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과 지속가능한 디지털 콘텐츠 생태계
Trans-media Storytelling and Sustainable Digital Contents Ecosystem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B6037297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9월 01일 ~ 2016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정재은
연구수행기관 중앙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서영주(건국대학교)
유은순(단국대학교)
황도삼(영남대학교)
남명희(인하대학교)
박승보(인하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단일 미디어에 적용되었던 기존의 전통적인 스토리텔링과는 구분되는 트랜스미디어 시대의 스토리텔링에 대해 인문학적 기반의 이론적 연구와 공학적 방법론을 통한 실증적 연구를 통합한 학제간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서 하나의 이야기가 미디어의 속성에 따라 어떻게 이야기를 변주해 나가는지를 전산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매체 전환에 따른 스토리텔링 전략이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연구 목표를 제시한다. 첫째,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대해 용어의 개념적 정의를 포함한 이론적 토대를 재고한다. 둘째,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이 적용된 대표 성공 사례들을 대상으로 하나의 이야기가 다른 미디어로 전환될 때 필수적으로 일어나는 스토리의 변형을 정성적,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셋째, 스토리 변주 분석 결과를 통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갖는 고유한 특징과 원리를 도출한다. 넷째,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지속가능한 콘텐츠 생태계 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혀낸다.
  • 기대효과
  • 본 연구 결과는 학문적, 경제 산업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1) 연구 결과의 학문적 기여도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개념 천착 및 이론적 토대 확립
    본 연구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개념적 정의를 포함한 지금까지 진행된 이론적 논의들을 재고함으로써 용어의 개념을 천착시키고 이론적 토대를 보다 확고히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학제간 융합을 통한 스토리텔링 연구 영역 확장
    국외에서는 이미 인지과학과 서사학 간의 융합 연구를 통해 서사 구조와 내용에 대한 전산학적 모델 구축 방법론들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연구 환경은 ‘전산학적 내러티브(Computational Narrative)'와 ’디지털 인문학‘이라는 새로운 연구 영역의 초석을 다지는데 기여했다.
    2) 연구 결과의 경제적, 산업적 기여도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제작 활성화
    본 연구는 흥행에 성공한 실제 작품 분석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콘텐츠 제작자들에게 다매체 시대에 적합한 스토리텔링 원칙과 객관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새로운 양식의 스토리텔링을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제작을 활성화할 수 있다.
    - 콘텐츠 흥행 예측에 활용
    대규모 흥행 콘텐츠에 대한 전산학적 분석을 통해 나온 객관적인 정보들은 콘텐츠 제작 시 위험 요소를 피하고 상업적 성공을 위한 객관화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 미디어 간 장벽과 장르 간 경계를 약화
    본 연구는 국내에서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는 미디어 간 장벽과 장르 간 경계를 극복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지속가능한 콘텐츠 생태계 구축에 기여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과제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과 여기에 나타나는 지속가능한 콘텐츠 생태계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포괄적이고 범용적인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과제의 연구 내용은 이론적 측면과 실제적 분석 측면으로 구성된다.
    1) 이론적 토대 연구
    본 연구는 미디어별로 전략을 달리하는 스토리 변주를 분석하기에 앞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대해 국내에서 진행된 이론적 논의들을 재고한다.
    각색은 매체 전환에 따른 이야기 변화를 지칭하는 오래된 용어이다. 미디어 환경이 급변하면서 각색의 전략은 더욱 정교해지고 다양해졌다. 그 결과 OSMU, 그리고 최근에 등장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까지 매체 전환을 가리키는 다양한 용어들이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듯 용어의 개념적 정의를 비롯하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독자적인 특징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연구자들마다 그 개념은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거나 외국에서 정의된 내용을 재활용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 논문과 저서 등을 통해 발표된 이론적 논의들을 재고하여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지점을 보다 명료히 하고자 한다.
    2) 전산학적 분석 방법론을 이용한 콘텐츠 분석
    제안하는 분석 모델은 인문학 기반의 정성적 분석과 전산학 기반의 정량적 분석의 순환 구조를 바탕으로 한다.
