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디지털 소외 문제해결을 위한 직관적 서비스디자인과 지능형 키오스크 셀프 서비스 개발 연구
Study on the Intuitive Service Design and Intelligent Kiosk Self Service Development for Solving Digital Alienation Problem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 #40;인문사회& #41;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9-S1A5A8-2019S1A5A8038753
선정년도 2019 년
연구기간 1 년 3 개월 (2019년 05월 01일 ~ 2020년 07월 31일)
연구책임자 이강덕
연구수행기관 서강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데이터들이 초연결되고 융복합화, 디지털 전환되면서 점차 사용자의 서비스 가치는 증대되고 있다. 또한 디지털 공유경제가 확산되면서 대형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 온 디맨드 서비스가 실시간으로 제공됨으로써,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서비스들이 실현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활용성이 높은 사용자들의 가치는 높아지는 반면, 정보 소외 계층이나 경제적 약자, 특히 고령 사용자들의 디지털 활용도나 접근도는 점차 더 낮아져, 정보격차(Digital Divide)나 디지털 소외(Digital Alienation) 현상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기술의 발달에 따라 고도화된 무인화 셀프서비스가 확산되어가는 추세에 맞춰 더 심각한 사회현상으로 심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할 수 있으려면, 디지털 소외를 경험하는 많은 사용자들이 보다 사용하기 쉽고 접근하기 용이하며,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 활용도를 높여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디지털 소외 계층들이 직관적으로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한다. 방법적으로, 활용목적과 접근방법에 따른 셀프서비스 유형을 분류하고,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디자인을 활용한 서비스 프로세스 시각화, 최적화 기법을 적용하고, 최종적으로 직관적인 지능형 셀프서비스 키오스크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그 효능을 검증하는 것을 연구 목표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의 연구주제를 포함한다.
    첫째, 디지털 소외 현상은 왜 발생하며, 고령사용자가 지닌 문제와 요구사항은 무엇인가?
    둘째, 정보격차 및 디지털 소외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가?
    셋째, 해결책으로써 직관적 서비스 디자인과 지능형 셀프서비스시스템은 어떻게 구축할 수 있는가?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의 촉발로 인한 기술발달에 비해, 초고령화 사회로 이행되고 있는 현실에서 사용자들은 점차 사회적, 경제적 소외뿐만 아니라, 기술적 측면에서 정보격차와 디지털 소외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직관적인 서비스 디자인을 적용한 지능형 셀프서비스 솔루션을 개발하고 제공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고령 사용자 등이 디지털 활용과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을 증대시키고 고령친화적 서비스 개발의 기초연구로 활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기대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현재 제공되고 있는 기술 기반의 셀프서비스를 직관적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새롭게 프로세스 및 UX/UI를 디자인함으로써, 새로운 서비스를 통한 디지털 소외 문제해결 접근법의 기초연구로 활용할 수 있다. 둘째, 디지털 활용이 취약한 계층을 셀프서비스의 잠재고객으로 발굴하여 새로운 서비스 및 시장 개발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 셋째, 디지털 소외 계층의 특성 및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정보격차로 인한 정보활용 및 접근의 간극을 해소하고 실무적 측면에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할 수 있다. 넷째, 기존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를 진화(Servitization)시켜 서비스 R&D의 부가가치 창출의 기초연구로 활용할 수 있다. 다섯째, 무인화 추세에 따른 고객 서비스 영역의 품질향상 및 서비스수준 제고로 고령친화적 서비스산업의 규모를 확대시키는 전략수립의 기초연구로 활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고령친화적 서비스 관련 논문 및 특허를 출원, 등록하여 사용자 중심적 서비스 개발 및 응용연구를 심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기술 기반의 셀프서비스들의 유형을 활용목적과 접근방법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대표적 셀프서비스의 핵심프로세스를 표준화하여, 디지털 소외 계층 및 고령 사용자들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적인 UX/UI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단계 연구 준비단계에서는 국내외 저명 학술지와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문헌조사를 수행하고 탐색한 변수와 측정항목을 구체화한다.
    2단계 연구 시작단계에서는 디지털정보화 교육기관과 협력하여 정보화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고령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를 수행하고, 자료를 수집한다.
