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metaDataId=4b76f6dc124878410112487a818d00e2
선문염송염송설화회본의 번역주석 제5권(원서 13권-15권)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DB구축사업 참여 관련분야 전문가가 추가 입력한 정보입니다.
공동연구원 |
김태완
송인성(부산대학교)
정천구(부산대학교)
|
제작기관 |
한국학술진흥재단
|
발행처 |
미상 |
언어 |
한국어,영어 |
색인어 |
선문염송, 염송설화, 염송, 선문염송염송설화회본, 진각혜심, 혜심, 각운, 한국선불교, 화두, 간화선, 고려불교 |
-
주기(비고)
-
발행일,발행처미상 : 알수없음
발행일,발행처미상 : 알수없음
-
주초록(메인언어)
-
번역·주석한 텍스트는 한국 선불교(禪佛敎)에서 가장 중요한 텍스트로 꼽히는 <선문염송(禪門拈頌)>과 <선문염송설화(禪門拈頌說話)>의 회본(會本)이다. 진각국사 혜심(慧諶)이 편찬한 <선문염송>은 옛 화두(話頭) 1463칙(則)과 이에 대한 여러 선사들의 염(拈)·송(頌)·상당거 ...
번역·주석한 텍스트는 한국 선불교(禪佛敎)에서 가장 중요한 텍스트로 꼽히는 <선문염송(禪門拈頌)>과 <선문염송설화(禪門拈頌說話)>의 회본(會本)이다. 진각국사 혜심(慧諶)이 편찬한 <선문염송>은 옛 화두(話頭) 1463칙(則)과 이에 대한 여러 선사들의 염(拈)·송(頌)·상당거화(上堂擧話) 등 중요한 말들을 모아서 30권으로 집성한 것이다. <염송설화>는 혜심의 제자인 각운(覺雲)이 <선문염송>의 화두 1463칙과 염·송·상당거화 전체를 빠뜨림 없이 모두 주석한 완전한 주석서로서, <선문염송>과 마찬가지로 30권 5책이다. 역주에 사용한 텍스트의 판본은 동국대학교에서 간행한 <한국불교전서> 제5책 <선문염송염송설화회본(禪門拈頌拈頌說話會本)>인데, 이 회본(會本)은 고려대장경 보유판 <선문염송집>과 1686년 간행한 묘향산(妙香山) 선정암(禪定庵) 판 <선문염송설화>(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를 합친 것이다. 번역은 <선문염송염송설화회본> 30권 전체를 빠짐 없이 번역하고, 번역문 아래에는 원문을 첨부하여 대조독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가능한 상세한 주석을 붙여서 이해를 도왔고, 마지막에는 텍스트에 대한 해제(解題)와 등장하는 인물의 인명사전을 첨부하였다. 각권 앞에는 상세한 목차를 두어서 찾아보기의 기능도 겸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인용문을 번역하는 경우 어디까지가 인용문인지를 그 인용된 원문을 찾아서 확인하는 작업을 함으로써 기존 번역의 많은 오류를 바로 잡았다.
-
부초록(다른언어)
-
The original text translated and annotated in this work is The Seonmun-Nyeomsong And Its Explanatory Notes(禪門拈頌拈頌說話會本) which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documents in Korean Seon(Zen) Buddhism. The Seonmun-Nyeomsong And Its Explanato ...
The original text translated and annotated in this work is The Seonmun-Nyeomsong And Its Explanatory Notes(禪門拈頌拈頌說話會本) which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documents in Korean Seon(Zen) Buddhism. The Seonmun-Nyeomsong And Its Explanatory Notes is comprised of two parts, The Seonmun-Nyeomsong, An Explanatory Notes Of The Seonmun-Nyeomsong. The Seonmun-Nyeomsong compiled by Jingak-Hesim(眞覺慧諶), the Most Reverend Priest of the ancient Korean kingdom(高麗), is the book which has 1463 phrases of kongan(公案) or huadoo(話頭) and references, comments, songs, criticisms, reviews about those phrases. The Explanatory Notes Of The Seonmun-Nyeomsong written by Buddhist priest Gakwoon(覺雲), a disciple of Jingak-Hesim, is the whole interpretation of The Seonmun-Nyeomsong. In this work we have translated Chinese into Korean and annotated all of The Seonmun-Nyeomsong And Its Explanatory Notes to get to about 5000-page manuscript.
-
목차
-
역주(譯註) 선문염송염송설화회본(禪門拈頌拈頌說話會本) 제5권 목차
선문염송염송설화회본(禪門拈頌拈頌說話會本) 제13권
달마 제9세 지주(池州) 남전보원(南泉普願) 선사의 제자
호남(湖南) 장사경잠(長沙景岑) 선사 : 488칙 - 498칙.
구주(衢州) 자호암(子湖巖) 이종(利蹤) 선사 : 499칙 ...
역주(譯註) 선문염송염송설화회본(禪門拈頌拈頌說話會本) 제5권 목차
선문염송염송설화회본(禪門拈頌拈頌說話會本) 제13권
달마 제9세 지주(池州) 남전보원(南泉普願) 선사의 제자
호남(湖南) 장사경잠(長沙景岑) 선사 : 488칙 - 498칙.
구주(衢州) 자호암(子湖巖) 이종(利蹤) 선사 : 499칙 - 502칙.
악주(鄂州) 수유산(茱萸山) 화상 : 503칙.
