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남사당놀이에 내재된 춤적 요소와 가치연구
A Study on the Movements in Namsadang Nori and their Value as a Dance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6S1A5B5A07919221
선정년도 2016 년
연구기간 1 년 (2016년 09월 01일 ~ 2017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문진수
연구수행기관 진주교육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남사당놀이에 나타난 춤적인 요소를 알아보고 그 의미를 분석해보는 연구이다. 남사당놀이는 2009년 9월 30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다른 지정 종목과 달리 남사당은 6종목으로 구성되어, 가(歌)․무(舞)․악(樂)․희(戱)가 두루 연계된 종합 예술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는 전문예인집단이다. 특히 악(樂)을 바탕으로 재담과 소리, 춤적인 요소는 남사당놀이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음악적 측면과 극적인 요소만이 부각되어 있어 춤적 요소는 다른 종목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남사당놀이가 다른 공연집단과 구별되는 이유는 독특한 공연양식이 다양한 종목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특히 신체를 활용한 춤적 요소는 연희적 요소를 더욱 부각시키고 한 차원 높은 예술 경지로 끌어올리는 중요한 공연양식이기에 이에 대한 분석은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남사당패의 가치와 의미를 분석하는 초석이 된다. 또한 연희에 나타난 춤의 형상은 심미적 특징을 바탕으로 상징적 의미와 철학적 사유를 투영하고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전승이 끊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남사당놀이를 살펴보고, 둘째, 종목별로 나타난 춤적 요소를 탐색하고 셋째, 춤적 요소에 나타난 별별적 특징을 비교분석하고 넷째, 춤에 나타난 가치와 의미를 정립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남사당놀이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지정된 소중한 문화유산으로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는 명실상부한 세계적 역량 확보를 위한 교두보가 될 것이다. 또한 학술적으로 남사당놀이에 내재된 춤적 요소를 탐색함으로써 남사당놀이 전반에 내재된 총체적인 예술적 특성을 이해하는데 일조할 것이며, 춤적 요소는 문화복합체를 이루고 있어 다른 인문분야와의 학제적․통섭적 연구의 활성화를 도모할 것이다. 또한 인지도에 비해 연구가 부족한 남사당놀이 연구에 활력을 주는 계기가 될 것이다. 나아가 한국춤의 근간과 정체성을 살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남사당놀이에 나타난 춤적 요소의 변별적 특징을 비교 연구하면서 춤에 내재된 가치와 의미를 탐색하고, 철학적, 사상적, 미학적 원리로 확대하면서 그 의미와 가치를 구현할 것이다. 이 연구는 향후 남사당놀이뿐만 아니라, 한국춤 및 전통연희 연구를 위한 지침서로서 그 역할이 기대되며, 실기와 이론을 체계화하는 연구로서의 교육적 가치가 충분할 것이다.
  • 연구요약
  • 이 연구는 남사당놀이에 내재된 춤적 요소를 탐색하고 그 의미와 가치를 탐구함으로써, 남사당놀이의 연희적 양식과 미의식을 정립하고자 다음과 같이 설계과정을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째, 전승이 끊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남사당놀이를 살펴보고 한다. 남사당놀이는 공연양식을 융합, 습합하는 단체로 과거에는 16종 이상의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현재는 6종목만 남아있어 과거 연행된 종목에 춤적 요소(사당패 유래 : 한량무, 승무 등)를 찾아보고 둘째, 종목별로 나타난 춤적 요소를 탐색하고자 한다. 우선 6종목에 나타난 즉, 풍물에 풍물춤(상모춤), 개인놀이춤, 무동춤, 버나의 버나춤, 살판의 어릿광대춤과 기예, 덧뵈기의 탈춤(배역춤), 줄타기의 줄승무, 덜미의 활대춤 등을 정립하고, 셋째, 춤적 요소에 나타난 별별적 특징을 비교분석하고 한다. 각각 종목에 나타난 춤적 요소를 분석하고 연관성 및 차이점을 규명함으로써 독특한 춤사위의 특성을 알아보고 넷째, 종목별 춤에 나타난 가치와 그 의미를 조명하고자 한다. 이상의 남사당놀이의 춤적 요소에 나타난 가치와 의미를 통하여 무형문화유산의 미적 요소를 논의한다.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남사당놀이의 우수성과 미의식을 마련함으로써 최종목표를 달성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남사당놀이는 악(樂)․가(歌)․무(舞)․희(戱)․기예(技藝)와 곡예(曲藝) 등이 두루 연계된 총체적인 예술일 뿐만 아니라, 노동․제의․민속․종교․사상 등 매우 다양한 주제와 내용을 담고 있는 ‘문화복합체’로서, 민중의 삶을 대변하는 민중예술과 전문적 예술성을 바탕으로 한 문화적 예술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으며, 춤을 비롯한 다양한 예술 장르를 효과적으로 융합시킴으로서 예술성을 높이고 대중적인 성향을 지향한다.
