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논문 상세정보

논문 상세정보

대화 관련 실용서의 문제 - 언어학의 시각을 중심으로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과 독일의 대화관련 실용서 비교 연구 - 언어학적 관점의 비판과 대안 제시 - | 2004 년 전문연구인력지원사업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진정근(상명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2년 이내에 최종연구결과물로 학술논문 또는 저역서를 해당 사업 신청요강에서 요구하는 수량 이상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최종연구결과물 제출 조건이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저널명 독일어문학 (ISSN : 1229-1560) 외부링크
발행정보 2007년 09월 01일 / Vol.38 No.3 / pp. 423 ~ 443
발행처/학회 한국독일어문학회
주저자 진정근
저자수 1
초록
  • 국문
  • 이 글에서는 일반인들이 언어와 의사소통에서 문제가 발생할 때 참고하고 조언을 얻는 실용서들이 언어학의 시각에서 어떤 문제점들을 지니고 있으며 또한 실용서들이 다루고 있는 문제들은 무엇인지를 근본적인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언어학의 의사소통 관련 실용서 연구에서는 독일에서의 초기 실용서 연구가 보여주듯이 실용서가 제시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 상황에 대한 처방적 측면만을 부각시켜 비판하면서 성급한 대안을 제안하려는 유혹에 빠지기가 쉽다. 그러나 실용서를 포함한 의사소통 능력 개선 및 향상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은 ?욜회웰? 요구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선행된 다음에 실용서가 안고 있는 문제에 대한 진단과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언어학의 실용서 연구가 어떠한 의의를 지니고 있으며 현황은 어떠한지 간략하게 언급한다. 이어서 실용서에 나타나고 있는 심리적인 부분을 포함한 일반적 문제점들을 정리하여 서술한다. 그리고 우리의 의사소통 활동을 만족스럽지 못하게 만드는 장애물이라 생각되는 일반적인 언어 및 의사소통 문제들은 무엇이고 이 문제들이 왜 장애로 작용하는지를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언어적 의사소통 능력을 개선하기 위한 언어학적 프로그램은 어떠한 모습인지 대략적으로 살펴보았다.
  • 이 논문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를 로딩 중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