    3단계 연구 수행단계에서는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셀프서비스 유형분류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여 고령사용자 및 디지털 소외 계층에게 유용한 셀프서비스 유형을 분류한다. 분류된 셀프서비스 유형 중 대표 서비스를 선정하여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최적화된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디자인 방법론(고객여정지도, 서비스 블루프린트, 시각화, 최적화 기법 등)을 적용하여 최적의 서비스 솔루션을 도출한다.
    4단계 연구심화단계에서는 최적화된 서비스를 적용한 지능형 키오스크 서비스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실험군을 설정하여 개발된 서비스 프로토타입의 효용성을 검증한다.
    5단계 연구 종료단계에서는 수집된 데이터셋과 분석결과, 개발 산출물 등을 종합하여 최종결과보고서를 작성하고, 논문작성과 후속연구 연계전략을 수립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소외나 정보격차로 소외될 수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 실용적으로 개선된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데 있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데이터들이 초연결되고 융복합화, 디지털 전환되면서 점차 사용자의 서비스 가치는 증대되고 있다. 또한 디지털 공유경제가 확산되면서 대형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 온 디맨드 서비스가 실시간으로 제공됨으로써,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서비스들이 실현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활용성이 높은 사용자들의 가치는 높아지는 반면, 정보 소외 계층이나 경제적 약자, 특히 고령 사용자들의 디지털 활용도나 접근도는 점차 더 낮아져, 정보격차(Digital Divide)나 디지털 소외(Digital Alienation) 현상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기술의 발달에 따라 고도화된 무인화 셀프서비스가 확산되어가는 추세에 맞춰 더 심각한 사회현상으로 심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려면, 디지털 소외를 경험하는 많은 사용자들이 보다 사용하기 쉽고 접근하기 용이하며,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지속해서 활용도를 높여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디지털 소외 계층들, 특히 고령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셀프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한다. 방법적으로, 활용목적(정보획득 vs. 구매/사용)과 접근방법(온라인 vs. 오프라인)에 따른 셀프서비스 유형을 분류하고, 50~70대 스마트폰 및 디지털 기기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12가지의 서비스디자인 기본방향(원칙)을 도출하였다. 12가지 기본방향은 단순한 절차, 분명한 정보 전달, 선택지 최소화, 충분한 시간, 쉬운 한글, 친숙한 이미지, 큰 화면/큰 글씨, 간편한 터치, 간편 결제, 음성 처리, 전용 메뉴, 직원호출/대기 등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 시스템 사고(Systemic thinking)를 결합한 서비스 개발 4D 방법론을 활용하여,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디자인을 활용한 서비스 프로세스 시각화, 최적화 기법을 적용하였고, 최종적으로 직관적인 대화형 셀프서비스 키오스크 프로토타입(패스트푸드 전문점)을 개발하여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providing intuitive and easy-to-use services to users who may be isolated by digital alienation or digital divide and to develop prototypes with improved service design practical.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value of users' services is gradually increasing as data are hyperconnected, converged, and digitalized. In addition, as the digital sharing economy spreads, on demand services centered on large platforms are being provided in real time, services that were previously impossible are being realized. However, while the value of users with high digital utilization increases, the digital utilization and access of the information marginalized or economically disadvantaged, especially older users, is increasingly lower, resulting in digital divide or digital alienation. This phenomenon is deepening into a more serious social phenomenon in line with the spread of advanced unmanned self-service as technology develops.
    To solve these problems, many users who experience digital alienation need to make efforts to develop, provide, and continue to increase utilization of products or services that are more user-friendly and accessible. To this end, we aim to develop self-service that can be easily accessed and utilized intuitively by digital underprivileged people, especially older users. Methodically, the purpose of use (information acquisition vs. purchase/use) and approach (online vs. We categorized self-service types according to offline), surveyed smartphone and digital device users in their 50s and 70s, and analyzed the requirements to derive 12 basic service design directions (principles). The 12 basic directions were divided into simple procedures, clear information delivery, minimization of choice options, sufficient time, easy Korean, familiar images, large screen/large letters, easy touch, simple payment, voice processing, exclusive menu, and employee call/standby.
