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빅 데이터 분석학 기반 맞춤형 역전학습 설계 모형 개발: 중등 수학교과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Customized Flipped Learning Design Model based on Big Data Analytics: On a Middle School Math Curricula Context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5S1A5B6036244
선정년도 2015 년
연구기간 3 년 (2015년 09월 01일 ~ 2018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조일현
연구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이용하(이화여자대학교)
임소혜(이화여자대학교)
박연정(이화여자대학교)
박형곤(이화여자대학교)
송종우(이화여자대학교)
임규연(이화여자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와 웨어러블 기기에 축적되는, 학습자 및 학습 행동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데이터 마이닝 테크닉을 통해 심리적·생체적·행동적으로 분석·해석한 후, 그 결과에 따라 교수·학습 처방으로 연결하는 학습분석학을 접목하여, 미래 학습 모형으로 기대되는 지능적 맞춤형 역전학습(Flipped Learning) 설계 모형 및 지원 시스템(LAPA-FL: Learning Analytics for Prediction & Action for Flipped Learning)을 개발하는 것임.

    나아가 LAPA-FL 연구 결과 및 개발물의 검증 및 개선을 위해 중학교 수학과를 연구 맥락으로 실증 연구를 실시함. 중학교 수학과를 모형 적용 연구 맥락으로 선정한 이유는 첫째, 수학 과목이 PISA 등 동 연령대 학생 간 국제 비교에서 높은 학업성취도와 함께 낮은 학습동기를 보이는 등 학습 성과 간 불균형이 극심하다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는 점, 둘째, 창조적 지식 경제 시대에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논리적·분석적 역량의 기초로서 수학 교육의 혁신이 요구된다는 점 등임. 이에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과정에 몰입하고 즐겁게 학습할 수 있는 학습 동기 향상에 초점을 맞춘 LAPA-FL 모형 기반 수업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게 될 것임.

    주요 연구 과제로는
    1) 학습자 행동·심리·동기 관련 연구에 기반 한 예측 모형 개발
    2) 디지털 콘텐츠 플레이어, 학습자·교수자 성찰용 대시보드, 수학과 역전학습 수업 개발
    3) 처방 효과에 대한 실증적 검증 및 모형 보완
    4) 현장 검증 및 평가
    를 포함하고 있음.

    본 연구는 총 5년간 이론 및 모형연구(Theory Building)에 해당하는 5개 과제, 콘텐츠 및 전용 앱 개발(Development)에 해당하는 4개 과제, 3차에 걸친 양적, 질적 실험 연구(Experiments) 5개 과제, 검증과 평가(Validation)를 위한 3개 과제 등 총 17개의 세부 과제로 구성되어 있음.
  • 기대효과
  • 이론적 효과: 본 연구는 교수설계, 빅데이터 분석, 심리생리학, 모바일 앱 개발, 사물인터넷 및 무선통신 활용, 수학교육 등 여러 분야 학문이 융합된 학제적 접근을 통하여, 국내외적 연구 리더십 구축에 기여할 것이라 기대함. 특히 웨어러블 기기로 측정된 생리데이터를 심리학적으로 해석하고 이를 인지적 및 동기적 수업 처방으로 연결시킨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이론적 의의를 갖고 있음.

    실천적 효과: 역전학습방식을 통한 수업 효과성 및 효율성 개선,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 학습 행동분석에 기반한 맞춤형 처방 방법론과 관련 공학 기술 응용 방안의 개발 및 시스템화가 이루어질 것임. 이는 궁극적으로 중등 수학교육 환경과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불안감(anxiety)을 해소하여 보다 즐겁고 긍정적으로 수학을 인식하며, 논리적·분석적 사고,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는 혁신의 지렛대(leverage)로서 우리나라 학교 교육 혁신의 원동력이 될 것임.

