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콘텐츠에서 파생되어 나온 콘텐츠를 스핀오프(Spin-Off)라고 한다. 스핀오프는 비단 드라마뿐만 아니라 영화, 애니메이션, 심지어 예능 프로그램제작에까지 여파를 미치고 있다. 이러한 현상과 달리 아직 이론적인 용어정립은 혼재되어 있다. 스핀오프와 크로스오 ...
하나의 콘텐츠에서 파생되어 나온 콘텐츠를 스핀오프(Spin-Off)라고 한다. 스핀오프는 비단 드라마뿐만 아니라 영화, 애니메이션, 심지어 예능 프로그램제작에까지 여파를 미치고 있다. 이러한 현상과 달리 아직 이론적인 용어정립은 혼재되어 있다. 스핀오프와 크로스오버, 스핀오프와 외전, 스핀오프와 OSMU, 스핀오프와 속편, 스핀오프와 번외편은 빈번하게 혼용되어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어 정확한 개념 정립이 필요하다. 명확한 정립 개념은 이론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스핀오프 작품을 만들 때 콘텐츠의 위치를 명확하게 하고, 결국 그것이 베스트셀러나 스테디셀러를 만드는데 일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원작의 성공을 통해 대중 인지도를 얻었고, 친숙함 덕분에 안정적인 흥행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유형화작업은 스핀오프의 현황과 국내에 맞는 개발 방법, 그리고 지속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것은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양한 미디어플랫폼의 발달과 시청자의 시청행태의 변화에 콘텐츠 제작형식 변화 추이를 살펴보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를 추진하고자 한다.
기대효과
-학문적 기대효과 국내 스핀오프 관련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스핀오프콘텐츠 사례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스핀오프의 역사적 맥락과 가치를 학문적으로 종합할 수 있다는 점과 체계적인 연구 데이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학문적 기대효과 국내 스핀오프 관련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스핀오프콘텐츠 사례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스핀오프의 역사적 맥락과 가치를 학문적으로 종합할 수 있다는 점과 체계적인 연구 데이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스핀오프를 통해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다양한 문화콘텐츠 개발 방식의 변화 추이를 살펴봄으로써 그것의 계보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고, 비교연구도 가능하며, 연구의 폭을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도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사회적 기대효과 현재 스핀오프는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에서 널리 개발되고 있지만 유형화를 통해 미디어 기기의 스핀오프화, 기존 콘텐츠에서 캐릭터를 활용한 교육이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활용, 캐릭터와 함께 스토리에서 미처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실제로 해결해보는 방식을 통해 콘텐츠의 지속성을 보장받고 참여자는 기존과는 다른 재미와 의미를 느낄 수 있다. -산업적 기대효과 스핀오프의 개념과 유사 및 관련 개념과의 차이점을 밝히고 사례분석을 통해 현황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변화하는 콘텐츠 개발 방식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화콘텐츠산업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또한 현재 스핀오프는 제품화에도 점차 활용되고 있으므로 제품의 브랜드를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써도 유용하다고 보인다. 특히 스핀오프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수평적인 협업이 필요하므로 본 논문을 통해 이의 활발한 실현이 가능하여 국내에서도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초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연구요약
-연구목적 .파편화된 스핀오프 개념을 정확히 규명함으로써 현재 스핀오프의 위치를 파악 .스핀오프 유형화를 통한 스핀오프 콘텐츠 개발 활성화에 이바지 .스핀오프 구성요소 도출을 통한 스핀오프 콘텐츠 개발 체계화에 기여 .한국형 스핀오프 방안 제시 -연구내용 ...
-연구목적 .파편화된 스핀오프 개념을 정확히 규명함으로써 현재 스핀오프의 위치를 파악 .스핀오프 유형화를 통한 스핀오프 콘텐츠 개발 활성화에 이바지 .스핀오프 구성요소 도출을 통한 스핀오프 콘텐츠 개발 체계화에 기여 .한국형 스핀오프 방안 제시 -연구내용 및 방법(참고문헌과 기존 콘텐츠 조사를 통한) .유사 및 관련 용어와의 비교를 통한 스핀오프 개념의 명확화와 차별화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스핀오프 변화과정 고찰 .사례분석을 통한 스핀오프 유형화 .사례분석을 통한 스핀오프 특성 파악 및 구성요소 도출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하나의 콘텐츠에서 파생되어 나온 콘텐츠를 스핀오프(Spin-Off)라고 한다. 스핀오프는 비단 드라마뿐만 아니라 영화, 애니메이션, 심지어 예능 프로그램제작에까지 여파를 미치고 있다. 이러한 현상과 달리 아직 이론적인 용어정립은 혼재되어 있다. 스핀오프와 크로스 ...
하나의 콘텐츠에서 파생되어 나온 콘텐츠를 스핀오프(Spin-Off)라고 한다. 스핀오프는 비단 드라마뿐만 아니라 영화, 애니메이션, 심지어 예능 프로그램제작에까지 여파를 미치고 있다. 이러한 현상과 달리 아직 이론적인 용어정립은 혼재되어 있다. 스핀오프와 크로스오버, 스핀오프와 OSMU, 스핀오프와 속편, 스핀오프와 번외편은 빈번하게 혼용되어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어 정확한 개념 정립이 필요하다. 명확한 정립 개념은 이론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스핀오프 작품을 만들 때 콘텐츠의 위치를 명확하게 하고, 결국 그것이 베스트셀러나 스테디셀러를 만드는데 일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원작의 성공을 통해 대중 인지도를 얻었고, 친숙함 덕분에 안정적인 흥행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유형화작업은 스핀오프의 현황과 국내에 맞는 개발 방법, 그리고 지속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것은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양한 미디어플랫폼의 발달과 시청자의 시청행태의 변화에 콘텐츠 제작형식 변화 추이를 살펴보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를 추진하였다.
