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s

연구과제 상세정보

漢字 定型化 理論 構築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지원일반연구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02-074-AS1086
선정년도 2002 년
연구기간 3 년 (2002년 08월 01일 ~ 2005년 08월 01일)
연구책임자 이규갑
연구수행기관 연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현정(중국어문학연구회)
김시연(연세대학교)
김애영(안양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 인문학의 연구대상인 텍스트의 해석에 필수적인 한자 학습이 이루어져 있지 않은 현실에서 한자 학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漢字 專門 硏究가 필요하다.
    2. 正字가 아닌 異體字로 쓰여있는 대량의 漢籍을 습득하고 연구하기 쉬운 正字體로 바꿔주는 기본적인 작업이 필수적이어서 한자 자료에 대한 전문적인 異體字 연구가 시급하다.
    3. 異體字 연구는 학술적인 면에서는 漢字 典籍 뿐 아니라 실물 한자 자료에 대한 전통적인 오류를 바로 잡을 수 있고, 漢籍의 전산화 작업과 한자 사용국 간의 편리한 정보교류를 위한 한자 자형 통일 작업에 필수적이다.
    4. 위와 같은 이유로 異體字 연구 성과는 다방면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자전에 수록되지 않고 단기간에 출현했다가 사라진 異體字形의 考釋이나 이들 자형의 출현 원인·소멸 과정 등에 대해서는 이론적인 체계를 세우고 있지 못하다.
    5.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異體字形과 正字形의 일대일 대응이라는 단선적인 고찰에서 탈피하여 正字形의 변천과 역사적 궤를 같이 하는 異體字形의 변화과정을 통시적으로 고찰해야 한다. 이와 같은 통시적인 고찰이 선행되어야 자전에 수록되지 않은 특수한 異體字形의 정체를 밝힐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들의 생성 원인 및 유통·소멸에 관한 체계적인 설명이 가능하고, 향후 자형 변천의 과정 및 변천 유형에 대한 이론을 구축할 수 있다.
    6. 異體字形의 시기적인 변천과정과 정형화 과정 그리고 이론적인 字形史 구축을 본 연구의 최종목적으로 삼고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東漢 이후 宋代까지 中國과 韓國의 각종 출토물에 새겨진 글자 자형과 시기별 분류를 병행하고, 나아가 변화 양상을 일목요연하게 도표화함으로써 시기에 따른 글자형의 특징을 밝히고, 자형의 변이양상에 대한 이론적인 설명을 시도한다.
    7. 본 연구가 계획한대로 수행된다면 시기불분명의 典籍이나 출토물에 대하여, 항목 6에서 도출된 결론을 활용하여 신빙성 있는 시기추정을 할 수 있으므로 매우 실용적이며 가치 있는 연구가 될 수 있고, 현재 정보교류의 일환으로 국제적으로 시도되고 있는 자형통일 추진화에 학문적이고 이론적인 통일 방안을 제기할 수 있으므로 세계적으로 국가의 위상을 제고시킬 수 있는 중대한 연구가 될 수 있다고 자부한다.
    8.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인 한자 정형화 과정에 있어서 그것이 어떠한 변화과정을 거치고 있는가에 대한 이론 구축을 할 수 있다.
  • 기대효과
  • ◎ 학문적 기대효과

    1. 옛 문헌 해독의 난제 해결.
    2. 과거에 잘못 판독한 글자에 대한 교정.
    3. 자형을 통한 유물 시기의 추정.
    4. 漢字 字形 變遷史의 통시적 규명 및 漢字 定型化 過程의 도식화.
    5. 古籍 電算化를 통한 학문 발전 유도.

    ◎ 사회적 기여

    1. 문헌 출현 글자의 정확한 판독으로 문헌의 완전한 번역을 가능하게 함
    2. 이를 통해 일반인의 옛 문헌 접근이 용이해짐.
    3. 최종적으로 문헌 내용에 의거하여 고대인들의 사고 유형 파악.
    4. 한자 정형화로 인쇄물에서의 자형을 통일.
    5. 이는 경제적으로도 큰 효과를 발생할 수 있음.

