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논문 상세정보

논문 상세정보

문화수도 선정을 통한 도시 장소마케팅 전략활동의 한·영간 비교연구 - 영국 글래스고우 문화수도 선정사례 평가를 중심으로
이 논문은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문화수도 선정을 통한 도시 장소마케팅 전략활동의 한·영간 비교연구 - 영국 글래스고우 문화수도 선정사례 평가를 중심으로 | 2004 년 대학교수해외방문연구지원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서순복(광주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2년 이내에 최종연구결과물로 학술논문 또는 저역서를 해당 사업 신청요강에서 요구하는 수량 이상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최종연구결과물 제출 조건이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저널명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 등재 - B (ISSN : 1225-8652) 외부링크
발행정보 2006년 08월 01일 / Vol.17 No.2 / pp. 131 ~ 157
발행처/학회 서울행정학회
주저자 서순복
저자수 1
초록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1990년 영국 글래스고우 지역의 문화수도 사례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의 광주아시아문화중심도시 정책논의의 방향 설정에 기여하고, 한국적 상황에서 그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본투자와 건축계획은 지속가능성이 있어야 하고, 착수시점부터 장기 비용소요계획이 수립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전시민적 참여가 중요하다. 셋째, 문화적 투자는 세계적 수준의 문화상품을 수입하는 문제가 아니라, 오히려 지역문화를 지역에서 소비하고 또한 문화수출을 할 수 있도록 지역문화의 창조와 지속가능한 생산을 촉진하는 방법이라는 점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문화 투자는 사람과 지역공동체를 함께 아우르며, 환경의 변화가 있을 때 사람을 그 뒷전에 두는 위험을 야기해서는 안 된다. 다섯째, 문화적 투자는 그 영향을 평가하고 측정해야 한다. 여섯째, 문화수도 사업진행을 전후하여 조직의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나아가 우리나라의 경우 광주를 문화수도 내지 아시아문화중심도시로 육성하려는 정책의지를 갖고 있는바, 국가의 경계를 넘어 아시아라는 거시적 맥락에서 유럽연합의 경우처럼 연합조직을 결성하여 아시아 국가의 ?왜엔? 도시들을 문화수도로 지정하여 문화를 통한 도시재생 전략을 수행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이 논문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를 로딩 중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