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중국어 동사 수식어의 어순 변천과 그 유형학적 의미
The word order change of adverb in Chinese and its typological meaning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B5A07044554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1 년 (2015년 09월 01일 ~ 2016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박향란
연구수행기관 경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중국어 수식어 어순의 변천에 대한 논의는 주로 고대 중국어에서 동사 뒤에 쓰이던 전치사구, 비교구가 중고 중국어 시기 이후 동사 앞으로 이동하고 명사 뒤의 수량사가 명사 앞에 출현하는 것과 같이 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으로의 이동에 집중되었다. 때문에 또 다른 중국어 수식어 어순의 발전이 소홀히 다루어진 측면이 있다. 본 연구는 고대 중국어시기 동사 앞에서 시간이나 동작의 양, 정도, 가능, 방향 등을 표현하던 성분이 중고 중국어시기를 기점으로 점차 동사 뒤에 보어와 같은 성분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고찰해보고 이것이 중국어 어순 변천에 끼친 영향과 그 유형학적 의미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중국어 동사 수식어순의 변천은 어순 유형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점에서 언어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관심을 갖는 유형학 연구에 참고 가치를 지닌다. 또 어순 유형론의 연구 성과를 중국어사 연구에 흡수함으로써 연구 방법의 다양화 측면에서 가치를 지닌다.
    2)한국어는 전형적인 SOV언어로 부사는 동사 앞에서 동작의 과정과 결과를 모두 나타내는 반면 중국어는 동작의 과정은 부사로 동작의 결과는 보어로 달리 표현한다. 본 연구는 중국어와 한국어 부사의 일차적인 비교 대조와 중국어 학습자가 부사와 보어의 용법을 구별함에 있어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Greenberg(1963)와 Lehmann(1973)의 어순의 함축적 보편성에 대한 논의에 따르면 중국어는 SVO어순으로 전치사를 사용하지만 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에 출현하는 SOV의 특징도 가지고 있다. 때문에 Li & Thompson(1974)은 중국어가 SVO에서 SOV로 변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 근거로 把구문과 被구문의 생성과 더불어 동사 뒤에 나타나던 성분이 동사 앞으로 전치되는 현상을 주목하였다. 하지만 동한 및 위진 남북조 시기의 문헌을 고찰해보면 동사 앞의 수식성분이 동사 뒤로 이동하는 현상 역시 광범위하게 진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시간과 동작의 양, 정도, 가능, 방향 등의 수식성분이 동사 뒤로 어순의 변화가 생긴다. 본 연구는 중국어사에 나타나는 동사 뒤 성분의 전치와 동사 앞 성분의 후치 그리고 보어의 생성과 부사의 쇠퇴 등의 문제를 함께 논의하여 중국어 동사구 수식어순과 중국어 어순 유형의 관계에 대해 검토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현대중국어는 SVO어순이면서 SOV언어의 특징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언어로 어순 유형론의 보편성에서 벗어난다. 때문에 현대중국어의 어순 유형에 대한 많은 논의가 전개되었다. 특히 중국어가 SVO어순에서 SOV어순으로 변하는 중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어 많은 학자들의 주목을 끌었다. 그들은 대부분 상고시기 동사 뒤에 출현하는 전치사구나 비교표지 등의 전치현상 및 ‘把’구문의 등장 등을 증거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고대 중국어에서 동사 앞에 쓰이던 시간사, 수사, 부사, 조동사 등의 여러 수식성분이 중고중국어시기를 전후로 동사 뒤로 후치되는 현상이 존재하는 것을 통해 중국어가 도리어 SVO어순을 강화하는 과정을 거쳤다고 보고 있다. 상고중국어 시기 동사 앞에 시간, 동작, 정도, 가능, 방향등을 표현하던 성분들이 한대 이후로 동사 뒤에 출현하는 어순의 변화가 일어난 것이다. 이는 중고중국어 시기 판단사의 사용, 부정문과 의문문에서 대명사 후치현상 및 복합사의 증가와 더불어 SVO어순의 강화와 관련 있다. 중고시기 비교표지, 전치사구의 전치 현상과 수량, 결과, 방향 등의 후치현상은 복합어가 증가하고 동사 뒤에 하나의 초점만 오게 되는 화용적 필요 등 중국어가 동사 중심의 언어가 되는 동사구조의 어순 재편과정에서 생겨난 것이다.