    ◎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1. 대학원에서 원전 1차 자료의 直讀이 가능함.
    2. 원전의 한자 원형을 현대 한자로 정확하게 옮김.
    3. 이를 통해 誤識되지 않은 원문으로 수업이 가능.

  • 연구요약
  • ◎ 연구 내용

    본 연구는 기존에 연구되지 않은 실물 이체자 자료, 특히 東漢에서 唐宋에 이르는 한국과 중국 두나라의 石刻漢字 실물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총 3단계의 작업으로 진행되고, 각 단계별 작업은 3개년에 걸쳐 진행된다.

    ※ 단계별 연구 내용

    1. 異體字 자료 확보
    - 한국과 중국 각지에 흩어져 있는 실물자료 拓本 수집
    - 한국과 중국 각지에 흩어져 있는 실물자료 촬영
    - 출판된 金石자료 수집
    2. 異體字의 正字別 收合
    - 기존에 정리된 異體字 考釋 방법 활용
    - 새로운 異體字 考釋 연구
    - 적정한 異體字 考釋 방법을 적용하여 正字別로 수합
    3. 漢字 定型化理論 구축
    - 이체자의 시기별 변천과정과 지역적 특징을 종합적으로 고찰.
    - 현재의 正字 자형이 나오게 된 배경 원인 고찰.
    - 자형의 정형화 시기 고찰
    - 한국과 중국의 정자 자형이 다른 한자의 목록을 추출·비교.
    -한자의 정형화 과정 속에서 드러나는 제 특징들에 관한 이론 정립

    ※ 년차별 연구 주제

    1차년 : 한국 소재 隸書와 楷書 자료의 수집 및 분석
    2차년 : 중국 소재 隸書와 楷書 자료의 수집 및 분석
    3차년 : 한국과 중국 소재 한자 자형 비교 및 한자 정형화 이론 구축

