것이다.

    · 공학적 접근을 통한 새로운 영화 연구 방법론 마련
    한국 영화의 흥행과 관련하여 기존의 피상적, 산발적 논의의 관습에서 벗어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공학적 연구 방법론을 영화 연구에 도입함으로써 그동안 영화 연구에 있어서 일부 작품들에 편향적이며 사후적으로, 또한, 분산적으로 논의되어 왔던 기존의 연구의 틀에서 벗어나 영화 전반에 걸친 통합적이며 체계적인 연구의 장이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영화 데이터에 대한 과학적이며 공학적인 체계와 관리를 통해 훨씬 구체적이고 정밀한 분석과 평가의 근거들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 ‘영화공학’의 개념과 이론 구축
    ‘영화공학’은 텍스트 내적 요소인 스토리뿐만 아니라 텍스트 외적 요소인 컨텍스트의 요소까지 모두 포괄하면서 학문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개념이다. 기존의 ‘스토리공학’과 결부하면서 ‘영화공학’의 변별적 개념과 이론을 구축함으로써 영화 연구에 대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고 영화 연구의 폭과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다.

    · 한국 영화의 주요 작품들에 대한 데이터 구축
    빅데이터를 활용한 영화 흥행 요인 분석과 예측 평가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영화의 내외적 요소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특정 영화에서 발견되는 텍스트 내적 요소와 영화 제작 및 상연 단계에서 작용하는 텍스트 외적 요소가 어떻게 상호 연관되면서 긍정적 혹은 부정적 흥행 결과를 낳게 되었는지에 대한 종합적인 판단을 가능하게 해줄 것이다.

    · 텍스트 내·외적 데이터에 대한 통합적 체계적 관리
    영화 흥행을 좌우하는 요인을 텍스트 내적 요인과 텍스트 외적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획득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은 매우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들 수많은 데이터들에 대한 통합적인 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또한, 이들 데이터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 개발은 이러한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 학문과 산업의 연계
    영화과 공학이라는 학제간 연구의 차원을 넘어 학문적 연구 성과가 구체적인 영화산업 분야에 실제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현대사회의 대표적 대중매체인 영화에 대한 공학적, 과학적 연구 성과는 한국영화 산업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영화산업에 있어서 흥행의 성패는 민감할 수밖에 없는 것이며 이는 영화가 막대한 문화산업의 대표격이라는 점에서 국가경제에도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 실제적인 영화 데이터 활용
    한국 영화의 상당한 사례들을 취재, 수집하여 정리, 데이터화함으로써 체계적인 자료의 보존과 창작 및 제작 과정에서 활용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영화의 내외적 요소들에 대한 정밀한 분석과 정보 구축을 통해 영화의 발상이나 구성에 있어 기초 자료들을 풍부히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영화 제작이나 기타 관련 영상물의 생산 작업 현장에도 실질적인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영화의 사전-사후 연계 분석
    영화 흥행 요인 분석 및 평가 체계는 영화 제작의 사전 단계에서부터 제작 사후 단계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과 작업들에 대한 통합적인 관리와 분석, 예측이 행해질 것이다. 따라서 영화 제작의 모든 과정에 있어 실제적이며 직접적으로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소와 그 영향들을 미리 살펴봄으로써 영화 산업 현장에서 사전-제작-사후 단계 전반에 걸쳐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결과적으로 영화의 흥행이나 부가가치 창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영화 제작 과정의 효율성 극대화
    영화 흥행에 관련된 제작과정으로부터 배급과 관객의 반응까지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영화 제작에 드는 비용의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기존 영화 데이터 분석을 통해 영화 제작 과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면서, 흥행 실패에 따른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빅데이터, 영화흥행예측, 영화의 텍스트 내외적요소, 사회적분위기, 콘텐츠관리시스템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