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기능적-뇌혈류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악몽 장애를 동반한 트라우마 환자들의 이미지 리허설 치료 효과성에 대한 사전 연구
The Effectiveness of Imagery Rehearsal Therapy in trauma patients with nightmare disorder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A Pilot Stud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제간융합연구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B6914283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1 년 (2016년 09월 01일 ~ 201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서수연
연구수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과제의 목표는 악몽 장애를 동반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이하 PTSD) 환자들을 대상으로 근거기반 치료인 이미지 리허설 치료 (Imagery Rehearsal Therapy, 이하 IRT) 전과 후에 뇌 기능적/혈류적 자기공명영상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치료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것임.
  • 기대효과
  • < 학문적 기대효과>
    - 세계 최초로 악몽이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 악몽과 PTSD에 대한 학문적 기반 마련 및 관심 촉진
    - 본 과제의 사전연구를 통하여 악몽에 대한 치료/개입 프로그램 개발의 학문적 기반마련

    <경제적/산업적 기대효과>
    - IRT 치료 프로토콜 개발을 통해 임상적 적용 가능한 한국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IRT 콘텐츠 배포
    - 악몽 문제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치료 전문가 양성과 더불어 여러 분야가 융합된 인력 양성의 기회
    - PTSD 환자와 관련된 신경영상 지표개발을 통한 의료 경비 절감 효과

    <사회적 기대효과>
    - 임상 장면에서 PTSD 환자들의 악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 마련
    - 재난 및 사고 발생 시 PTSD 환자들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국가적인 재난 관리 체계 개발에 기여
    - PTSD 환자의 악몽 평가 및 치료와 관련된 정책 방안을 제시하는데 가이드라인 제공
  • 연구요약
  • 연구 목적: 악몽 장애를 동반한 PTSD 환자들을 대상으로 악몽에 대한 근거 기반 치료인 IRT의 효과성을 fMRI를 이용해 국내 최초로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
    * 심리학 연구내용:
    1) 목표: 악몽장애를 동반한 PTSD 환자들을 대상으로 IRT 치료 시행함.
    2) 내용:
    - IRT 치료 프로토콜 개발
    - 악몽 장애를 동반한 PTSD 환자들을 대상으로 IRT 치료 시행
    - 연구 결과에 대한 통계적 분석

    * 의공학 연구내용:
    1) 목표: 악몽 장애를 동한반 PTSD 환자들의 자기공명영상 데이터를 획득하고 IRT 치료 전/후의 자기공명영상분석을 통하여 치료효과 검증에 필요한 뇌의 기능적 연결성 지표 및 뇌의 혈류학적 영상 지표를 제공함.
    2) 내용:
    - 악몽 장애를 동반한 PTSD 환자들의 기능적/혈류적 자기공명영상 데이터 획득
    -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분석을 통한 치료 전/후의 뇌 기능적 연결성 영상 분석
    - 혈류적 자기공명영상 분석을 통한 치료 전/후의 뇌 혈류적 영상 분석
    - 치료 효과 검증을 위한 뇌 기능적, 혈류적 영상 지표 제공

    * 신경과학 연구내용:
    1) 목표: 수면클리닉에서 악몽장애 환자를 제공하고, 치료 전후 임상검사 시행
    2) 내용:
    - 정상군 뇌영상 제공
    - 수면클리닉 외래에 내원하는 악몽장애 환자를 연구에 제공
    - 치료 전후에 하는 뇌인지검사, 임상검사들을 시행
    - IRT 치료 장소 제공