    ◎ 연구방법

    1. 자료수집
    - 한국과 중국의 박물관 등 실지 조사
    - 출판된 金石 자료 수집
    2. 異體字 고석 방법 정리
    - 기존의 異體字 고석 방법 정리
    - 새로운 異體字 고석 방법 연구
    3. 異體字의 유형 분류
    - 자형별 분류
    - 생성 방법별 분류
    - 正字의 보유유형별 분류
    4. 이체자의 시기별·지역별 고찰
    - 한국과 중국 소재 異體字의 국가별 고찰
    - 한국 이체자의 시기별 고찰(三國時期·統一新羅前期·統一新後期·高麗시기)
    - 중국 이체자의 시기별 고찰(東漢末·魏晉南北朝·唐代·宋代)
    5. 正字 변천과정 모형도 제작
    - 매 正字에 귀속되는 다양한 異體字形을 하나의 도표에 수록
    6. 산출된 도표와 회의를 통하여 종합적인 검토와 분석 후 보고서 작성.
  • 한글키워드
  • 통일자형방안,한자정형화이론,모형도,시기별 특징,지역별 특징,자형별유형,用例,음운상황,자형구조,考釋방법개발,正字,考釋,전산화.,異體字,실물한자자료,시기 추정,正字보유유형,생성방법,문화재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자의 정형화 과정을 밝히기 위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중국측의 자료로는 동한 이후부터 송대까지의 비문, 한국에서는 삼국시기부터 고려시기까지의 자형을 모두 수집하여 이를 자형별로 나누고, 다시 정자와 이체자를 구별한 후 그것들을 시기별, 지역별로 분류하고 여러 각도에서 분석하였다. 그 분석을 위해 그동안 본 연구팀에서는 다음과 같은 논문을 작성했는데, 이들의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이체자의 형성원인"에서는 주로 필사의 편리함과 의미 표현의 변화, 독음 표현의 변화 추구가 주류를 이루었으며, 그 외에 통일신라 시기에는 측천무후자가 사용된 경우도 발견되었다. 이러한 것은 "중국이체자의 형성원인"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어 이체자가 발생하는 원인은 지역별로 크게 다르지 않고 일부에서만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이체자형의 통시적 변화양상의 소고"에서는 변화의 양상을 층차변화와 원형변화, 복합변화로 구별되었다. 층차변화는 이체자들간에 본자에서 새로운 이체자들이 만들어지고, 다시 그 이체자에서 다른 이체자가 만들어지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으며, 원형변화에서는 하나의 본자를 두고 주위로 여러 이체자가 출현되지만 그 이체자들 사이에서는 어떠한 연관관계가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복합식은 위의 두 종류의 혼합된 양상으로 드러났다.
    "이체자 편방의 분리 및 통합 현상고"에서는 편방의 분리 현상으로서 한 자형성분이 두 자형성분으로 분리되는 경우와 하나의 자형성분과 하나의 비자형성분으로 분리되는 경우, 그리고 비자형성분이 두 자형성분으로 분리되는 경우로 나뉠 수가 있었으며, 편방의 통합현상에서는 두 자형성분이 한 자형성분으로 통합되는 경우와 비자형성분으로 통합되는 경우, 한 자형성분과 한 비자형성분이 한 자형성분으로 통합되는 경우로 나뉘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위진난자고"와 "한자자형을 이용한 고고자료의 오석례 고찰"에서는 기존의 자전에서는 보이지 않는 자형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것들이 지금의 어느 글자에 해당되는지를 밝혔으며, 이를 위해 편방분석법과 자형비교법 등을 동원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결과로는 우리의 고고자료에 쓰여진 글자들에 대해 기존의 학자들이 밝혀놓은 글자들 중 잘못 해독한 것들을 모두 바로 잡을 수가 있었다.
  • 영문
  •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standardization process of chinese characters. In last three years we collect all chinse characters in inscription which are existed from Dong-han dynasty to Song dynasty in chinese and from Samgook dynasty to Korye dynasty in Korea, and classify a few type as to character form and as to dynasty and region, and analyze that from several viewpoints. For this analyze we made some papers, we can see those brief contents as below.
    In "A study on formation cause of variant forms in Korea", we find out the main formation cause that is to investigate of writing convenience and reading representation, beside of that there is exist another cause which is Chetianwuhoucharacters. In "A study on formation cause of variant forms in Chinese" case, that is very simmila.
    In "A study on diachronic change style of variant forms in Chinese", we find out the change style have three type that is the step style, round style, complex style.
    In "A Study on phenomenon of separation and combine in character components of variant characters", we find out the phenomenon of separation have three type that is the one character component separate to two character components style, or separate to one character component and one non-character component style, one non-character component separate two character components style. We also find out the phenomenon of combine have three type that is the two character component combine to one character components style, combine to one character component and one non-character component style, one non-character component and character combine to one character component.