    남사당놀이는 연희적 특성에 따라 다른 어떤 요소보다도 신체 표현이 중시된다는 점에서 춤은 공연 요소를 구성하고 연출하는 것에 따라 적절히 도입되어져 주제를 가시화하고, 놀이를 결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지녔다.
    이러한 춤의 요소는 전문단체의 연희성을 바탕으로 한 기예를 보여주지만, 단순히 기술적이고 기능적인 면에 치중된 볼거리보다는 기예에 춤동작들을 삽입함으로써 예술적 개성과 표현성, 그리고 풍자와 해학적 생동감을 불어넣고 있다. 또한 기예에 결합된 춤의 움직임은 놀이(종목)의 활력과 개성을 표현해내며 기술적 기교에서 탈피해 예술적으로 연희적 특징을 두드러지게 하는 미적 가치를 지녔다.
    나아가 관객과 호흡하고 어울리는 공동체적 집단의식을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기교적인 춤과 해학적인 춤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공연요소에 긴장과 이완의 원리로 예술적 가치를 감성으로 느끼며 심미적 경험을 일으켜 감응하고 반응하게 한다.
    이러한 점에서 문화원형으로서의 남사당놀이의 춤의 요소는 무한한 가치를 지니고 있었으며, 춤의 표현적 의미와 예술적 영영의 확장은 문화적 감성 코드로 현재에 소통하고 나아가 춤의 요소를 다양하게 재구성하는 공연 콘텐츠로서의 가능성도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 영문
  • Dancing elements shown in Namsadang Nori intervene organizationally and technologically in dramatically expressed performances. The effect of dancing elements is to insert dancing elements appropriate for performance elements, and so extend artistic expressive areas, and then add the beauty of composition and the beauty of form to performances, and further enhance the artistic completeness of performances. In addition, dancing elements combined with arts include aesthetic values to express the vitality and personality of performances and highlight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rtistically beyond technical skills. In this point, dancing elements in Namsadang Nori as a cultural prototype embrace infinite values in that the expressive meaning and artistic area extension of dancing elements communicate with cultural emotional codes in the present and further have sufficient possibilities as performance contents to reconstruct dancing elements diversel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남사당놀이는 악(樂)․가(歌)․무(舞)․희(戱)․기예(技藝)와 곡예(曲藝) 등이 두루 연계된 총체적인 예술일 뿐만 아니라, 노동․제의․민속․종교․사상 등 매우 다양한 주제와 내용을 담고 있는 ‘문화복합체’로서, 민중의 삶을 대변하는 민중예술과 전문적 예술성을 바탕으로 한 문화적 예술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으며, 춤을 비롯한 다양한 예술 장르를 효과적으로 융합시킴으로서 예술성을 높이고 대중적인 성향을 지향한다.
    남사당놀이는 연희적 특성에 따라 다른 어떤 요소보다도 신체 표현이 중시된다는 점에서 춤은 공연 요소를 구성하고 연출하는 것에 따라 적절히 도입되어져 주제를 가시화하고, 놀이를 결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지녔다.
    이러한 춤의 요소는 전문단체의 연희성을 바탕으로 한 기예를 보여주지만, 단순히 기술적이고 기능적인 면에 치중된 볼거리보다는 기예에 춤동작들을 삽입함으로써 예술적 개성과 표현성, 그리고 풍자와 해학적 생동감을 불어넣고 있다. 또한 기예에 결합된 춤의 움직임은 놀이(종목)의 활력과 개성을 표현해내며 기술적 기교에서 탈피해 예술적으로 연희적 특징을 두드러지게 하는 미적 가치를 지녔다.
    나아가 관객과 호흡하고 어울리는 공동체적 집단의식을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기교적인 춤과 해학적인 춤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공연요소에 긴장과 이완의 원리로 예술적 가치를 감성으로 느끼며 심미적 경험을 일으켜 감응하고 반응하게 한다.
