ꡔ사고전서 총목제요ꡕ 중 경(經)과 자(子) 부분을 대상으로 원문을 번역하고 필요한 경우 각주를 달고, 해설을 첨가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본 과제에서는 이 총목들 하나하나의 문헌을 대상으로 완역을 하고 원문의 이해를 돋기 위해서 생몰연대, 고지 ...
ꡔ사고전서 총목제요ꡕ 중 경(經)과 자(子) 부분을 대상으로 원문을 번역하고 필요한 경우 각주를 달고, 해설을 첨가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본 과제에서는 이 총목들 하나하나의 문헌을 대상으로 완역을 하고 원문의 이해를 돋기 위해서 생몰연대, 고지명의 현대 지명화, 주요 개념의 풀이 등을 각주로 제시한다. 아울러 개별 문헌의 의의나 가치 등에 대해서 해설을 함으로써 문헌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기대효과
사고전서 총목제요의 경(經), 사(史), 자(子), 집(集)의 분류는 현대의 학문 분류 방식과 다르더라도 사실상 그것에 대응할 수 있는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과제의 결과는 현대 학문의 다양한 분야가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하는 데에 디딤돌이 ...
사고전서 총목제요의 경(經), 사(史), 자(子), 집(集)의 분류는 현대의 학문 분류 방식과 다르더라도 사실상 그것에 대응할 수 있는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과제의 결과는 현대 학문의 다양한 분야가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하는 데에 디딤돌이 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의 활용은 주로 동양학 전반에 관한 학문적 기여도와 파급효과에서 찾아볼 수 있겠다. 그리고 학문적 기여도와 파급 효과의 유무 혹은 다과는 결국 사회적 문화적 교육적인 면으로의 파장 증대를 의미한다.
연구요약
사고전서 총목제요 중 경(經)과 자(子) 부분을 대상으로 원문을 번역하고 필요한 경우 각주를 달고, 해설을 첨가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경’ 부분은 역류(易類)·서류(書類)·시류(詩類)·예류(禮類)·춘추류(春秋類)·효경류(孝經類)·사서류(四書類)·악류(樂類)·소학류(小 ...
사고전서 총목제요 중 경(經)과 자(子) 부분을 대상으로 원문을 번역하고 필요한 경우 각주를 달고, 해설을 첨가하는 작업을 수행하고자 한다. ‘경’ 부분은 역류(易類)·서류(書類)·시류(詩類)·예류(禮類)·춘추류(春秋類)·효경류(孝經類)·사서류(四書類)·악류(樂類)·소학류(小學類) 등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자’ 부분은 유가류(儒家類)·병가류(兵家類)·법가류(法家類)·의가류(醫家類)·천문산법류(天文算法類)·술수류(術數類)·예술류(藝術類)·소설가류(小說家類)·석가류(釋家類)·도가류(道家類) 등으로 되어있다. 본 과제에서는 이 총목들 하나하나의 문헌을 대상으로 완역을 하고 원문의 이해를 돋기 위해서 확인 가능한 경우 인물 개개인의 생몰 연대, 고지명의 현대 지명화, 주요 용어의 풀이, 전고나 인용문의 출처 확인, 원문의 빠진 글자[脫字]와 잘못된 글자[誤字] 등을 각주로 제시한다. 아울러 개별 문헌의 의의나 가치 등에 대해서 해설을 함으로써 문헌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