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자 정형화 이론 구축” 성과물의 DB구축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 토대연구 연구결과물 추적 및 DB구축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34-A00008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6 개월 (2011년 12월 30일 ~ 2012년 06월 29일)
연구책임자 이규갑
연구수행기관 연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애영(안양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중국과 국내의 기존 DB와 비교할 때 본 연구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물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만 교육부의 이체자자전의 자료는 󰡔설문해자󰡕 이후의 전승 자전이 자료의 내원이었던 반면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의 실물자료 특히 소전 이후 해서 시기에서 추출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둘째 상술한 두 자료는 각 나라별 즉 중국과 한국의 자료에 국한되어 있지만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의 실물자료를 모두 아우르고 있다. 즉 중국의 漢代부터 宋代 이전까지 小篆과 隸書, 楷書로 쓰여진 각종 碑文과 墓誌銘을 포함하고, 한국의 자료로는 三國시대부터 高麗시기까지 각국 金石文과 유물에 새겨진 문자를 망라하고 있다. 셋째 공시적 연구 뿐 아니라 통시적 연구에 적합하도록 중국과 한국 두 지역의 자형 뿐 아니라 각 朝代別 자형을 모두 포괄하고 있어서 자형의 다양성 연구와 함께 변화양상을 일목요연하게 제공함으로써 한자 학습자와 연구자 모두 용이하게 자료를 습득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이체자에 대한 시기별․지역별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과거의 수많은 이체자 속에서 어떻게 현대의 정자형이 탄생되었는지 배경 원인을 고찰하기 쉽도록 하였고, 자형이 정형화된 시기를 추정할 수 있게 하였으며 한국과 중국의 한자 정형과 과정 속에서 드러나는 제 특징들에 관한 이론 정립에 기초를 제공하기에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기대 효과

    학문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1) 古籍 해독에 있어서의 難題를 해결할 수 있다. 三國時代의 木簡이나 陶器 상의 글자, 혹은 각종 碑文 상의 글자, 古地圖에 보이는 글자 등, 고대의 문헌이나 글자가 새겨진 유물 중에는 현재 사용치 않는 글자들이 많이 보이는데, 이것들을 정확하게 읽어내려 갈 수 있다. 그 예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자가 우리나라에 유입된 시기를 추정하는데 표준기 역할을 하는 “秦△之待戈”꺽창에 새겨진 글자들은 현재 사용치 않는 자형이나 본 연구에 의하여 “康侯之待戈”라고 올바로 考釋할 수 있다.
    2) 과거에 잘못 판독한 글자들을 바로 잡을 수 있다. 예를 들면 百濟 武寧王陵誌石의 ‘’자를 국내에서는 아예 ‘△’로 남겨두거나 “錯의 古字”라고 考釋하고 있는데, 이는 ‘錯’의 古字가 아니라 ‘措’의 古字인 ‘’이다. 또 百濟의 유물인 方格規矩神獸鏡(그림참고)에서 ‘’字를 일부 학자들은 ‘飮’으로 考釋하고 있으나 字形 구조상 이는 ‘澤’의 日本式 略字인 ‘沢’이다. 이는 이미 百濟 때에 王仁과 아직기가 󰡔論語󰡕 등을 일본에 전했다는 기록과 연결지어 생각할 수 있는 중대한 발견이다. 만약 본 연구를 통하여 이를 방증할 수 있는 자료를 더 확보할 수 있다면 日本에서 현재 쓰고 있는 日本式 漢字의 淵源을 일찍이 百濟에서 찾을 수 있다고 조심스럽게 가정할 수 있을 것이다.
    3) 글자가 새겨진 金石文이 발견되었을 때 아주 오래된 것이면서 시기를 밝힐 수 있는 기록이 없으면 시기별로 차이가 나는 글자의 구조를 이용해 그 시기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寂’의 異體字形 가운데 하나인 ‘’이 統一新羅 이후의 자료에서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에 의거하여 華嚴石經의 제작시기를 統一新羅 시기로 추정한 바 있다.
    4) 漢字 字形 變遷史를 통시적으로 규명하고, 漢字 定型化 過程을 도식화할 수 있다.
    5) 현재 사용되지 않는 글자들을 정확하게 판독하여 고대 문헌의 내용을 현재 사용되는 글자로 전산화함으로써 학문 활동에 커다란 도움을 줄 수 있다.