    연구 방법: 악몽을 동반한 환자군 (새로운 영상 획득)의 치료 전 fMRI를 촬영하고, 정상인 (기존 영상 사용) 집단과 비교하고, 악몽을 동반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이미지 리허설 치료를 진행한 이후 치료 후 영상을 획득하여 치료 효과를 fMRI 영상을 통해 객관적으로 검증할 계획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과제의 목표는 악몽 장애를 동반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이하 PTSD) 환자들을 대상으로 근거기반 치료인 심상시연치료 (Imagery Rehearsal Therapy, 이하 IRT) 전과 후에 뇌 기능적/혈류적 자기공명영상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치료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DSM-5 진단기준 A를 충족하고 주 1회 6개월 이상 악몽을 경험하고 악몽으로 인해 고통을 호소하는 악몽장애 환자 12명과 성별과 나이, 우세손에서 짝매칭 되는 12명의 정상군을 대상으로 fMRI 영상 및 임상지표 비교하였다. 이 후 악몽 환자를 대상으로 심상시연치료를 진행한 이후 치료 후 영상을 획득하여 치료 전 후를 비교하였다. 악몽을 동반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5회기, 5주 동안의 심상시연치료를 진행한 이후 치료 후 자료를 획득하여 치료 효과를 fMRI 영상을 통해 객관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악몽군과 정상군 모든 참가자는 여성이며 평균 연령은 28.75±8.42이었다.
    악몽군과 정상군의 기저선의 비교 결과, 악몽군에서 불면증상과 악몽심각도, PTSD 증상, 우울, 불안, 자살 심각도에 있어 유의미하게 높았다. 작업기억을 평가하는 NBACK 평가에서 악몽군이 정상군에 비해 정확도에 있어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보고하였으며 수면 효율성 및 입면 후 각성 시간, 각성 횟수, 악몽 횟수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뇌 영상을 통한 뇌 영역 기능적 차이를 비교한 결과, 악몽군은 right middle cingulate cortex, medial frontal gyrus, left medial frontal gyrus에서 기능적 연결성이 감소하였고, right inferior frontal gyrus, left cerebellum, culmen에서 기능적 연결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악몽 점수와 right inferior frontal gyrus (r=.66, p=.01), right middle cingulate cortex (r=-.70, p=.005), left cerebellum (r=.56, p=.03), medial frontal gyrus (r=-.84, p=.01), culmen (r=.68, p=.007), left medial frontal gyrus (r=-.83, p<.0001)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악몽군의 외상 종류는 성 외상(33.3%)로 가장 높았으며, 83.3%가 PTSD 진단기준 모두 충족하였다. 치료 전과 후의 임상지표를 분석한 결과,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의 불면증상, 악몽 심각도, PTSD 증상, 우울에 있어 유의미한 호전을 나타내었다. 또한 위기 시 결정능력을 평가하는 BART 평가에서 표시된 풍선부터 다음 펌프 개시까지의 응답시간이 유의미하게 단축되었다. 수면 관련 변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 수면 효율성이 증가하였고, 입면후 각성시간이 유의미하게 감소를 나타냈다. 뇌 영역 기능적 차이를 분석한 결과, 치료 후에 전방 cingulate와 medial / orbitofrontal cortex와 inferior parietal과 superior parietal 영역 사이의 비정상적으로 높은 연결성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논의: 본 연구는 악몽장애를 동반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심상시연치료가 효과적임을 주관적·객관적 지표를 통해 과학적으로 입증하였다. 이미지 리허설 치료의 효과는 이미 선행연구들을 통해 입증된 바 있으나, 치료 전후 fMRI라는 생리적 지표를 이용하여 악몽장애를 동반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임상군을 대상으로 치료의 효과성을 입증한 것은 본 연구가 처음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 영문
  • Object: The aim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bjective effect of Imagery Rehearsal Therapy which is known as evidence-based therapy by measuring brain functional/perfus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fMRI) before and after therapy.
    Method: Twelve nightmare disorder patients who satisfying the DSM-5 criteria A for PTSD and twelve healthy control people age-, sex- and major hand matched to nightmare group were selected. The baseline fMRI data, clinical indices and cognitive functioning tests were compared between nightmare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Then, nightmare group received the five sessions of IRT for five weeks, and then collected the after therapy data which is same with the baseline.
    Result: The mean age of all participants were 28.75 (± 8.42). At baseline, nightmar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somnia symptoms, nightmare severity, PTSD symptoms, depression, anxiety and suicidal severity. In PVT test which evaluates attention and arousal, nightmar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aximum response time. In sleep indices, nightmare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leep efficiency, longer sleep onset latency, wake after sleep onset and more number of awakenings. In brain functional connectivity, nightmare group showed decreased connectivity in right middle cingulate cortex, medial frontal gyrus, left medial frontal gyrus and increased connectivity in right inferior frontal gyrus, left cerebellum, culmen compared to healthy control. Moreover, nightmare score showed significant relations with right inferior frontal gyrus, right middle cingulate cortex, left cerebellum, medial frontal gyrus, culmen and left medial frontal gyrus.
    In nightmare group, sexual abuse was the highest (33.3%) among the types of trauma and 83.3% of patients satisfied all criteria of PTSD. After the therapy, nightmare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in insomnia severity, nightmare severity, PTSD symptoms and depression. Among cognitive functioning test, especially in BART which evaluates the decision making ability in crisis situation, mean and median response time between pump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In NBACK which evaluates working memory, mean response time was significantly faster after therapy. In sleep indices, sleep efficiency, number of awakening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rapy. In brain functional connectivity, prefrontal cingulate, medial cortex, orbitofrontal cortex, inferior parietal and superior parietal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rapy which was abnormally high at the baseline point.
