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의 용어 색인 DB 구축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사회분야 토대연구 연구결과물 추적 및 DB구축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34-A00005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6 개월 (2011년 12월 30일 ~ 2012년 06월 29일)
연구책임자 남길임
연구수행기관 경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송현주(경북대학교)
백두현(경북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의 목적은 이전 과제(조선시대 한글 음식조리서 연구를 통한 조리 용어 통합 검색 시스템 개발, KRF-2007-322-A00050)에서 구축한 음식조리서 DB를 연구 재단의 표준 지침에 맞는 색인 DB로 재구축하고, 사용자별로 이원화된 색인 DB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크게 세 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첫째, 이전 과제에서 기구축한 필사본 한글 음식조리서 말뭉치를 정제하여 한국연구재단에서 제시한 DB 구축 표준 지침에 맞는 DB로 가공함으로써 국어학자와 조리학자 및 일반인의 접근성과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다. 기구축된 필사본 음식조리서 DB는 국어학적 측면뿐만 아니라 식영양학, 조리학 등의 분야와 한식 세계화라는 시대적 흐름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둘째, 표준화된 DB를 이원화하여 사용자 친화적인 데이터 형식을 제공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 결과물 DB를 원어와 문법 정보를 중심으로 한 DB(A형: 국어학자를 위한 색인 DB)와 현대어역(대역어)과 의미부류 정보를 중심으로 한 DB(B형: 일반인 및 조리학자를 위한 색인 DB)로 이원화하여 제공할 것이며, 동시에 조선시대 음식조리서에 관한 모든 정보를 담은 통합형 색인 DB도 함께 제공할 계획이다.
    셋째, 본 연구팀은 이번 사업 기간을 한국연구재단의 표준 지침에 맞는 색인 DB를 구축함과 동시에 기존 말뭉치를 정제 및 보완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본 연구팀은 과제 종류 시점 이후에도 주말 강독회와 통합 검색 시스템 베타 버전의 검토를 통해 판독에 오류가 있거나 판독 불능 상태에 있었던 부분을 꾸준히 수정․보완해 왔다. 이번 DB구축 작업을 통해 기존 DB를 정제하고 보완하여 더욱 신뢰성 있는 통합 검색기와 색인 DB 를 배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DB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제고하여 국어학적 연구 성과물을 인접 학문 분야 및 일반인들에게 확산하는 대표적 연구 사례로, 조리학자의 전통 한식 조리서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전통 음식 조리법 자료를 정보화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필요성을 몇 가지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연구 결과에서 구축된 필사본 음식조리서 DB 및 음식용어 색인 DB는 조리학, 여성생활사 연구 등에서 매우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가지며, 한식 세계화라는 시대적 요청에도 부응할 만한 실용적 가치를 가진다. 따라서 전통 조리용어 색인 DB가 국가적 차원에서 안정되고 효율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며, 이 연구를 통해 음식조리서 DB를 표준화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전통 조리법 자료를 표준화하여 보존하고 국어학자 외에 조리학자뿐만 아니라 식품공학, 영양학 등 각 분야로 확산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사업팀에서 수행한 이전 토대기초연구의 결과물은 국어학자와 조리학자에게 조선시대 음식 조리법과 관련하여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였으나, 일반인들이 접근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기존 결과물의 한계를 극복하고 DB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목적을 고려하여 DB를 이원화할 필요가 있다. 즉, 기존의 XML 형태의 통합 DB를 이원화하여 국어학자를 위한 색인 DB(A형 DB)와 조리학자를 위한 색인 DB(B형 DB)로 구분하여 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한글 음식조리서는 내용 특성상 재료명, 조리기구명, 음식명 등의 명사와 각종 조리법과 관련한 동사, 정도부사․양태부터․의성어․의태어 등의 고유어 부사가 매우 풍부하다. 특히 이러한 자료들은 한글 필사본 자료에서만 제대로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한국어 어휘 자산으로서의 가치를 가진다. 이러한 어휘의 대부분은 아직 고어 사전이나 음식용어 사전의 표제어로 등재조차 되지 않은 상태이다. 