    2. 사회적 기여
    사회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기여할 수 있다.
    1) 모든 문헌에 출현되는 글자를 정확하게 판독함으로써, 그 문헌의 완전한 번역이 가능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일반 사람이 옛 문헌의 내용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2) 이 기록물의 내용을 통하여 과거 사람들의 사상이나 사고 유형, 생활 방식 등에 대한 이해가 쉽게 되며, 이를 현대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틀을 제공할 수 있다.
    3) 현재의 시점에서 漢字를 現代에 맞게 定型化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함으로서 모든 인쇄물에서의 字形을 統一할 수가 있다. 현재는 동일한 구조의 글자라도 국가마다, 혹은 우리나라 안에서도 인쇄물마다 미세하나마 약간씩의 자형이 다른데, 이를 통일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3.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교육 현장에서는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1) 대학원 과정에서 어떠한 古代 典籍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해 준다.
    2) 고대 典籍의 원형을 現代의 漢字로 옮겨 놓음으로서 학부에서도 原典의 수업이 편리할 수 있게 된다.
  • 연구요약
  • 가. DB구축의 절차

    실제 DB구축의 단계에서는 우선 원자료의 현황 및 특성과 원자료의 가능한 이용방식 등에 대해 관련 실제 DB의 이용자가 될 한자 자형 연구자와 전문 개발자가 자료에 대해 검토하고 이용방식 등에 대해 상의 하는 과정을 거쳐, DB구축의 범위, 요건 및 지침 등을 확정하여야 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 기초학문자료센터 구축DB의 원형과 표준지침을 적용한다. DB구축의 요건 및 지침을 확정한 후 이에 따라 기본 데이터의 작성 및 가공작업에 들어간다.

    1) 작업저본의 준비
    우선, 구축대상 원본자료를 확보, 복사하여 작업용 저본을 준비한다.

    2) 자료 입력 및 가공
    자료의 입력은 유니코드를 기본으로 하되, 원자료의 특성상 포함되어 있는 (新出)異體字들은 별도의 폰트를 적용하는 방식을 사용한 표기 방법 등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자료입력 및 가공의 절차는 대체로 아래와 같다.

    - 먼저, 7개 시기별로 출현한 正字와 異體字 목록 총 14개 자료를 기본 데이터로 가공한다.
    - 7개 시기별 異體字 데이터들 토대로 전체 異體字目錄 데이터를 작성한다.
    - 7개 시기별 正字 데이터들을 통합하고, 전체 異體字目錄 데이터의 개별 異體字들의 正字를 추가 추출, 통합하여 전체 正字目錄 데이터를 작성한다.
    - 전체 正字目錄 데이터의 각 正字에 대한 부수, 획수, 총획수, 음가, 의미 등의 검색을 위한 기본 字典정보를 구축한다.
    - 전체 異體字目錄 데이터의 각 異體字에 대한 正字 정보를 전체 正字目錄 데이터에 등록된 正字 정보와 연결 처리한다.
    - 각각의 正字에 대해서 기본 자전정보와 아울러, 正字 자체의 출처정보와 출현시기정보, 해당 正字와 연결된 異體字 목록 정보를 구축한다.
    - 각각의 異體字에 대해서는 해당 異體字의 출처정보와 출현시기정보, 그리고 해당 異體字와 연결된 正字 정보를 구축한다.
    - 漢字 字形 자료의 출처가 되는 한국과 중국의 碑文 약 2천 종의 기본 목록 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로 입력, 가공하고, 이를 전체 正字目錄 및 전체 異體字目錄의 데이터와 연계 처리한다.

    3) 자료의 XML 태깅 및 교정작업
    위와 같이 가공처리된 DB의 데이터를 토대로 XML형태의 산출물을 작성하기 위한 XML 태깅 작업에 있어서는 자료별 특성을 고려하여 통합 XML DTD 또는 개별 XML DTD를 작성하여 작업한다. XML DTD는 XML규격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추후 안내될 기초학문자료센터 구축DB의 원형과 표준지침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한다.
    XML 파일의 단위는 전문연구자의 의견과 기관의 DB구축 지침을 반영하여 적용하고, XML 형식태그는 원자료의 특성이 반영되도록 작성한다.
    또한 XML 태깅 작업은 전용 SW의 활용 및 자료 성격에 대한 전문연구자의 의견을 반영한 매크로 작업 등의 자동화 작업을 통해 진행하고, 태깅된 자료의 교정 및 자료의 오류를 효율적으로 검사하기 위해서 자료별, 작업공정별로 필요한 검증 S/W와 전문연구자의 수작업을 통한 교정작업을 병용한다.