    정성적 분석 방법은 트랜스 미디어의 심층적 특성 분석에 적합하지만, 그 실험 대상의 양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연구 결과의 과적합화를 피하기 어렵다.
    정량적 분석 방법은 대규모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트랜스 미디어의 표층적인 특성을 파악할 수 있지만, 그 내재적 의미를 파악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분석의 결과를 통해 정성적 분석 과정을 보조하고, 정성적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량적 분석의 측정 방법을 보완하는 상호 보완적 모델을 이용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단일 미디어에 적용되었던 기존의 전통적인 스토리텔링과는 구분되는 트랜스미디어 시대의 스토리텔링에 대해 인문학적 기반의 이론적 연구와 공학적 방법론을 통한 실증적 연구를 통합한 학제간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서 하나의 이야기가 미디어의 속성에 따라 어떻게 이야기를 변주해 나가는지를 전산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매체 전환에 따른 스토리텔링 전략이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연구 목표를 제시한다.
    1)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대해 용어의 개념적 정의를 포함한 이론적 토대를 재고한다.
    2)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이 적용된 대표 성공 사례들을 대상으로 하나의 이야기가 다른 미디어로 전환될 때 필수적으로 일어나는 스토리의 변형을 정성적,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3) 스토리 변주 분석 결과를 통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갖는 고유한 특징과 원리를 도출한다.
    4)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지속가능한 콘텐츠 생태계 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혀낸다.
  • 영문
  • Story-based contents (e.g., novel, movies, and computer games) have been
    dynamically transformed into various media. In this environment, the contents are not
    complete in themselves, but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Also, they are not simply
    transformed form a medium to other media, but expanding their stories. It is called as
    a transmedia storytelling, and a group of contents following it is called as a transmedia
    ecosystem. Since the contents are highly connected in terms of the story in the transmedia
    ecosystem, the existing content analysis methods are hard to extract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tents. Therefore, a proper content analysis method is needed with considering expansions
    of the story. The aim of this work is to understand how (and why) such contents are
    transformed by i) defining the main features of the transmedia storytelling and ii) building
    the taxonomy among the transmedia patterns. More importantly, computational transmedia
    ecosystem is designed to process a large number of the contents, and to support high
    understandability of the complex transmedia patter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단일 미디어에 적용되었던 기존의 전통적인 스토리텔링과는 구분되는 트랜스미디어 시대의 스토리텔링에 대해 인문학적 기반의 이론적 연구와 공학적 방법론을 통한 실증적 연구를 통합한 학제간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서 하나의 이야기가 미디어의 속성에 따라 어떻게 이야기를 변주해 나가는지를 전산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매체 전환에 따른 스토리텔링 전략이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세부 연구 목표를 제시한다.
    1)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 대해 용어의 개념적 정의를 포함한 이론적 토대를 재고한다.
    2)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전략이 적용된 대표 성공 사례들을 대상으로 하나의 이야기가 다른 미디어로 전환될 때 필수적으로 일어나는 스토리의 변형을 정성적,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3) 스토리 변주 분석 결과를 통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갖는 고유한 특징과 원리를 도출한다.
    4)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지속가능한 콘텐츠 생태계 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혀낸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제안하는 분석 모델은 인문학 기반의 정성적 분석과 전산학 기반의 정량적 분석의 순환 구조를 바탕으로 한다. 정성적 분석 방법은 트랜스 미디어의 심층적 특성 분석에 적합하지만, 그 실험 대상의 양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연구 결과의 과적합화를 피하기 어렵다. 정량적 분석 방법은 대규모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트랜스 미디어의 표층적인 특성을 파악할 수 있지만, 그 내재적 의미를 파악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분석의 결과를 통해 정성적 분석 과정을 보조하고, 정성적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량적 분석의 측정 방법을 보완하는 상호 보완적 모델을 이용한다.
  • 색인어
  •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디지털 콘텐츠, 서사 분석, 전산학적 서사 분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