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환자중심형 SMASH Care Movement 플랫폼 개발 : 프로그램, 공간, 도구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Patient-oriented SMASH Care Movement Platform: Focusing on Program, Space and Devic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B6913737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3 년 (2016년 09월 01일 ~ 2019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은석
연구수행기관 가천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전상완
조건상(부산대학교)
권구명(대구한의대학교)
김영생(가천대학교)
이병문(가천대학교)
최미리(가천대학교)
심재앙(가천대학교)
최원호(가천대학교)
조성보(가천대학교)
장익영(한국체육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 연구의 필요성
    ▮움직임을 통한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암이나 만성질환 등의 임상환자에게 있어 통합적 움직임이 건강관리와 유지 및 예방에 효과성이 입증되고 있다. 특히, 암환자에게 있어 신체적 움직임은 높은 생존율과 증상완화 그리고 사전 암 예방뿐만 아니라 암의 재발률 방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만성질환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질병진행의 완화와 더불어 합병증의 발생을 저하시키는 등의 효과가 입증되고 있다. 하지만 전문 의료진 또한 움직임을 통한 건강관리가 입원환자들의 회복에 중요하다고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입원환자들은 병원이라는 공간적 제약과 더불어 움직임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과 도구의 부재로 인해 움직임과 관련된 신체활동에 많은 제약을 경험하게 된다.

    ▮현재 국내외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의료혁신, 환자중심의 병원의 의료서비스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국내의 경우 강북삼성병원의 ‘Happy Hospital Innovation’팀, 세브란스병원의 창의센터, 아산병원의 이노베이션디자인센터 등도 환자경험을 중심으로 한 의료서비스디자인을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환경과 IT기술을 통한 시설 및 서비스 향상에 비해 입원환자들에 대한 움직임을 동반한 신체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프로그램은 발견하기 힘들다. 또한 국외의 경우, 노르웨이의 Akershus University Hospital(AHUS)에서 예술적 가치를 가미한 IT기술 연계를 통한 서비스를 하고는 있지만, 공간이나 다양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환자들의 움직임을 강화시키려는 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와 같이 병원에서 통합적 케어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부분적인 한계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움직임을 기초로 한 신체활동이 환자들에게 중요한 하나의 치료수단임을 인식하고, 환자를 위한 공간, 운동 프로그램, 기구에 대한 유기체적인 연결을 위해 학제간 실증적 연구는 시대적 요구에 맞게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건강예방과 관리, 회복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을 움직임에 두어 움직임(MOVE)의 가치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 프로그램과의 차별화 측면에서 환자의 삶의 가치를 높이고, 심리적 감성을 안정화 할 수 있는 공간의 창출, 프로그램의 차별화와 기구의 개발을 다학제간의 학문적, 기술적 융합을 통해 새로운 의료서비스에 맞게 플랫폼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3) 연구 목표
    ▮본 연구에서는 환자들이 병원에 입원해 있을 때 움직임을 방해하는 요인(Sedentary Life)을 조사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병원 내 환자들의 움직임을 동기화시키고, 움직임 활동을 조직화시킬 수 있는 공간, 프로그램 및 기기를 개발하여 적용한다. 마지막으로 병원과 가정을 연계해서 삶을 치유(Healing Life)할 수 있는 SMASH 플랫폼을 구축한다.
  • 기대효과
  • 1)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대효과
    ▮의료서비스 패러다임 변화를 위한 계량적 자료 확보: 본 연구에서 얻어진 계량적 자료는 환자중심의 의료서비스 질을 향상, 만족도 높은 의료서비스를 기획 제공하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되어 의료서비스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끌어 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융합연구를 통한 새로운 학문 영역확장: 환자의 치료 효과검증에 집중되었던 연구방향이 보다 확대하여 의료서비스의 새로운 영역에 인문사회학적 지식, IT기술, 서비스디자인의 도입 등을 융합적으로 발전시킴으로서 환자 중심형 의료서비스라는 새로운 학문이 확립의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학제간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 본 연구는 체육학, 물리치료, 디자인, 공학 그리고 사회복지학과 공동으로 한 학제간 연구에 근거하여 설계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학제간 연구의 결과가 현실문제 해결에 크게 기여함을 증명, 체육학 분야와 연계한 타학문 분야의 학제간 연구가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후속 연구를 위한 자료제공: 본 연구를 위해서 현재 병원에서 움직임을 제약하는 다양한 요인들을 밝혀내어, 환자들이 치료나 회복 그리고 치유를 위해 병실, 병동, 병원 그리고 퇴원 후 가정에서 움직임을 동기화시키고, 발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2) 연구결과의 사회발전에 기대효과
    ▮의료서비스 질 향상: 본 연구의 결과는 의료서비스 기관을 환자중심으로 전환하는데 큰 공헌을 함은 물론 환자개개인에게 맞는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회 전반적으로 병원의 의료서비스 질을 향상시키는데 공헌하게 될 것이다.
    ▮환자의 의료비 절감에 따른 의료복지정책에 기여: 본 연구를 통해 환자의 회복속도, 퇴원 후 일상생활에서도 보다 적극적으로 신체활동에 참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GDP의 약 1.7%에 달하는 의료비 지출의 절감뿐만 아니라 환자들이 질병과 관련된 문제를 보다 예방적, 관리적인 차원에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환자의 움직임 활동 진입 장벽 개선: 일상생활 혹은 병원에서 움직임을 제약하는 다양한 환경적문제로 건강증진활동을 제한한다. 본 연구에서는 입원 또는 회복 후 가정으로 돌아간 후에도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 개념을 형성함으로써 신체활동 참여를 촉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3) 연구과제의 교육 연계 효과
    ▮연구인력 전문지식 습득: 본 과제의 총 3+2년로 수행에 있어서 학부생 및 대학원들을 대상으로 연구과제 및 연구논문을 작성하도록 유도할 것이며, 수업을 통해 환자중심형 total care movement의 플랫폼을 구축을 위한 다양한 기초조사 및 관련 주제에 대한 프로젝트를 조사하고 발표하도록 할 것이다.
    ▮질 높은 연구결과 성취: 학제간 정기적인 세미나 개최 및 전 연구진의 다양한 연구접근과 연구과정을 통해 질 높은 연구결과물을 만들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내외 유명 학술지에 게재할 수 있도록 연구진을 장려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현장 근무자 교육실시: 현장의 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들에게 규명된 지식을 제공하고 교육함으로써, 효율적으로 total care movement 플랫폼구축과 구동되어 환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4) 연구결과의 국가 정책적 활용방안
    ▮체육학분야 가치반영: 정부에서는 환자의 움직임에 대한 가치를 확인했음에도 불구하고 각 부서간의 업무상 모호성으로 인하여 관련 학문의 발전을 더디게 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체육학 분야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 효율적인 역할분담의 중요성이 인식될 것이다.
    ▮국가 정책적 투자를 위한 근거자료 제공: 병원내의 환자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요인들을 제거함으로써 임상적 효과뿐만 아니라 사회․심리적으로 건강회복, 비활동적인 행동의 감소와 다양한 의료서비스정책의 투자에 도움을 제공하는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국가의 의료서비스 정책에 반영: 본 연구의 결과는 보다 구체적으로 환자의 움직임에 대한 인식 및 실제 행동과 관련한 다양한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써, 국가의 의료정책의 중요한 과제인 치료와 함께 건강한 삶, 삶을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서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환자중심의 SMASH care movement(CM) 플랫폼 구축을 위해, 총 5년간의 연차적인 건강증진을 위한 다학제간의 융합 컨텐츠를 개발해 나아갈 것이다. 이를 위해, 인간 본능적인 움직임의 가치를기반으로, 공간적, 도구적, 프로그램의 융합을 통해 환자의 자발적 움직임 유도와 참여확산으로 건강예방, 관리, 회복을 위한 Total care 가능성을 제시 한다.