    4) 최종 결과물의 확정
    품질 검사가 완료된 자료에 대해서 최종 XML형태의 파일로 제작하고, 제작된 자료에 대한 최종 검증작업과 수정작업을 실시한다.
  • 한글키워드
  • 시기별,DB,중국,지역별,한자,정자,이체자,한국
  • 영문키워드
  • country,chinese.,korea,original forms,dynasty,chinese chacters. variant form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가. DB구축의 절차 실제 DB구축의 단계에서는 우선 원자료의 현황 및 특성과 원자료의 가능한 이용방식 등에 대해 관련 실제 DB의 이용자가 될 한자 자형 연구자와 전문 개발자가 자료에 대해 검토하고 이용방식 등에 대해 상의 하는 과정을 거쳐, DB구축의 범위, 요건 및 지침 등을 확정했다. 또한 이 단계에서 기초학문자료센터 구축DB의 원형과 표준지침을 적용했다. DB구축의 요건 및 지침을 확정한 후 이에 따라 기본 데이터의 작성 및 가공작업에 들어간다. 1) 작업저본의 준비 우선, 구축대상 원본자료를 확보, 복사하여 작업용 저본을 준비했다. 2) 자료 입력 및 가공 자료의 입력은 유니코드를 기본으로 하되, 원자료의 특성상 포함되어 있는 (新出)異體字들은 별도의 폰트를 적용하는 방식을 사용한 표기 방법 등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자료입력 및 가공의 절차는 대체로 아래와 같다. - 먼저, 7개 시기별로 출현한 正字와 異體字 목록 총 14개 자료를 기본 데이터로 가공했다. - 7개 시기별 異體字 데이터들 토대로 전체 異體字目錄 데이터를 작성했다. - 7개 시기별 正字 데이터들을 통합하고, 전체 異體字目錄 데이터의 개별 異體字들의 正字를 추가 추출, 통합하여 전체 正字目錄 데이터를 작성했다. - 전체 正字目錄 데이터의 각 正字에 대한 부수, 획수, 총획수, 음가, 의미 등의 검색을 위한 기본 字典정보를 구축했다. - 전체 異體字目錄 데이터의 각 異體字에 대한 正字 정보를 전체 正字目錄 데이터에 등록된 正字 정보와 연결 처리했다. - 각각의 正字에 대해서 기본 자전정보와 아울러, 正字 자체의 출처정보와 출현시기정보, 해당 正字와 연결된 異體字 목록 정보를 구축했다. - 각각의 異體字에 대해서는 해당 異體字의 출처정보와 출현시기정보, 그리고 해당 異體字와 연결된 正字 정보를 구축했다. - 漢字 字形 자료의 출처가 되는 한국과 중국의 碑文 약 2천 종의 기본 목록 정보를 별도의 데이터로 입력, 가공하고, 이를 전체 正字目錄 및 전체 異體字目錄의 데이터와 연계 처리했다. 3) 자료의 XML 태깅 및 교정작업 위와 같이 가공처리된 DB의 데이터를 토대로 XML형태의 산출물을 작성하기 위한 XML 태깅 작업에 있어서는 자료별 특성을 고려하여 통합 XML DTD 또는 개별 XML DTD를 작성하여 작업했다. XML DTD는 XML규격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추후 안내될 기초학문자료센터 구축DB의 원형과 표준지침을 충족할 수 있도록 했다. XML 파일의 단위는 전문연구자의 의견과 기관의 DB구축 지침을 반영하여 적용하고, XML 형식태그는 원자료의 특성이 반영되도록 작성했다. 또한 XML 태깅 작업은 전용 SW의 활용 및 자료 성격에 대한 전문연구자의 의견을 반영한 매크로 작업 등의 자동화 작업을 통해 진행하고, 태깅된 자료의 교정 및 자료의 오류를 효율적으로 검사하기 위해서 자료별, 작업공정별로 필요한 검증 S/W와 전문연구자의 수작업을 통한 교정작업을 병용했다. 4) 최종 결과물의 확정 품질 검사가 완료된 자료에 대해서 최종 XML형태의 파일로 제작하고, 제작된 자료에 대한 최종 검증작업과 수정작업을 실시했다.
  • 영문
  • abc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중국과 국내의 기존 DB와 비교할 때 본 연구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물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만 교육부의 이체자자전의 자료는 󰡔설문해자󰡕 이후의 전승 자전이 자료의 내원이었던 반면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의 실물자료 특히 소전 이후 해서 시기에서 추출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둘째 상술한 두 자료는 각 나라별 즉 중국과 한국의 자료에 국한되어 있지만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의 실물자료를 모두 아우르고 있다. 즉 중국의 漢代부터 宋代 이전까지 小篆과 隸書, 楷書로 쓰여진 각종 碑文과 墓誌銘을 포함하고, 한국의 자료로는 三國시대부터 高麗시기까지 각국 金石文과 유물에 새겨진 문자를 망라하고 있다. 