    산업적 효과: 스마트 기기 및 학습관리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학습자 맥락·활동·심리 관련 빅데이터의 교육적 활용, 학습 분석학과 역전학습을 접목한 맞춤화된 학습 처방 솔루션 개발을 위한 본 연구 과제로부터 기대되는 성과는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최첨단 산업화 기술로 활용 가능함. 첫째, 기술 및 방법론 측면에서 기존의 콘텐츠 전달형 국내 이러닝 산업을 학습자 감응형 인텔리젼스 지식 산업으로 변화시키는데 기여하고, 둘째, 스마트폰의 뒤를 이어 차세대 IT 산업의 주역이 될 웨어러블 기기의 새로운 활용 모델로서 학습적 적용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IT 기업의 새로운 시장 창출을 지원할 것임. 무엇보다 본 연구를 통해 'data analyst + instructional designer + educational decision maker'의 종합 역량을 갖춘 학습 과학자(learning scientist)가 배출됨으로써 산·학·연에 걸친 발전을 촉진할 인적 인프라가 구축될 것임.
  • 연구요약
  • 본 제안 과제는 스마트 기기 기반의 역전학습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양적·질적 실험을 통해 타당화한 후, 이를 학교 현장의 실제적 맥락에서 검증 및 평가하는 등 연구-설계-개발-실험-현장 검증 등 시스템 개발 프로세스 전 과정을 포함하는 종합적 학제간 융합연구임. 본 과제는 아래 5 가지 단계별 세부 과제로 구성됨.

    첫째, 이론 및 모형연구(Theory Building) 단계에서는;
    1)스마트 기기를 통한 동영상 기반의 교육 콘텐츠의 활용과정에서 추출되는 다양한 데이터, 즉 학습자 동영상 청취 행동 데이터 뿐 아니라 생체적, 맥락적, 행동적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정형적 형태의 데이터를 수집 및 결합하고,
    2) 수집된 빅데이터에 대한 통계적·데이터마이닝적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기반하여 학습자의 인지적 및 동기적 상태를 예측 및 군집화한 후,
    3) 각 군집별로 디지털 및 면대면 학습 환경별로 맞춤화된 수업 처방을 제시함. 즉, 디지털 동영상 기반 사전 학습단계에서는 시각적 대시보드를 활용한 온라인 피드백을 통해서, 면대면 본시 학습 단계에서는 맞춤형 수업설계를 통해서 학습자의 인지적 및 동기적 발달을 시스템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융합 이론적 토대를 마련함.
    이를 위해 디지털 학습 활동 분석 및 예측 모형 개발, 심리학적 해석 모형 개발, 아날로그 수업 설계 모형 개발, 동영상 콘텐츠 평가 및 수정 모형 등 세부 분야별 이론 연구가 수행될 것임.

    둘째, 개발연구(Development) 단계에서는, 동영상 기반 디지털 콘텐츠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데이터, 그 상호작용 과정에서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측정되는 생체적 데이터 및 시공간 맥락 데이터를 체계적·자동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는 데 필요한 도구와 시스템을 개발함. 1 단계 이론 연구의 성과를 기반으로 실험용 수학학습 콘텐츠 개발, 동영상 학습 및 상호작용 행동 분석을 위한 전용 플레이어(앱) 개발, 디지털 학습 단계에서 학습자 및 교수자의 성찰을 지원할 대시보드(앱) 개발, 학습자의 인지적·동기적 수준에 따른 4가지 맞춤형 면대면 수업전략 개발을 수행할 것임. 면대면 수업전략은 동기적 교수설계 모형(ARCS)을 바탕으로 개발하여 인지적 성취도 뿐 아니라 동기적 몰입감을 촉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수립될 것임.

    셋째, 양적·질적 실험연구(Experiment) 단계에서는 모형 검증 및 수정 보완을 위하여 3회차에 걸친 양적연구와, 2회 차에 걸친 질적연구를 실시함. 질적 연구에서는 시선 추적 기법, 인터뷰, 민속학적 연구(ethnography)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포함하는 삼각측정(triangulation) 접근을 시도함. 이는 자동적으로 추출된 심리 생리학적 데이터만으로는 그 내면의 심리적·사회적·정치적 본질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임. 양적·질적 데이터의 결합만이 빅데이터로부터 인간의 심리를 이해하고 나아가 그 개선을 위한 처방에 이르는 기나긴 사슬을 과학적·논리적으로 연결할 수 있을 것임.

    마지막으로 현장 검증 및 평가 연구(Validation)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연구 및 개발 성과를 종합하여 LAPA-FL 모형 및 시스템 (알파 버전)을 완성하고, 이를 실제 중등수학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보완함 (베타버전). PISA 평가 대상인 15세에 해당하는 중학생들에게 적용함으로써 본 연구 결과를 국가적 관심사와 국제적 비교 준거에 맞추도록 함.