    ▮1년차: Sedentary Life 요인분석
    1) Sedentary Life 요인분석
    - 치유환경적 요인(개인적 요구, 공간적 요구),
    - 관찰, 설문, 심층면담, 델파이분석,
    - 국내외 병원관련 회복프로그램에 대한 자료조사,
    - 환경적 IT 기기의 활용조사
    2) 연차별 "Care Movement(CM)"의 평가지표 및 방법 개발
    - 환자회복평가: 신체적-임상자료(진료기록)를 통한 객관적 평가(의사, 간호사, 물리치료사),심리 및 사회- 객관적 사회심리 평가(의료복지, 간호심리),
    - 컨텐츠평가: 융합 분야별 프로그램, 환경, 도구에 대한 만족도 평가,
    - 연차별평가: 환자평가 및 컨텐츠 평가에 대한 상관성 측정 -Sedentary Time, 활동량, 모니터링을 통한 Self-management 효과성 검증, PRECEDE-PROCEED Model(동기부여요인, 행동강화요인, 행동가능요인)

    ▮2년차: Motivation을 위한 CM 컨텐츠 개발 -침상에서 병실로-
    1) Motivation 융합컨텐츠 개발
    - 상하체협응능력향상을 위한 움직임프로그램 개발,
    - 프로그램의 시각적 포스터 개발,
    - 움직임 측정 센서를 이용한 반응형 포스터 개발
    2) CM 평가지표 및 방법을 통한 2년차 개발내용 평가실시

    ▮3년차: Active Life를 위한 CM 컨텐츠 개발 -병실에서 병동로-
    1) 융합컨텐츠 개발
    - 보행능력향상을 위한 움직임프로그램 개발
    - 프로그램의 시설공간, 구조의 개발
    - 움직임 활동량 측정도구개발
    2) CM 평가지표 및 방법을 통한 3년차 개발내용 평가실시
    ▮4년차: Strength Life를 위한 CM 컨텐츠 개발 -병동에서 병원으로-
    (1) 융합컨텐츠 개발
    - 전신운동기능향상을 위한 움직임프로그램 개발,
    - 프로그램과 디바이스의 효율적 디자인,
    - 측정데이터의 Data base화
    (2) CM 평가지표 및 방법을 통한 4년차 개발내용 평가실시

    ▮5년차: Healing Life를 위한 CM 컨텐츠 개발 -병원에서 가정으로-
    (1) 융합컨텐츠 개발
    - 움직임의 안정화를 위한 근지구력향상을 위한 움직임프로그램 개발,
    - 과제지향적 시각적 교육자료개발,
    - 측정도구의 원격관리시스템구현
    (2) CM 평가지표 및 방법을 통한 5년차 개발내용 평가실시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