  • 영문
  • The questions of word order change has still been much debated during the last decade. This study has conducted a analysis of the word order change of adverb in Chinese and its typological meaning. Li & Thompson(1974) insisted that the direction of word order change in Mandarin Chinese has been SVO→SOV. But we need to reconsider this hypothesis. The adverb order of the old chinese is located before predicates, but the adverb of the Eastern Han Dynasty and Six Dynasties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Old Chinese, some are located after predicates, for instance, verb measure word, direction complement and degree complement. Also the word order of the aspectual markers in Old Chinese also is different from that of Modern Chinese. Grammatical aspect is expressed by pre-verbal adverbs in Old Chinese whereas pre-verbal adverbs in modern chinese. This fact apparently contradicts the assertion of the word order change from SVO to SOV in chinese. In contrast, this study showed that chinese has fixed SVO orde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Greenberg(1963)와 Lehmann(1973)의 어순의 함축적 보편성에 근거하면 현대 중국어는 SVO어순과 SOV어순의 특징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특수한 언어유형에 속한다. 특히 현대 중국어가 SVO어순을 가지면서 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에 출현하는 SOV어순의 특징을 보인다는 점에서 많은 학자들의 관심이 집중되었다. 이에 대해 Li & Thompson(1974)은 현대 중국어가 SVO유형에서 SOV유형으로 변했음을 주장하였다. 그 근거로 把구문과 被구문등의 생성과 더불어 명사 뒤의 수량사가 전치된 것과 같이 고대 중국어에서 동사 뒤의 수식 성분 예를 들면 전치사구나 비교구가 동사 앞으로 이동하는 현상에 주목하였다. 그러나 이 때문에 중국어 동사 수식어 어순의 또 다른 발전이 소홀히 다루어진 측면이 있다. 동한 및 위진 남북조 시기의 문헌을 고찰해보면 동사 앞의 수식성분이 동사 뒤로 이동하는 현상 역시 광범위하게 진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시간과 동작의 양, 정도, 가능, 방향 등의 수식성분이 모두 동사 뒤로 이동하는 어순의 변화가 생겼다. 본 연구는 고대 중국어시기 동사 앞에서 시간이나 동작의 양, 정도, 가능, 방향 등을 표현하던 성분이 중고 중국어시기를 기점으로 점차 동사 뒤에 보어와 같은 성분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고찰해보고 이것이 중국어 어순 변천에 끼친 영향과 그 유형학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중국어 동사 수식어순의 변천은 중국어 어순 유형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점에서 언어의 보편성과 특수성에 관심을 갖는 유형학 연구에 참고 가치를 지닌다. 어순 변화는 어법 변천의 중요한 부분으로 역사 언어학의 핵심 과제이다. 특히 현대 중국어는 SVO어순이면서 SOV언어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특수한 언어로써 어순 유형론의 보편성에서 벗어난다. 본 연구를 통해 역사어순유형론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개별 언어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는 데서 벗어나 거시적, 통시적 관점을 가지고 다른 언어들과의 비교 대조를 통해 일반 언어학의 연구 성과를 흡수한다는 점에서 중국어사 연구방법의 지평을 넓혀줄 것이다.
    둘째 현대 중국어 부사와 보어의 연구와 교육에 기여할 수 있다. 한국어의 보어와 중국어의 보어는 명칭만 같을 뿐 서로 다른 개념의 문장성분이다. 한국어는 전형적인 SOV언어로 부사는 동사 앞에서 동작의 과정과 결과를 모두 나타내는 반면 중국어는 SVO언어로 동작의 과정은 부사로 동작의 결과는 보어로 달리 표현한다. 즉 한국어의 부사어에 대응하는 중국어의 문장 성분은 부사와 보어를 포함한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어와 한국어와 부사와 보어에 대한 일차적인 대조 연구뿐만 아니라 중국어 학습자가 중국어의 부사와 보어의 용법을 구별함에 있어 근거를 제공하여 학습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 색인어
  • 어순, 유형론, 부사, 보어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