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논문 상세정보

논문 상세정보

미군정기(1945~1948) 한국의 자유주의: 이승만의 '반공적' 자유주의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근현대 한국 자유주의 연구 | 2002 년 인문사회분야지원한국근현대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구대열(이화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2년 이내에 최종연구결과물로 학술논문 또는 저역서를 해당 사업 신청요강에서 요구하는 수량 이상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최종연구결과물 제출 조건이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저널명 한국철학논집 - 등재후보 (ISSN : 1598-5024) 외부링크
발행정보 2007년 08월 01일 / Vol.21 No.0 / pp. 241 ~ 270
발행처/학회 한국철학사연구회
주저자 양승태
공저자 전재호
저자수 1
초록
  • 국문
  • 이 글은 한국현대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던 이승만의 자유주의에 대한 인식을 미군정기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이승만은 미국 선교사가 세운 배재학당에서 입학하여 기독교와 미국식 근대 교육을 습득했고, 그 후로도 그들의 도움으로 투옥중임에도 독서와 집필을 할 수 있었으며 미국 유학을 통해 박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었다. 이런 경험은 그가 전면적으로 미국식 사고방식을 수용하고 비판적 인식 없이 미국을 신뢰하게 만든 계기였다. 그의 독립운동방략인 외교론이 자력이 아닌 미국에 완전히 의존하는 논리라는 점은 그가 얼마나 미국을 ?옮뢰했는지르? 잘 보여준다.
    자유민주주의와 관련하여 이승만은 미국식 민주주의를 독립한국의 정치체제로 도입하고 사상, 언론, 출판의 보호 등 자유주의가 전제하는 개인의 기본권을 수용했다. 그러나 그는 개인을 우선하는 미국식의 개인주의를 비판하고 개인의 자유에 앞서 국가의 자주독립을 더 강조했다. 또한 경제부문에서도 미국식 자유주의와 달리 공익산업기관의 국유화와 상업의 정부검열 등 주장했다. 이러한 차이는 식민지의 경험과 혼란스러웠던 해방 직후의 상황에 기인한 것이었다.
    이승만은 공산주의를 자유민주주의의 대립항으로 설정하고 강력한 반공주의를 내세웠다. 그는 루즈벨트 행정부의 대소 유화정책을 비판하고 군부 및 미군정과 같은 미국의 강경 반공세력과 보조를 맞추었다. 그의 반소⋅반공 인식은 냉전이 격화되면서 정당성을 얻게 되었다.
    미군정기 이승만에게 가장 중요한 과제는 공산주의의 침투를 방어하고 통일 국가를 수립하는 일이었다. 그에게 자유민주주의는 중요한 원리였지만 반공을 위해서라면 포기 또는 유보할 수 있는 원리였다. 따라서 자유주의에 대한 그의 인식은 반공에 종속된 자유주의, 곧 ‘반공적 자유주의’라고 말할 수 있다. 결국 반공적 자유주의가 미군정기 한국 자유주의를 대표하지는 않았지만 당시 한국 자유주의에서 가장 핵심적인 측면이었다.
  • 이 논문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를 로딩 중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