    The service development 4D methodology, which combines design thinking and systematic thinking, applied service process visualization and optimization techniques using user-centered service design, and finally developed an intuitive interactive self-service kiosk prototyp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소외나 정보격차로 소외될 수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직관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 실용적으로 개선된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데 있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데이터들이 초연결되고 융복합화, 디지털 전환되면서 점차 사용자의 서비스 가치는 증대되고 있다. 또한 디지털 공유경제가 확산되면서 대형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 온 디맨드 서비스가 실시간으로 제공됨으로써,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서비스들이 실현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활용성이 높은 사용자들의 가치는 높아지는 반면, 정보 소외 계층이나 경제적 약자, 특히 고령 사용자들의 디지털 활용도나 접근도는 점차 더 낮아져, 정보격차(Digital Divide)나 디지털 소외(Digital Alienation) 현상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기술의 발달에 따라 고도화된 무인화 셀프서비스가 확산되어가는 추세에 맞춰 더 심각한 사회현상으로 심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려면, 디지털 소외를 경험하는 많은 사용자들이 보다 사용하기 쉽고 접근하기 용이하며,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지속해서 활용도를 높여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디지털 소외 계층들, 특히 고령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셀프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한다. 방법적으로, 활용목적(정보획득 vs. 구매/사용)과 접근방법(온라인 vs. 오프라인)에 따른 셀프서비스 유형을 분류하고, 50~70대 스마트폰 및 디지털 기기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12가지의 서비스디자인 기본방향(원칙)을 도출하였다. 12가지 기본방향은 단순한 절차, 분명한 정보 전달, 선택지 최소화, 충분한 시간, 쉬운 한글, 친숙한 이미지, 큰 화면/큰 글씨, 간편한 터치, 간편 결제, 음성 처리, 전용 메뉴, 직원호출/대기 등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 시스템 사고(Systematic thinking)를 결합한 서비스 개발 4D 방법론을 활용하여,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디자인을 활용한 서비스 프로세스 시각화, 최적화 기법을 적용하였고, 최종적으로 직관적인 대화형 셀프서비스 키오스크 프로토타입(패스트푸드 전문점)을 개발하여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래와 초고령화 사회로 이행되고 있는 현 사회현상을 반영하여, 정보격차에 따른 디지털 소외와 정보 소외현상에 해당되는 사용자, 특히 고령자 계층의 디지털 접근과 활용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는 연구로 다음과 같이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첫째,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하여 직관적이고 친 사용자적인 서비스를 개발하고 실제 삶에 적용할 수 있는 수준의 산출물을 도출하여 그 효용 가치를 가늠해 봄으로써, 고령 친화적 서비스가 지속해서 개발되고 제안되어 디지털 소외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문제해결 접근법(Problem solving approach)의 기초연구로 활용할 수 있다.
    - 둘째, 디지털 활용수준이 높고 디지털 활동이 왕성한 사용자뿐만 아니라, 이전에는 소외되고 등한시되었던 고령자들을 잠재 고객군으로 세분화하여 발굴하고, 그 원인을 파악해 봄으로써, 새로운 서비스 개발 및 시장개척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연구로 활용할 수 있음
    * 키오스크를 활용한 셀프서비스에서 특정 사용자 그룹, 즉 시니어(고령) 세대를 위한 서비스 프로세스를 별도로 제공함으로써, 일반 사용자와 다른 프로세스를 통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서비스 이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음
    - 셋째, 정보격차로 인한 정보 활용 및 접근의 간극(Gap)을 해소하고 누구나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온디맨드 서비스를 제안함으로써, 사회경제적 부가가치 창출 및 마케팅 직관(Insight)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음
    * 기업의 마케팅 및 운영관리자, 고객 서비스 실무자 등은 세분화된 고객(고령자 주 대상)에 맞춤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차별화된 전략 수립 및 운영을 할 수 있어 안정된 고객 확보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음
    - 넷째, 기존 제공되고 있는 셀프서비스 방식과 서비스 가치를 새롭게 진화(Servitization)시킴으로써, 서비스 R&D의 기초연구로 활용할 수 있음
    -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고령 친화 산업의 새로운 비즈니스모델 및 사업의 기회를 서비스 측면에서 심화시켜 시장규모를 확대시킬 수 있는 경쟁력확보 및 유지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음
    - 이 외에도,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 응용연구, 심화연구의 기초를 제공하여 다양한 서비스의 개발과 진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 색인어
  • 디지털 소외, 정보격차, 고령친화적 제품과 서비스, 서비스디자인, 서비스 R&D, 셀프서비스 키오스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