향후 한국 전통 조리 용어 표제어의 핵심적인 부분이 될 이러한 한국 문화․생활 관련 어휘들은 체계적으로 수집되고 보존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전통 조리용어 색인 DB를 공개하고 이를 사용자에 맞는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향후 전통 음식조리 용어 어휘 자료집을 편찬하거나 사전을 편찬하는 데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지금까지 전통 사회와 전통 음식을 담고 있는 한글 필사본 음식조리서를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색인화한 표준 DB 구축에 대한 연구는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리하여 주요 기관의 소장 자료와 개인이 보유한 자료 전체에 대한 정보화가 부족하고 이러한 전통 사회에 대한 이해도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물인 색인 DB는 각 방면의 연구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것이며, 학술적인 면과 전통 사회의 이해, 전통주 및 전통 음식 개발 등 여러 가지 방면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최근 한류의 확산에 힘입어 가속화되고 있는 한식에 대한 세계인의 관심을 지속시킬 수 있는 한식 세계화의 귀중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연구 결과물의 활용 방안과 기여도를 몇 가지 측면에서 나누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결과의 학술적 활용에 기여할 것이다. 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는 원전을 해독하고, 주석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므로 인접 학문 분야에서 누구나 쉽게 자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표준 지침을 준수하는 DB로 제공된다면 국어학, 조리학, 한국 전통음식사 등의 관련 분야 전문가에게 지식 생산의 원천을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연구자가 독창적이고 활발한 연구 성과를 얻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 과제에서 구축한 색인 DB는 전통 음식 용어 사전을 편찬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조선시대 필사본 음식조리서를 주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근대 국어 시기의 생활어 사전을 만드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학자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 친숙한 자료로 구축되어 여러 방면에서 사회적 활용도가 높을 것이다. 즉, 본 연구의 결과물은 전문가들에 의해 정밀하게 판독된 필사본 26권의 음식조리서 정보를 오롯이 담고 있고 이들이 원문 형태뿐만 아니라 현대어역 형태로도 제공되므로 통 문화에 관심이 있다면 누구라도 자료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한류 흐름에 발맞추어 식문화 연구자 및 창작 활동을 하는 작가들의 접근성을 높이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이 연구 결과는 강연 및 교육과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다. 먼저 평생 교육면에서 조선시대 음식과 조리 방법을 소개하는 특강을 개최할 수 있으며, 이때 일반인들에게 조선시대 음식 조리 용어 DB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교육할 수 있다. 초·중·고등학교 교육 과정에서는 ‘기술/가정’에서는 전통 요리를 소개할 때,‘국사’에서는 조선시대 여인의 생활사 및 조선시대의 식생활사를 교육할 때, 보사회와 컴퓨터’에서는 데이터 처리의 실례로 제시될 수 있으며, ‘국어’와 ‘문법’에서는 중세국어와 연계하여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고등 교육을 담당하는 대학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국어학 전공자들은 근대 국어 시기 원어 형태를 활용하고, 식품영양학과 전공자들은 현대어역으로 가공된 본 연구결과를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학부 교양 과정에서는 DB화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통 음식과 한국인의 삶’을 주제로 한 교양 강좌를 개설하여 조선시대 생활사와 관련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상세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은 추진 전략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먼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전문 연구팀은 연구책임자 1인, 공동연구원 2인, 연구보조원 4인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책임자는 다년간의 말뭉치 구축 프로젝트와 사전편찬의 경험이 있는 사전편찬학, 국어정보학 전문가로 기 구축된 말뭉치 자료의 정비와 색인 DB 구축 작업 전반을 총괄한다. 공동연구원은 국어사와 의미론 전공자로서 전자는 필사본 주해서 출판 경험과 전통 음식조리서에 대한 축적된 지식을 바탕으로 기 구축된 말뭉치의 정제 및 보완과 국어사적 관점에서 A형 DB 구축의 방법을 연구·제안한다. 후자는 말뭉치 구축 및 의미 체계 구축 프로젝트의 경험을 바탕으로 일반인과 조리학자를 위한 B형 색인 DB 구축의 방법을 연구·제안한다. 연구보조원은 국어사, 국어정보학, 사전학, 컴퓨터공학 전공 박사과정생 4인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보조원 4인 모두 기존 과제에 참여한 전문 인력이며 숙련된 전산화 능력을 바탕으로 기 구축된 말뭉치 자료의 DB화 작업을 수행한다. 더불어 색인 DB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기존 사업에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하였던 전통음식 연구 전문가와 말뭉치 구축 및 DB화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할 것이다.
    본 연구팀의 구체적인 연구 추진 전략은 총 5단계로 구성되었다.
    1 단계는 기 구축된 말뭉치의 정제 및 보완 작업이다. 본 연구팀은 기존 말뭉치에서 판독에 오류가 있거나 판독 불능 상태에 있었던 부분을 다시 정밀하게 살펴보는 전처리 과정을 가장 기본 단계로 설정하였다.