    이러한 점에서 문화원형으로서의 남사당놀이의 춤의 요소는 무한한 가치를 지니고 있었으며, 춤의 표현적 의미와 예술적 영영의 확장은 문화적 감성 코드로 현재에 소통하고 나아가 춤의 요소를 다양하게 재구성하는 공연 콘텐츠로서의 가능성도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남사당놀이에 나타난 춤은 크게 풍물춤, 탈춤, 기예춤, 어릿광대춤, 인형춤 등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풍물은 풍물춤, 진법춤, 악기춤, 상모춤, 무동춤, 살판, 버나, 줄타기는 기예춤과 풍자춤, 덧뵈기는 탈을 활용한 배역춤과 합동춤, 꼭두각시는 인형을 활용한 줄춤, 막대기춤, 주머니춤 등이 있고, 살판, 버나, 줄타기에서는 매호씨와 호흡하며 어릿광대춤과 해학적인 춤으로 나타났으며, 남사당놀이 전반에 걸쳐 민속춤에 나타난 다양한 춤과 춤사위들을 공연 요소에 활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남사당놀이는 연희적 특성에 따라 다른 어떤 요소보다도 신체 표현이 중시된다는 점에서 춤은 공연 요소를 구성하고 연출하는 것에 따라 적절히 도입되어져 주제를 가시화하고, 놀이(종목)를 결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지녔다. 이러한 춤의 요소는 전문단체의 연희성을 바탕으로 한 기예를 보여주지만, 단순히 기술적이고 기능적인 면에 치중된 볼거리보다는 기예에 춤동작들을 삽입함으로써 예술적 개성과 표현성, 그리고 풍자와 해학적 생동감을 불어넣고 있다. 또한 기예에 결합된 춤의 움직임은 놀이(종목)의 활력과 개성을 표현해내며 기술적 기교에서 탈피해 예술적으로 연희적 특징을 두드러지게 하는 미적 가치를 지녔다. 나아가 관객과 호흡하고 어울리는 공동체적 집단의식을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기교적인 춤과 해학적인 춤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공연요소에 긴장과 이완의 원리로 예술적 가치를 감성으로 느끼며 심미적 경험을 일으켜 감응하고 반응하게 한다. 이러한 점에서 문화원형으로서의 남사당놀이의 춤의 요소는 무한한 가치를 지니고 있었으며, 춤의 표현적 의미와 예술적 영영의 확장은 문화적 감성 코드로 현재에 소통하고 나아가 춤의 요소를 다양하게 재구성하는 공연 콘텐츠로서의 가능성도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연구결과 활용방안
    1)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1) 연구 기반 자료 구축
    본 연구는 현재 남사당놀이 뿐 만 아니라 남사당놀이에 내재된 다양한 춤의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남사당놀이에 대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고, 남사당놀이 및 남사당패 연구 기반을 튼튼하게 다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특히 다양한 분야에 연구의 활용을 통하여 자료의 학문적, 교육적 활용도가 극대화 될 수 있다.

    (2) 남사당놀이의 세계적 역량 확보
    남사당놀이는 2009년 9월 30일 UNESCO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다른 지정 문화재 종목은 주로 단일 종목으로 지정된 것과는 달리 남사당은 6종목 즉, 풍물, 버나(접시돌리기), 살판(땅재주), 어름(줄타기), 덧뵈기(탈춤), 덜미(꼭두각시)로 구성되어, 가(歌)․무(舞)․악(樂)․희(戱)기예(技藝) 등이 두루 연계된 종합 예술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귀중한 전승 유산들을 종합적․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이 분야의 토대를 완벽하게 구축함으로써 이 분야의 명실상부한 세계적 역량을 확보하는 것이다.

    (3) 인접 학문 분야들의 연구 활성화
    남사당놀이는 가(歌)․무(舞)․악(樂)․희(戱), 기예(技藝) 등이 두루 종합된 일종의 총체적인 예술일 뿐만 아니라, 노동․제의․민속․종교․사상 등 매우 다양한 주제 내용을 담고 있는 일종의 ‘문화복합체’이다. 따라서 이에 관한 연구도 학제적․통섭적 방향을 지향할 때 비로소 가장 바람직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인접 학문 분야들의 학제적․통섭적 연구를 활성화할 초석을 마련한다. 남사당놀이 연구는 음악학․무용학․연극학․문학․민속학․인류학․사회학․철학 등이 골고루 관여할 수 있는 근거들이 충분히 있으며 실제로 그러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4) 교육 분야 자료 활용성 극대화
    본 연구는 연구 분야뿐만 아니라 교육 분야에도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물은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한 창의교육과 융합교육에 다양한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5) 사상적 체계 마련
    본 연구에서는 남사당놀이에 나타난 춤적 요소와 변별적 특징을 비교 연구하면서 춤에 내재된 미적 가치와 원리를 탐색하고, 미학적․철학적․사상적 원리로 확대하고 그 의미를 조명함으로서 남사당놀이에 나타난 춤적 특성에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남사당놀이에 기본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철학적 의미를 탐색하고, 미학적 탐색을 통하여 남사당놀이의 철학적 의미와 가치를 구현하는데 일조할 것이다.
  • 색인어
  • 남사당, 남사당패, 남사당놀이, 사당패, 전통연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