영문
Spin-off a derived from the content of the one called. Spin-off is merely a drama film, animation, and even entertainment programs, as well as having effects to make. Unlike this, still theoretical terms established are surrounded by smoke. Spin-off a ...
Spin-off a derived from the content of the one called. Spin-off is merely a drama film, animation, and even entertainment programs, as well as having effects to make. Unlike this, still theoretical terms established are surrounded by smoke. Spin-off and Crossover, spin-off and OSMU, spin-off and sequel, spin-off and extra round is frequently used the same as being used. Establishing a precise idea is needed. Establishing a clear concept is only when actually spin-off rather than work to clarify the position of the content and ended up with a best seller, or it. Can help create a steady seller. Because the success of the original, public awareness and familiarity with stable thanks to the success can expect. Therefore, through case study type of the spin-off of the status and domestic work for development methods, and the relevant to seek ways to continue. This is of a variety of media platforms, including the smartphone content to changes in behavior changes in development and the viewer to Explore Changes to the type of production is also necessary. For this reason, and this study.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하나의 콘텐츠에서 파생되어 나온 콘텐츠를 스핀오프(Spin-Off)라고 한다. 스핀오프는 비단 드라마뿐만 아니라 영화, 애니메이션, 심지어 예능 프로그램제작에까지 여파를 미치고 있다. 이러한 현상과 달리 아직 이론적인 용어정립은 혼재되어 있다. 스핀오프와 크로스 ...
하나의 콘텐츠에서 파생되어 나온 콘텐츠를 스핀오프(Spin-Off)라고 한다. 스핀오프는 비단 드라마뿐만 아니라 영화, 애니메이션, 심지어 예능 프로그램제작에까지 여파를 미치고 있다. 이러한 현상과 달리 아직 이론적인 용어정립은 혼재되어 있다. 스핀오프와 크로스오버, 스핀오프와 외전, 스핀오프와 OSMU, 스핀오프와 속편, 스핀오프와 번외편은 빈번하게 혼용되어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어 정확한 개념 정립이 필요하다. 명확한 정립 개념은 이론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스핀오프 작품을 만들 때 콘텐츠의 위치를 명확하게 하고, 결국 그것이 베스트셀러나 스테디셀러를 만드는데 일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원작의 성공을 통해 대중 인지도를 얻었고, 친숙함 덕분에 안정적인 흥행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유형화작업은 스핀오프의 현황과 국내에 맞는 개발 방법, 그리고 지속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것은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양한 미디어플랫폼의 발달과 시청자의 시청행태의 변화에 콘텐츠 제작형식 변화 추이를 살펴보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를 추진하였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활발하게 제작되고 있는 스핀오프 방식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구성조건을 살펴봄으로써 콘텐츠 개발방식이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OSMU나 트랜스미디어, 크로스미디어 방식과 마찬가지로 스핀오프 역시 그 목표는 제 ...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활발하게 제작되고 있는 스핀오프 방식의 개념과 유형, 그리고 구성조건을 살펴봄으로써 콘텐츠 개발방식이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OSMU나 트랜스미디어, 크로스미디어 방식과 마찬가지로 스핀오프 역시 그 목표는 제작사 측면에서는 위험의 분산에 있지만 수용자 입장에서는 하나의 콘텐츠가 캐릭터, 상황, 배경으로 다양하게 변주되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다는데 있다. 국내 스핀오프 개발 현황은 국외처럼 활발하지는 않지만 n스크린, 멀티 플랫폼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면서 예능 프로그램이나 웹드라마, 웹툰에서 점차적으로 스핀오프의 제작이 조금씩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미국의 스핀오프가 드라마와 영화를 중심으로 제작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예능프로그램이나 웹 기반에서 제작이 활발한 이유는 규모와 제작비의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아무래도 드라마나 영화의 제작비가 예능프로그램이나 웹 기반 콘텐츠보다 많이 들고 제작기간도 길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제작비가 부족한 우리나라의 경우 제작비가 덜 드는 콘텐츠에서 스핀오프를 개발할 수 밖에 없다. 그렇다면 한국형 스핀오프는 비교적 저예산이 드는 분야의 스핀오프를 제작하는 것이 현 상황에서 위험을 낮추면서 수용자의 콘텐츠 향유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보여 진다. 적절한 스핀오프 방식의 선택과 적용은 콘텐츠, 스토리와 캐릭터의 팬덤이 형성되고 그것이 결코 끝나지 않는 이야기를 확대・재생산하는 좋은 방법이 될 것임에는 틀림이 없다. <활용 방안> 본 연구를 통해 실질적인 국내 스핀 오프 개발이 지금보다 더 활성화된다면 새로운 직업군을 개발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원 스토리를 만드는 작가 외에도, 스토리 분기 및 확장, 서브 캐릭터 발굴과 서브 캐릭터를 주연화하는 스토리 편집자(editor)와 그런 것들을 모아서 세계관을 구축할 수 있는 통합적 사고를 지니는 스토리 디자이너의 양성, 그리고 스핀오프는 제작사 간의 협업이 반드시 필요므로 그것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협업 전문가의 양성, 그리고 스핀오프는 기존 콘텐츠 개발 방식인 OSMU에 비해 훨씬 치밀하게 캐릭터의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이야기는 새로워야 하므로 거기에 수용자가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를 관찰한 수용자 분석가의 양성도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