    이러한 LAPA-FL 시스템의 성공적인 운영과 현장 정착을 위하여 중학교 수학 교사가 실제 수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매뉴얼을 제작하고 그 사용법에 대한 교사 대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 나아가 체계적인 평가기법을 적용하여 맞춤형 역전학습 지원시스템의 성능과 안정성을 개선하고, 중·장기적 관점에서 타 교과목 및 타 학습자 층으로 일반화 하는데 필요한 후속 연구과제와 추진 방향을 제언할 것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와 웨어러블 기기에 축적되는, 학습자 및 학습 행동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통해 심리적·생체적·행동적으로 분석·해석한 후, 그 결과를 교수·학습 처방으로 연결하는 학습분석학을 접목하여, 미래 학습 모형으로 기대되는 지능적 맞춤형 역전학습(Flipped Learning) 설계 모형 및 지원 시스템(LAPA-FL: Learning Analytics for Prediction & Action for Flipped Learning)을 개발하는 것임.

    나아가 LAPA-FL 연구 결과 및 개발물의 검증, 개선을 위해 수학과를 연구 맥락으로 실증 연구를 실시함. 수학과를 선정한 이유는 첫째, 수학 과목이 PISA 등 동 연령대 학생 간 국제 비교에서 높은 학업성취도와 함께 낮은 학습동기를 보이는 등 학습 성과 간 불균형이 극심하다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고, 둘째, 지식기반사회에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논리적·분석적 역량의 기초로서 수학 교육 혁신이 요구된다는 점 등으로 요약할 수 있음. 이에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과정에 몰입하고 즐겁게 학습할 수 있는 동기 향상에 초점을 맞춘 LAPA-FL 모형 기반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고자 함.

    연구 과제의 범위를 1단계에서의 3개년 내 주된 과제 중심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1) 학습자 행동·심리·동기 관련 연구에 기초한 예측모형 개발
    2) 디지털 콘텐츠 플레이어, 학습자·교수자 성찰용 대시보드, 수학과 역전학습 수업 개발
    3) 처방 효과 검증 및 모형 보완

    선정년도 연구개시 시점부터 2018년 6월 30일까지 수행한 1단계 연구는 학습자 행동·심리·동기를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실증적 연구와 이에 기반한 예측모형 및 처방 개발을 주된 목표로 수행되었음. 단계별 세부과제로는 이론 및 모형 연구(Theory Building) 단계의 학습자 행동-심리, 역전학습설계, 동기설계 관련 이론 및 문헌 연구(T1, 2 3), 동영상 콘텐츠 평가 및 수정 모형 개발(T4), 실험 및 검증 단계(Experiment)의 예측모형 개발 및 보완(T1)과 1차 양적 연구 및 예측모형 검증(E1), 2차 질적·양적 연구(E3, 4), 개발 연구 단계(Development)의 실험용 콘텐츠 선정(D1) 및 전용 스마트폰 앱 개발(D2), 개인용 대시보드 및 면대면 수업 설계 모형개발(D3), 동영상 학습 콘텐츠 개발(D4)이 해당됨.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telligent customized Flipping Learning design model and support system (LAPA-FL) which is expected to be a future learning model.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various kinds of data related to learners and their learning behaviors, accumulated in smart and wearable devices. After that, we analyzed and interpreted them psychologically, biologically and behaviorally through data mining techniques, and conducted learning analytics research to link these results to teaching and learning interventions.
    We designed LAPA-FL model and system that focuses on motivating students to engage in self-directed learning process and enjoy learning. In addition, we aimed to conduct empirical research in mathematics to verify and improve the framework and product of LAPA-FL. The reasons for selecting the field of mathematic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need to solve the problem that students, in mathematics, show extreme disagreement between the high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low learning motivation. Second, for enhanc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in knowledge-based society of information, the educational renovation in mathematics which is considered as the basis of logical and analytical competence, was required.

    The scope of the research project is summarized as the main task within the three years from the first stage as follows.
    1) Development of a prediction model based on research on learner behavior, psychology, and motivation
    2) Development of digital content player, learner / teacher reflection dashboard, and flipped learning class in mathematics
    3) Verification of intervention effect and supplementation of model

    Until June 30th, 2018, the research team conducted the theoretical or empirical studies to understand learner's behavior, psychology and motivation, and the research to develop prediction models and provide educational intervention was followed. In detail, we conducted the studies related to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about learners’ behavior, flipped learning design, learning motivation design (T1, 2 3), video contents evaluation and modification, prediction model development and validation (T1, E1),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for flipped learning (E3, 4), smartphone application development (D1, 2), dashboard and offline-class design (D3), and video 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D4).