    In "A study on difficult forms in Wei-jin dynasty" and "A study for wrong interpretation on material of antiquities by chinese characters", we find out what the those characters is in contemporary that cannot be found in dictionary through to use the methods of analysis for character component and of compare with another characters. To use these facts, we can correct the wrong interpretation on material of antiquities by chinese characters that is interpretate by the past researcher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자의 변화과정, 특히 해서의 단계에서 어떻게 변화되어 지금과 같은 정형화가 이루어졌는지를 밝힘과 동시에 해서가 가지고 있는 모든 이체자를 한눈에 보여줌으로서 지금의 글자가 다른 방향으로 갔을 경우와의 비교를 하도록 하고, 또 과거의 필사본에 사용된 수많은 이체자를 정리함으로서 그것이 지금의 어떤 글자에 해당되는지를 알수 있도록 함으로서 한학을 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려는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이제까지 조사된 자료를 검토한 결과, 중국에서의 동한 이후부터 송대까지의 비문에서 발견된 정자와 이체자, 그리고 한국의 삼국시대부터 고려 초기까지의 비문에서 발견된 정자와 이체자의 총 자종은 약 5000여자가 되며, 이 중에는 지금의 정자 개념으로 볼 때 정자만 존재하고 이체자가 전혀 없는 것도 상당수 있으며, 나머지는 대부분이 정자와 그에 대응하는 이체자가 존재했다. 그리고 일부 글자의 경우에는 동일한 시기에 한 정자의 이체자가 30종이 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런데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정자의 자형은 대부분 중간에 수많은 이체자와 혼용되어 왔지만, 소전과 예서의 자형 구조를 그대로 이어받는 것이 대부분으로서, 자형의 정형화는 소전 단계와 예서 단계에서 가장 잘 이루어졌으며, 그 이후에는 많은 이체자로서 기존의 정자를 대체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서사의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기존 예서에서 보이는 자형이 정자로 고착되어가는 현상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현상은 과거의 자형 정형화 경향이 서사의 편리함을 추구한다는 것보다는 자형을 통한 자의의 탐색이 용이한 방향으로 이루어졌다는 것을 말해주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 가장 큰 성과는 예전의 원 자형을 그대로 채취하여 지역별, 시기별로 구별할 수 있는 토대가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향후 이 분야의 연구에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이다. 사실상 앞으로 보다 심도있는 이론 구축가 진행되면 보다 상세한 결과가 나올 것이라 추정되며, 비록 그것이 미흡하게 나올 수 있을지라도 향후 관련 연구의 토대를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은 본 연구의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漢字字形 變遷 과정에 있어서 자형의 직선적이고 단선적인 도식화에서 벗어나, 시시각각 다양하게 출현하고 있는 각종 異體字를 적극 흡수하고, 正字와 異體字의 상호관계․시기적인 변천과정을 고찰함으로써 다각적이면서도 통시적․공시적인 관점에서 다양하게 드러나는 漢字의 字形變遷 過程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이후 한자 자형이 어떠한 방향으로 변천할 것이며 그 異體字가 어떠한 양상으로 출현할 것인가를 가늠할 수 있고, 표준화된 漢字 字形 統一에도 기여할 뿐만 아니라, 각종 異體字까지 수용한 한자 자형의 變遷史를 세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될 뿐만 아니라, 이 같은 연구가 漢字의 母國이랄 수 있는 中國은 물론 세계 어디에서도 시도된 적이 없다는 점에서 또한 의미가 크다.
    이제까지의 연구를 통해 학문적․사회적인 기대 효과와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학문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1. 古籍 해독에 있어서의 難題를 해결할 수 있다. 三國時代의 木簡이나 陶器 상의 글자, 혹은 각종 碑文 상의 글자, 古地圖에 보이는 글자 등, 고대의 문헌이나 글자가 새겨진 유물 중에는 현재 사용치 않는 글자들이 많이 보이는데, 이것들을 정확하게 읽어내려 갈 수 있다.
    2. 과거에 잘못 판독한 글자들을 바로 잡을 수 있다.
    3. 글자가 새겨진 金石文이 발견되었을 때 아주 오래된 것이면서 시기를 밝힐 수 있는 기록이 없으면 시기별로 차이가 나는 글자의 구조를 이용해 그 시기를 추정할 수 있도록 한다.
    4. 漢字 字形 變遷史를 통시적으로 규명하고, 漢字 定型化 過程을 도식화할 수 있다.
    5. 현재 사용되지 않는 글자들을 정확하게 판독하여 고대 문헌의 내용을 현재 사용되는 글자로 전산화함으로써 학문 활동에 커다란 도움을 줄 수 있다.

    사회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기여할 수 있다.

    1. 모든 문헌에 출현되는 글자를 정확하게 판독함으로써, 그 문헌의 완전한 번역이 가능하게 되고, 이를 통하여 일반 사람이 옛 문헌의 내용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2. 이 기록물의 내용을 통하여 과거 사람들의 사상이나 사고 유형, 생활 방식 등에 대한 이해가 쉽게 되며, 이를 현대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틀을 제공할 수 있다.
    3. 현재의 시점에서 漢字를 現代에 맞게 定型化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함으로서 모든 인쇄물에서의 字形을 統一할 수가 있다. 현재는 동일한 구조의 글자라도 국가마다, 혹은 우리나라 안에서도 인쇄물마다 미세하나마 약간씩의 자형이 다른데, 이를 통일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교육 현장에서는 다음과 같이 활용될 수 있다.
    1. 대학원 과정에서 어떠한 古代 典籍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해 준다.
    2. 고대 典籍의 원형을 現代의 漢字로 옮겨 놓음으로서 학부에서도 原典의 수업이 편리할 수 있게 된다.
  • 색인어
  • 漢字, 異體字, 隸書, 地域別, 時期別, 變遷, 定型化, 電算化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