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이제까지 시도된 바 없는 ‘한국 수어’의 ‘형태․구조’와 ‘의미’ 간에 존재하는 닮음, 즉 도상적 양상을 체계화하고 그 의미 특성을 밝히려는 기획이다. 첫째, 이 연구의 분석 대상은 한국수화사전의 6,885개의 어휘, 그리고 한국수화 문형사전의 5,028개 ...
이 연구는 이제까지 시도된 바 없는 ‘한국 수어’의 ‘형태․구조’와 ‘의미’ 간에 존재하는 닮음, 즉 도상적 양상을 체계화하고 그 의미 특성을 밝히려는 기획이다. 첫째, 이 연구의 분석 대상은 한국수화사전의 6,885개의 어휘, 그리고 한국수화 문형사전의 5,028개 문장이다. 둘째, 이들 수어 자료를 대상으로 어휘 층위와 문장 층위에 나타나는 도상적 양상을 유형화하고, 자연언어와 수어의 도상성 간에, 그리고 한국 수어와 다른 나라 수어(북한, 미국, 중국, 일본, 스페인) 간에 나타나는 공통성과 특이성을 통해 한국 수어의 의미 특성을 규명한다. 셋째, 이 결과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한국 수어의 어휘․문장․담화사전 편찬, 수어 공동체 간의 의사소통 증진, 수어 교육, 도상성과 관련한 인지언어학의 지평 넓히기에 활용한다.
제1차년에는 한국수화사전의 6,885개의 어휘에 대한 도상적 양상을 분류하고 그 의미 특성을 밝힌다. 첫째, 한국 수어의 본질을 규명하기 위해 인지언어학의 주요 기제인 ‘도상성(iconicity)’의 성격과 유형을 규정한다. (1) 한국 수어의 본질을 규명하기 위해 인지언어학의 주요 기제인 도상성의 성격과 유형을 규정한다. (2) 도상적 수어의 생산 과정을 밝힌다. 둘째, 한국 수어의 도상적 양상을 영상적, 구조적, 거리적 도상성의 세 가지 측면에서 밝힌다. 셋째, 한국 수어의 도상적 의미 특성 규명한다. (1) 자연언어 대비 수어의 도상성 정도를 밝힌다. (2) 자연언어에서 단일어는 ‘집’, ‘나무’와 같이 형태와 의미 관계가 자의적이지만, 수어의 경우 도상적인데 그 정도를 밝힌다. (3) 수어 도상성의 특성을 밝힌다. 즉 수어의 경우 영상적, 구조적, 비유적 도상성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경향 및 세 가지 유형의 활성화 정도, 환유적 도상성에서 부분→전체, 전체→부분의 활성화 정도, 은유적 도상성에서 구조적, 존재론적, 방향적 은유의 활성화 정도 및 그 까닭을 밝힌다. (4) 한국 수어와 북한, 미국, 중국, 일본, 스페인 수화 간의 공통성과 특이성을 대조하여 문화 간 변이의 의미 특성을 밝힌다.
제2차년에는 한국수화사전의 6,885개 어휘를 대상으로 한국 수어에 나타나는 의미관계의 도상적 양상을 규명하고 그 의미 특성을 밝힌다. 첫째, 한국 수어 의미관계인 다의관계, 동음이의관계, 동의관계, 대립관계, 하의관계, 부분관계의 도상적 양상을 규명한다. 둘째, 한국 수어 의미관계의 도상적 의미 특성을 규명한다. (1) 자연언어와 한국 수어 의미관계의 도상적 공통성과 특이성을 규명한다. (2) 한국 수어와 타 문화권(북한, 미국, 중국, 일본, 스페인) 수어 의미관계의 도상적 공통성과 특이성을 밝힌다.
제3차년에는 한국수화 문형사전의 5,028개 문장을 대상으로 한국 수어 문장 층위에 나타나는 도상적 양상을 규명하고 그 의미 특성을 밝힌다. 첫째, 한국 수어 문장의 도상적 원리를 규명한다. (1) 수어 문장과 자연언어 문장 간의 공통성과 차이점을 밝힌다. (2) 수어 문장은 내용어의 개념 중심으로 문장을 구성하므로 문장의 구조와 의미가 상관성을 띠는데, 자연언어의 문장에 비해 도상적 경향성의 정도를 밝힌다. 둘째, 한국 수어 문장의 도상적 양상을 양적, 순서적, 거리적 도상성에 따라 규명한다. 셋째, 한국 수어 문장의 도상적 의미 특성을 규명한다. (1) 수어 문장의 도상적 경향성 (2) 수어와 자연언어 문장 간의 도상적 공통성과 특이성 (3) 도상적 수어 문장과 자연언어 문장 간의 완결성 정도 (4) 한국 수어와 타 문화권 수어 문장 간의 도상적 공통성과 특이성. 넷째, 1∼3차년의 연구 내용을 종합하고, 이에 대한 활용방안을 제시하면서 연구를 마무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