    2 단계는 색인 DB에 필요한 항목을 추출하는 작업이다. 이 단계에서는 기존의 원어 형태와 현대어역 간의 병렬 말뭉치 상태를 확인하고 어떤 연결 관계로 형성되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실제 본 연구에 필요한 항목을 선정하고 추출하는 과정을 거칠 것이다.
    3 단계는 원어와 현대어역 간의 형태 주석 1:1 매핑 작업이다. 여기서 현대어역은 기존의 현대어역 말뭉치 자료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원어 형태를 하나로 통합할 수 있는 기본값을 설정하는 작업을 말하는 것으로 조리학자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B형 색인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작업이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는 기존 과제에서 활용한 '음식조리서 형태 분석기'를 수정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것이다.
    4 단계는 통합형 색인 DB를 구축하는 작업이다. 이 단계는 DB 이원화를 위해 이뤄져야 하는 기본 단계로, 현대어역과 서지정보와 같이 A형(국어학자용)과 B형(조리학자 및 일반인용) 색인 DB에서 공통으로 요구하는 정보 이외에 A형에서 요구하는 원어 형태, 품사 정보, B형에서 요구하는 음식 항목 정보, 의미부류 정보를 모두 추출하여 색인 DB화 할 것이다.
    5 단계는 색인 DB 이원화 작업이다. 이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요구도를 고려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각각의 A,B형 색인 DB를 구축한다. 이 단계에서 우리는 최종 목표에 도달하게 되며, 연구 결과물을 보고하기 위한 보고서 작성 작업도 함께 이루어 질 것이다.
    각각의 단계는 1팀과 2팀으로 나누어 그룹별 역할 분담을 통해 이루어 진다. 1팀은 국어사 전공인 공동연구원 1인과 연구보조원 1인이 중심이 되어 A형(국어학자용) 색인 DB 구축을 주도할 것이며, 2팀은 의미론 전공인 공동연구원 1인의 지휘 하에 국어정보학, 사전학, NLP 전공 연구보조원 3인이 중심이 되어 B형(조리학자 및 일반인용) 색인 DB 구축을 주도할 것이다. 이 모든 과정은 책임연구원을 주축으로 하여 연구 단계별 총괄이 이루어 진다.
  • 한글키워드
  • 주석 말뭉치,음식조리서,색인 DB,역사 말뭉치,조리용어
  • 영문키워드
  • historical corpus,annotated corpus,culinary manuscripts,index DB,culinary term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의 목적은 이전 과제(조선시대 한글 음식조리서 연구를 통한 조리 용어 통합 검색 시스템 개발, KRF-2007-322-A00050)에서 구축한 음식조리서 DB를 한국연구재단의 표준 지침에 맞는 색인 DB로 재구축하고, 사용자별로 이원화된 색인 DB를 구축하는 것이다.
    ‘조선시대 음식조리서 용어 색인 DB’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DB 사용자군, DB 추출 기술, DB 추출 내용’의 세 가지 면을 고려하였다.
    (1) DB의 사용자적 측면: 통합 색인 DB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활용 목적에 맞게 검색 시스템을 이원화하여 구축하였다. 즉 근대국어에 대한 언어적 정보에 관심을 갖는 국어학자를 위한 색인 DB 검색 시스템(A형)과 전통 음식의 종류와 조리 방법에 관심을 갖는 조리학자 및 일반인을 위한 색인 DB 검색 시스템(B형)으로 이원화하였다.
    (2) DB 설계 및 구축의 기술적인 면: DB를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 DB 구축과 관련하여 두 가지 기술적인 면을 고려하였다. 먼저, 기존 연구의 결과물에서 효율적으로 DB화할 항목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추출한 항목은 효율적으로 DB로 구축될 수 있도록 하였다.
    (3) DB 설계 및 구축의 내용적인 면: 사용자를 고려한 DB 구축을 위해서, 본 연구진은 ‘정보 값이 이원화된 형태, 양방향(원어-현대어) 검색이 가능한 형태, 변이형이 통합된 형태, 의미 부류별·음식 항목별 형태’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지금까지 전통 사회와 전통 음식을 담고 있는 한글 필사본 음식조리서를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색인화한 표준 DB 구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주요 기관의 소장 자료와 개인이 보유한 자료 전체에 대한 정보화가 부족하고 이러한 문제에 대한 이해도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였기 때문이었다. 지금까지의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의 결과물인 색인 DB는 각 방면의 연구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학술적인 면과 전통 사회의 이해, 전통주 및 전통 음식 개발 등 여러 가지 방면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2가지 사용자군으로 나누어 구축하였다.