셋째 공시적 연구 뿐 아니라 통시적 연구에 적합하도록 중국과 한국 두 지역의 자형 뿐 아니라 각 朝代別 자형을 모두 포괄하고 있어서 자형의 다양성 연구와 함께 변화양상을 일목요연하게 제공함으로써 한자 학습자와 연구자 모두 용이하게 자료를 습득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이체자에 대한 시기별․지역별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과거의 수많은 이체자 속에서 어떻게 현대의 정자형이 탄생되었는지 배경 원인을 고찰하기 쉽도록 하였고, 자형이 정형화된 시기를 추정할 수 있게 하였으며 한국과 중국의 한자 정형과 과정 속에서 드러나는 제 특징들에 관한 이론 정립에 기초를 제공하기에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 결과는 결과보고서 원문파일에 보이듯이 모든 글자 정보를 지역별, 시기별로 나누어 전산화했다. 이에 따라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문적 기대 효과 학문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1) 古籍 해독에 있어서의 難題를 해결할 수 있다. 三國時代의 木簡이나 陶器 상의 글자, 혹은 각종 碑文 상의 글자, 古地圖에 보이는 글자 등, 고대의 문헌이나 글자가 새겨진 유물 중에는 현재 사용치 않는 글자들이 많이 보이는데, 이것들을 정확하게 읽어내려 갈 수 있다. 그 예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한자가 우리나라에 유입된 시기를 추정하는데 표준기 역할을 하는 "秦△之待戈"꺽창에 새겨진 글자들은 현재 사용치 않는 자형이나 본 연구에 의하여 "康侯之待戈"라고 올바로 考釋할 수 있다. 2) 과거에 잘못 판독한 글자들을 바로 잡을 수 있다. 예를 들면 百濟 武寧王陵誌石의 ‘’자를 국내에서는 아예 ‘△’로 남겨두거나 "錯의 古字"라고 考釋하고 있는데, 이는 ‘錯’의 古字가 아니라 ‘措’의 古字인 ‘’이다. 또 百濟의 유물인 方格規矩神獸鏡(그림참고)에서 ‘’字를 일부 학자들은 ‘飮’으로 考釋하고 있으나 字形 구조상 이는 ‘澤’의 日本式 略字인 ‘沢’이다. 이는 이미 百濟 때에 王仁과 아직기가 󰡔論語󰡕 등을 일본에 전했다는 기록과 연결지어 생각할 수 있는 중대한 발견이다. 만약 본 연구를 통하여 이를 방증할 수 있는 자료를 더 확보할 수 있다면 日本에서 현재 쓰고 있는 日本式 漢字의 淵源을 일찍이 百濟에서 찾을 수 있다고 조심스럽게 가정할 수 있을 것이다. 3) 글자가 새겨진 金石文이 발견되었을 때 아주 오래된 것이면서 시기를 밝힐 수 있는 기록이 없으면 시기별로 차이가 나는 글자의 구조를 이용해 그 시기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寂’의 異體字形 가운데 하나인 ‘’이 統一新羅 이후의 자료에서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에 의거하여 華嚴石經의 제작시기를 統一新羅 시기로 추정한 바 있다. 4) 漢字 字形 變遷史를 통시적으로 규명하고, 漢字 定型化 過程을 도식화할 수 있다. 5) 현재 사용되지 않는 글자들을 정확하게 판독하여 고대 문헌의 내용을 현재 사용되는 글자로 전산화함으로써 학문 활동에 커다란 도움을 줄 수 있다. 2. 사회적 기여 사회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기여할 수 있다. 1) 모든 문헌에 출현되는 글자를 정확하게 판독함으로써, 그 문헌의 완전한 번역이 가능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일반 사람이 옛 문헌의 내용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2) 이 기록물의 내용을 통하여 과거 사람들의 사상이나 사고 유형, 생활 방식 등에 대한 이해가 쉽게 되며, 이를 현대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틀을 제공할 수 있다. 3) 현재의 시점에서 漢字를 現代에 맞게 定型化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함으로서 모든 인쇄물에서의 字形을 統一할 수가 있다. 현재는 동일한 구조의 글자라도 국가마다, 혹은 우리나라 안에서도 인쇄물마다 미세하나마 약간씩의 자형이 다른데, 이를 통일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3.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교육 현장에서는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1) 대학원 과정에서 어떠한 古代 典籍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해 준다. 2) 고대 典籍의 원형을 現代의 漢字로 옮겨 놓음으로서 학부에서도 原典의 수업이 편리할 수 있게 된다.
  • 색인어
  • 전산화. 데이터베이스. 한국, 중국, 역대한자 정자. 이체자, 필획수, 편방, 부수, 출처,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