일자(日子) 화상 : 504칙.
지주(池州) 감지(甘贄) 행자(行者) : 505칙 - 507칙.
달마 제9세 형주(荊州) 영태사(永泰寺) 영단(靈湍) 선사의 제자
오대산(五臺山) 비마암(秘魔巖) 화상 : 508칙.
호남(湖南) 기림(祇林) 화상 : 509칙.
달마 제9세 여산(廬山) 귀종사(歸宗寺) 법상(法常) 선사의 제자
오대산(五臺山) 지통(智通) 선사(자칭 대선불(大禪佛)) : 510칙.
달마 제9세 포주(蒲州) 마곡산(麻谷山) 보철(寶徹) 선사의 제자
수주(壽州) 양수(良遂) 선사 : 511칙.
달마 제9세 유주(幽州) 반산보적(盤山寶積) 선사의 제자
진주(鎭州) 보화(普化) 화상 : 512칙 - 516칙.
달마 제9세 금릉(金陵) 우두산(牛頭山) 지위(智威) 선사의 제자
서주(舒州) 천주산(天柱山) 숭혜(崇慧) 선사 : 517칙.
선주(宣州) 안국사(安國寺) 현정(玄挺) 선사 : 518칙.
윤주(潤州) 학림현소(鶴林玄素) 선사 : 519칙.
달마 제9세 풍주(灃州) 약산유엄(藥山惟儼) 선사의 제자
담주(潭州) 운암담성(雲巖曇晟) 선사 : 520칙 - 524칙.
담주(潭州) 도오산(道吾山) 종지(宗智) 선사 : 525칙 - 532칙.
화정(華亭) 선자덕성(船子德誠) 선사 : 533칙 - 534칙.
선문염송염송설화회본(禪門拈頌拈頌說話會本) 제14권
달마(達磨) 제9세 풍주(灃州) 약산유엄(藥山惟儼) 선사(禪師)의 제자
선주(宣州) 비수혜성(椑樹慧省) 선사(禪師) : 535칙 - 536칙.
고사미(高沙彌) : 537칙.
달마(達磨) 제9세 단하산(丹霞山) 천연(天然) 선사(禪師)의 제자
경조(京兆) 취미무학(翠微無學) 선사(禪師) : 538칙 - 539칙.
달마(達磨) 제9세 담주(潭州) 장자광(長髭曠) 선사(禪師)의 제자
담주(潭州) 석실선도(石室善道) 선사(禪師) : 540칙 - 543칙.
달마(達磨) 제9세 담주(潭州) 대천(大川) 화상(和尙)의 제자
천선(天僊) 화상(和尙)(혹, 선천(仙天) 화상) : 544칙.
달마(達磨) 제9세 조주(潮州) 대전(大巓) 화상(和尙)의 제자
본생(本生) 화상(和尙) : 545칙.
장주(漳州) 삼평산(三平山) 의충(義忠) 선사(禪師) : 546칙 - 547칙.
마협산(馬頰山) 본공(本空) 화상(和尙) : 548칙.
달마(達磨) 제9세 형주(荊州) 천황사(天皇寺) 도오(道悟) 선사(禪師)의 제자
풍주(灃州) 용담숭신(龍潭崇信) 선사(禪師) : 549칙.
달마(達磨) 제9세 당주(唐州) 자옥산도통(紫玉山道通) 선사(禪師)의 제자
우적(于迪) 상공(相公) : 550칙 - 551칙.
달마(達磨) 제10세 항주(杭州) 천룡(天龍) 화상(和尙)의 제자
무주(婺州) 금화산(金華山) 구지(俱胝) 화상(和尙) : 552칙.
달마(達磨) 제10세 홍주(洪州) 고안대우(高安大愚) 화상(和尙)의 제자
균주(筠州) 말산(末山) 니요연(尼了然) : 553칙.
달마(達磨) 제10세 담주(潭州) 도오산(道吾山) 종지(宗智) 선사(禪師)의 제자
담주(潭州) 석상산(石霜山) 경저(慶諸) 선사(禪師) : 554칙 - 563칙.
담주(潭州) 점원중흥(漸源仲興) 선사(禪師) : 564칙 - 566칙.
달마(達磨) 제10세 담주(潭州) 대위산(大潙山) 영우(靈祐) 선사(禪師)의 제자
원주(袁州) 앙산(仰山) 혜적통지(慧寂通智) 선사(禪師) : 567칙 - 578칙.
선문염송염송설화회본(禪門拈頌拈頌說話會本) 제15권
달마(達摩) 제10세 담주(潭州) 위산영우(潙山靈祐) 선사(禪師)의 제자
원주(袁州) 앙산혜적통지(仰山慧寂通智) 선사(禪師) : 579칙 - 589칙.
복주(福州) 영운지근(靈雲志勤) 선사(禪師) : 590칙 - 595칙.
항주(杭州) 경산홍인(徑山洪諲) 선사(禪師) : 596칙.
등주(鄧州) 향엄지한(香嚴智閑) 선사(禪師) : 597칙 - 602칙.
경조(京兆) 미(米) 화상(和尙) : 603칙 - 606칙.
달마(達摩) 제10세 홍주(洪州) 황벽산(黃蘗山) 희운(希運) 선사(禪師)의 제자
진주(鎭州) 임제의현(臨濟義玄) 선사(禪師) : 607칙 - 613칙.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