  • 영문
  • This is a follow up project of the previously reported project conducted from 2007 to 2009, "Compiling and Developing a Corpus of 17-19th Century Korean Culinary Manuscripts and a Customized Corpus Browser". In the previous project, a corpus of culinary manuscripts was constructed with rich morphological and semantic annotations. This projec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we designed two types of databases, one is A type DB for researchers in the field of Korean linguistics, the other is B type DB for researchers in food science or general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Korean traditional cooking. Second, we took technical effectiveness into consideration for using previous project output, which was constructed as a corpus with rich morphological and semantic annotations in XML. In addition we have revised and refinded the corpus in the previous project to improve accuracy of searched information. The current project should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life style of Koreans and be applicable to modern lives. In addition, it will provide various traditional and precious information that have been forgotten in modern Korean socie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이전 과제(조선시대 한글 음식조리서 연구를 통한 조리 용어 통합 검색 시스템 개발, KRF-2007-322-A00050)에서 구축한 음식조리서 DB를 한국연구재단의 표준 지침에 맞는 색인 DB로 재구축하고, 사용자별로 이원화된 색인 DB를 구축하는 사업으로 다음과 같은 하위 사업을 수행하였다.

    (1) 한국연구재단에서 제시한 표준 지침에 맞는 색인 DB 구축
    이전 과제에서 기구축한 필사본 한글 음식조리서 말뭉치를 정제하여 한국연구재단에서 제시한 표준 지침에 맞는 DB로 가공함으로써 국어학자와 조리학자 및 일반인의 접근성과 활용도를 높인다. 필사본 음식조리서 DB는 국어학적 측면뿐만 아니라 식영양학, 조리학 등의 분야와 한식 세계화라는 시대적 흐름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본 연구는 표준 지침을 준수한 조리용어 색인 DB 구축을 통해 인문사회 분야의 연구 성과를 인접 학문 분야 및 일반인에게 확산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 사용자를 고려한 이원화된 색인 DB 구축
    사용자의 접근성이 높은 DB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색인 항목의 추출, 정보항목의 유형 등을 고려하여 DB모형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 결과물 DB를 국어학자를 위한 색인 DB(A형)와 일반인 및 조리학자를 위한 색인 DB(B형)로 이원화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동시에 조선시대 음식조리서에 관한 모든 정보를 담은 통합형 색인 DB도 함께 구축하였다.

    (3) 기존 결과물 말뭉치의 정제 및 보완
    한국연구재단의 표준 지침에 맞는 색인 DB를 구축함과 동시에 본 연구팀은 이번 사업 기간을 기존 결과물 말뭉치를 정제 및 보완하는 계기로 삼았다. 본 연구팀은 과제 종류 시점 이후에도 주말 강독회와 통합 검색 시스템 베타 버전의 검토를 통해 판독에 오류가 있거나 판독 불능 상태에 있었던 부분을 꾸준히 수정․보완해 왔다. 이번 DB구축 작업을 통해 기존 DB를 정제하고 보완하여 더욱 신뢰성 있는 통합 검색 시스템과 색인 DB를 배포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지금까지 전통 사회와 전통 음식을 담고 있는 한글 필사본 음식조리서를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색인화한 표준 DB 구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주요 기관의 소장 자료와 개인이 보유한 자료 전체에 대한 정보화가 부족하고 이러한 문제에 대한 이해도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였기 때문이었다.
    지금까지의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의 결과물인 색인 DB는 각 방면의 연구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학술적인 면과 전통 사회의 이해, 전통주 및 전통 음식 개발 등 여러 가지 방면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2가지 사용자군으로 나누어 구축하였다. 이 연구 결과물에 대한 구체적인 활용 계획은 다음과 같다.

    (1) 연구 결과의 학술적 활용에의 기여
    - 필사본 자료의 표준 DB화를 통한 인접 학문의 활성화
    - 한식 조리 용어 사전편찬의 기초 자료 제공
    - 학제적 연구의 이상적 모델 제공
    - 해외 한국학 연구자에게 연구 자료로 제공
    -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전문 학술지에 연구 논문 발표

    (2) 토대기초연구 DB의 가치와 사회적 활용
    - 비전공자들이 전통 자료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함
    - 전통 술 및 전통 음식의 개발과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함
    - 전통 음식을 통한 한국 문화의 세계화에 기여함

    (3) 연구 결과의 교육적 활용과 기여
    - 평생 교육에서의 활용(한국 문화․생활사 관련 교과 과정 개발·운영)
    - 초·중·고등학교 교육에서의 활용
    - 대학원과 학부 과정에서의 활용
  • 색인어
  • 필사본 음식조리서, 데이터베이스, 원문-번역문 병렬 말뭉치, 형태 매핑, 통합형 색인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구조화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