    Discuss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about the treatment effect of Imagery Rehearsal Therapy scientifically by using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ments. Some of prior studies already investigated about the effect of Imagery Rehearsal Therapy, however, this study has meaning which is the first trial to verifying the treatment effect of Imagery Rehearsal Therapy applying to clinical PTSD patients with nightmare disorder using fMRI dat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Object: The aim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bjective effect of Imagery Rehearsal Therapy which is known as evidence-based therapy by measuring brain functional/perfus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fMRI) before and after therapy.
    Method: Twelve nightmare disorder patients who satisfying the DSM-5 criteria A for PTSD and twelve healthy control people age-, sex- and major hand matched to nightmare group were selected. The baseline fMRI data, clinical indices and cognitive functioning tests were compared between nightmare patients and healthy controls. Then, nightmare group received the five sessions of IRT for five weeks, and then collected the after therapy data which is same with the baseline.
    Result: The mean age of all participants were 28.75 (± 8.42). At baseline, nightmar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somnia symptoms, nightmare severity, PTSD symptoms, depression, anxiety and suicidal severity. In PVT test which evaluates attention and arousal, nightmar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maximum response time. In sleep indices, nightmare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sleep efficiency, longer sleep onset latency, wake after sleep onset and more number of awakenings. In brain functional connectivity, nightmare group showed decreased connectivity in right middle cingulate cortex, medial frontal gyrus, left medial frontal gyrus and increased connectivity in right inferior frontal gyrus, left cerebellum, culmen compared to healthy control. Moreover, nightmare score showed significant relations with right inferior frontal gyrus, right middle cingulate cortex, left cerebellum, medial frontal gyrus, culmen and left medial frontal gyrus.
    In nightmare group, sexual abuse was the highest (33.3%) among the types of trauma and 83.3% of patients satisfied all criteria of PTSD. After the therapy, nightmare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in insomnia severity, nightmare severity, PTSD symptoms and depression. Among cognitive functioning test, especially in BART which evaluates the decision making ability in crisis situation, mean and median response time between pump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In NBACK which evaluates working memory, mean response time was significantly faster after therapy. In sleep indices, sleep efficiency, number of awakening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rapy. In brain functional connectivity, prefrontal cingulate, medial cortex, orbitofrontal cortex, inferior parietal and superior parietal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rapy which was abnormally high at the baseline point.
    Discuss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about the treatment effect of Imagery Rehearsal Therapy scientifically by using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measurements. Some of prior studies already investigated about the effect of Imagery Rehearsal Therapy, however, this study has meaning which is the first trial to verifying the treatment effect of Imagery Rehearsal Therapy applying to clinical PTSD patients with nightmare disorder using fMRI data.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악몽군과 정상군의 기저선의 비교 결과, 악몽군에서 불면증상과 악몽심각도, PTSD 증상, 우울, 불안, 자살 심각도에 있어 유의미하게 높았다. 지속적 집중력과 각성도를 평가하는 PVT 평가에서 악몽군이 정상군에 비해 최대 반응시간에 있어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를 보고하였으며 수면 효율성 및 입면 후 각성 시간, 각성 횟수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뇌 영상을 통한 뇌 영역 기능적 차이를 비교한 결과, 악몽군은 right middle cingulate cortex, medial frontal gyrus, left medial frontal gyrus에서 기능적 연결성이 감소하였고, right inferior frontal gyrus, left cerebellum, culmen에서 기능적 연결성이 증가하였다. 또한 악몽 점수와 right inferior frontal gyrus (r=.66, p=.01), right middle cingulate cortex (r=-.70, p=.005), left cerebellum (r=.56, p=.03), medial frontal gyrus (r=-.84, p=.01), culmen (r=.68, p=.007), left medial frontal gyrus (r=-.83, p<.0001)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치료 전과 후의 임상지표를 분석한 결과,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의 불면증상, 악몽 심각도, PTSD 증상, 우울에 있어 유의미한 호전을 나타내었다. 또한 위기 시 결정능력을 평가하는 BART 평가에서 표시된 풍선부터 다음 펌프 개시까지의 응답시간이 유의미하게 단축되었다. 수면 관련 변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 수면 효율성이 증가하였고, 입면 후 각성시간, 잠든 후 일어난 횟수가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뇌 영역 기능적 차이에서 치료 후에 전방 cingulate와 medial / orbitofrontal cortex와 inferior parietal과 superior parietal 영역 사이의 비정상적으로 높은 연결성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외상 사건으로 인해 악몽을 꾸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심상시연치료를 시행하였고 그 효과성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20명이라는 피험자의 수가 통계적으로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표본 수를 늘려 악몽을 꾸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심상시연치료의 후속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본 연구에 사용된 치료 매뉴얼은 해외에서 사용되는 치료 매뉴얼을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치료 매뉴얼을 수정, 보완하여 보다 질 좋은 치료를 제공하고 동시에 심상시연치료의 보급을 기대한다. 본 연구는 치료 장면에서 습득한 지식 및 심상시연치료의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심상시연 치료를 실시할 수 있는 치료자를 양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성 외상 뿐만 아니라 다양한 장면에서 외상으로 인한 악몽 치료를 실시 할 수 있도록 심상시연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자 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 색인어
  •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악몽, 수면 기능적 뇌혈류 자기공명영상, 이미지 리허설 치료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