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논문 상세정보

논문 상세정보

국어과 수업에서의 북클럽(Book Club) 활동 양상에 대한 연구-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학습조직의 강화와 학교재건을 위한 교육과정/수업/평가/테크놀로지 통합 체제 연구 및 개발: 중등 국어,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 2001 년 중점연구소지원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노선숙(이화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2년 이내에 최종연구결과물로 학술논문 또는 저역서를 해당 사업 신청요강에서 요구하는 수량 이상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최종연구결과물 제출 조건이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저널명 독서연구 - 등재후보 (ISSN : 1598-9607) 외부링크
발행정보 2004년 06월 01일 / Vol.0 No.11 / pp. 31 ~ 60
발행처/학회 한국독서학회
저자수 2
초록
  • 국문
  •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d aspects of the Book clubs in the seventh-graders' Korean language arts classes. For this study, the investigator developed curriculum units necessary for implementing the Book clubs and they were applied to seventh-graders' Korean language arts classes. A Book club is a classroom activity consisting of reading, talking and writing about some interesting parts in the students' chosen books.
    First of all, all of the three elements of a Book club were not importantly considered. Instead, only reading was heavily emphasized. Even though teachers tried to guide students to solve their problems from its' implementation and to provide role models to them, the teachers still inclined to give them very specific answers. Like this, the Book club lessons were controlled by teachers so that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Book clubs were not vivid. This was because teachers viewed reading as a relatively easier subject area to teach and students did not regulate their learning by themselves.
  • 이 논문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를 로딩 중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