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논문 상세정보

논문 상세정보

성황신 김홍술과 의성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고려 지방사회와 실존인물의 성황신 추앙 | 2003 년 학술연구교수지원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변동명(& #40;구& #41;여수대학교& #40;폐교& #41;)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2년 이내에 최종연구결과물로 학술논문 또는 저역서를 해당 사업 신청요강에서 요구하는 수량 이상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최종연구결과물 제출 조건이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저널명 역사학보 - 등재 (ISSN : 1225-1615) 외부링크
발행정보 2006년 03월 01일 / Vol.189 No.189 / pp. 1 ~ 37
발행처/학회 역사학회
주저자 변동명
저자수 1
초록
  • 국문
  • 김홍술은 신라말 眞寶縣의 吏에서 자립하여 城主로 성장한 호족이었다. 후삼국의 소용돌이 속에서 그는, 왕건의 세력권으로부터 멀리 떨어졌음에도 일찍이 고려에 귀부함으로써 남다른 대우를 받았다. 진보현을 거점으로 세력을 키워가던 그는, 왕건의 후원을 바탕으로 더욱 영향력을 확대하면서 聞韶郡에 진출하여 관내 영역을 장악하였다. 그리하여 그곳에 고려의 전진기지 격인 義城府를 성립시켜 지배하는 한편, 경상 동북지역 내 親高麗的인 성향의 호족을 이끄는 실력자로 활약하였다. 그러다가 거기에까지 세력을 확장하며 지역을 침식해 들어?윱? 후백제 견훤에게 대항하여 싸우던 끝에 전사함으로써 생을 마감하였다.
    의성의 주민들은 그처럼 외부의 침입으로부터 지역을 지키는 데 앞장서고, 나아가 고려왕조를 위해 충성을 다한 김홍술을 깊이 추모하였다. 그리하여 그가 전사한 곳에 사당을 세우고 그를 성황신으로 추앙하였다. 顯宗代 무렵 그의 후손을 비롯한 지역 유력계층의 적극적인 추진에 의해서였다. 현종대의 지방통치체제 정비에 따라 의성이 安東의 屬縣으로 격하되자, 지역 출신의 김홍술이 고려왕조에 크게 기여하였음을 내세워 안팎에 邑格의 회복을 호소하려는 의도에서였다.
    고려에서 조선전기에 이르도록 김홍술을 모시는 의성의 城隍祭儀는 향리와 같은 토착 유력계층에 의해 주도되었다. 그러다 조선왕조에 들어 淫祀로 규제를 받으면서, 후기인 肅宗代에 鄕村士族의 노력으로 의성 성황사 건물이 忠烈祠로 바뀌었다. 사회의 儒敎化에 발맞춰 지역 내 유력한 가문의 조상이자 고을의 상징이기도 하였던 인물을, 음사의 대상인 성황신에서 충절의 실천에 목숨을 바친 유교적인 義士로 전환시키려는 조치였다. 그로써 김홍술을 향한 음사를 종식시키는 것은 물론, 나아가 충렬사에서의 유교적인 의례를 주도함으로 해서 향?鵑瑩렝막關?의 위세를 과시하려는 속셈에서였다.
    충렬사의 설립과 운영에는 의성김씨보다는 他姓의 향촌사족과 지방관이 더 적극적이었다. 그의 직계 후손이 몰락하고 여타의 派系가 번성함에 따라, 의성김씨 가문 내에서 김홍술이 소외된 때문이었다. 의성김씨의 각 파계별 소장성쇠라고 하는 씨족 내 사회적인 분화현상의 반영이자 나아가 향리로 대표되는 고려 이래의 전통적인 토호세력을 제압한 사족이 향촌에서의 우위를 더 없이 확고히 하기에 이른 사회적인 변화의 반영이었다.
  • 이 논문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를 로딩 중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