    In order to successfully accomplish the project, the research team carried out learning analytical approach that merges several interdisciplinary fields such as teaching & learning theory, psychophysiology theory and techniques, statistical analysis, and computer programm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와 웨어러블 기기에 축적되는, 학습자 및 학습 행동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통해 심리적·생체적·행동적으로 분석·해석한 후, 그 결과를 교수·학습 처방으로 연결하는 학습분석학을 접목하여, 미래 학습 모형으로 기대되는 지능적 맞춤형 역전학습(Flipped Learning) 설계 모형 및 지원 시스템(LAPA-FL: Learning Analytics for Prediction & Action for Flipped Learning)을 개발하는 것임.

    나아가 LAPA-FL 연구 결과 및 개발물의 검증, 개선을 위해 수학과를 연구 맥락으로 실증 연구를 실시함. 수학과를 선정한 이유는 첫째, 수학 과목이 PISA 등 동 연령대 학생 간 국제 비교에서 높은 학업성취도와 함께 낮은 학습동기를 보이는 등 학습 성과 간 불균형이 극심하다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고, 둘째, 지식기반사회에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논리적·분석적 역량의 기초로서 수학 교육 혁신이 요구된다는 점 등으로 요약할 수 있음. 이에 학생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과정에 몰입하고 즐겁게 학습할 수 있는 동기 향상에 초점을 맞춘 LAPA-FL 모형 기반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고자 함.

    연구 과제의 범위를 1단계에서의 3개년 내 주된 과제 중심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음.
    1) 학습자 행동·심리·동기 관련 연구에 기초한 예측모형 개발
    2) 디지털 콘텐츠 플레이어, 학습자·교수자 성찰용 대시보드, 수학과 역전학습 수업 개발
    3) 처방 효과 검증 및 모형 보완

    선정년도 연구개시 시점부터 2018년 6월 30일까지 수행한 1단계 연구는 학습자 행동·심리·동기를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실증적 연구와 이에 기반한 예측모형 및 처방 개발을 주된 목표로 수행되었음. 단계별 세부과제로는 이론 및 모형 연구(Theory Building) 단계의 학습자 행동-심리, 역전학습설계, 동기설계 관련 이론 및 문헌 연구(T1, 2 3), 동영상 콘텐츠 평가 및 수정 모형 개발(T4), 실험 및 검증 단계(Experiment)의 예측모형 개발 및 보완(T1)과 1차 양적 연구 및 예측모형 검증(E1), 2차 질적·양적 연구(E3, 4), 개발 연구 단계(Development)의 실험용 콘텐츠 선정(D1) 및 전용 스마트폰 앱 개발(D2), 개인용 대시보드 및 면대면 수업 설계 모형개발(D3), 동영상 학습 콘텐츠 개발(D4)이 해당됨.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팀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연속적ㆍ동적인 상태를 측정하는 것으로 알려진 다양한 생리심리 반응(예: 동공반응, 시선운동, 심박, 뇌파 등)을 활용하여 학습 상황에서의 학습자 인지부하, 각성 등을 측정하고 학습자 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고민해 왔음. 그러나 대다수 선행연구들의 결과는 엄격한 통제를 기반으로 한 실험실 환경에서 이루어져, 변화하는 학습자의 상태를 시시각각으로 측정ㆍ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 이에, 본 연구팀은 실제 학습 환경과 유사한 학습자료, 학습 환경을 기반으로 한 생리심리 반응 및 학습자 행동데이터를 수집하고 실험을 계속해 왔음. 이를 기반으로 실험연구를 넘어 실제 역전학습 환경에서 작동 가능한 시스템을 완료하고자 하며, 사용자 검사까지 완료하여 효과적이면서도 실행 가능한 시스템을 완성하였음.이상의 연구를 통해 연구대상자와 관련한 데이터를 수집·분석함에 있어 데이터 역식별(de-identification) 과정을 의무화하고 IRB의 지침을 준수하는 등 데이터 정보 보안, 연구의 윤리적 실천을 위해 노력해 왔음. 향후에는 학습분석학을 기반으로 한 적응적 처방의 전체적인 시스템을 완성하게 되므로, 미시적 차원의 개인정보 보안, 연구의 윤리적 실천을 위한 노력은 물론 학습분석학 시스템 전반의 윤리적 운영을 고민해야 함. 이에 본 연구팀은 관련 연구나 법령에 대한 자료의 탐색을 계속해 왔으며(노명선, 2017; 여정현, 2018; Drachsler, & Greller, 2016; Khalil, & Ebner, 2015), 이 같은 연구들을 바탕으로 전체 시스템이 윤리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설계함.
  • 색인어
  • 역전학습, 학습분석학, 동기 기반 수업설계 모형, 학습관리시스템, 심리생리학, 교육적 대시보드, 스마트 학습 환경, 수학교육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