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4731&local_id=10005748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관 질환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새로운 진단법 개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관 질환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새로운 진단법 개발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권순억(울산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E00021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5년 03월 2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5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뇌혈관 질환이 있는 환자는 뇌졸중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뇌졸중의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 약물 치료에서부터 혈관 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술과 수술까지 다양한 치료법들의 효과가 입증되어서 임상에서 현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치료들을 모든 환자들에게 시행할 수는 없다. 뇌혈관 질환의 특성에 따라서 약물치료만으로도 적절한 환자가 있는 반면,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뇌졸중이 재발할 가능성이 높아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환자도 있다. 따라서 시술 자체가 위험을 수반하고 고비용이 드는 혈관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술이나 수술적 요법이 꼭 필요한 환자만을 선별하는 것은 뇌혈관 질환의 치료에서 필수적이다. 현재까지 침습적 뇌혈관 조영술, 자기공명영상(MRI)을 이용한 혈관검사, 뇌관류 스캔(perfusion SPECT) 등의 검사들이 시술이나 수술이 필요한 고위험 환자군을 선별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초음파를 이용한 경동맥 혈관 검사와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류 검사 및 미세색전 모니터링은 MRI나 침습적 뇌혈관 조영술에서 얻을 수 없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고위험 환자군의 선별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초음파는 인체에 무해하고 다른 검사에 비해서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고, 환자가 손쉽게 접근할 수 있고, 반복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장점들이 있으므로 고가의 침습적 검사에 보완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유용한 검사법이다.
    본 연구자는 영국 Saint George's Hospital의 Neuroscience center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뇌혈관 질환의 진단 및 치료법에 대한 연수를 시행하였으며, 이곳에서 시행되고 있는 국제 다기관 임상연구에 함께 참여하였다.
    본인은 경동맥의 심한 협착은 있으나 뇌졸중이 발생한 적이 없는 뇌혈관 질환자를 대상으로 경동맥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고 경두개 초음파를 이용해서 미세색전을 모니터링하여, 미세색전의 존재나 경동맥 초음파의 소견이 뇌졸중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지를 관찰하는 연구에 참여하였다. 현재 이 Asymptomatic Carotid Emboli Study(ACES)연구는 전세계 28개 센터에서 480명의 심한 경동맥 협착은 있으나 뇌졸중이 발생한 적이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 연구 이전에 시행된 전임상에서 경동맥 초음파에서 미세색전이 발견된 환자는 뇌졸중이 발생할 가능성이 색전이 발견되지 않는 환자에 비해서 훨씬 더 높으며, 여러차례 반복적으로 미세색전을 모니터링하였을 때, 미세색전이 발생은 뇌졸중 발생에 선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인은 이 연구에서 연구에 참여한 환자들의 경동맥 초음파 상의 특징을 분석하였고, 미세색전을 직접 모니터링하였다.
    이런 결과를 2005년 이태리에서 열린 Europeans Stroke Conference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 영문
  • Background: Better methods of identifying which patients with asymptomatic carotid stenosis (ACS) develop stroke, are required to improve the risk-benefit ratio for endarterectomy. A promising method is detection of asymptomatic embolic signals (ES) using transcranial Doppler (TCD). ES predict stroke risk in symptomatic carotid stenosis but data in ACS is limited.
    Method: ACES is a prospective study in ACS 70%. Two 1 hour TCD recordings from the ipsilateral middle cerebral artery are performed at baseline, and a single hours recording at 6,12,and 18 months. Follow up is 2 years. All recordings are made on DAT tape for blinded central analysis.
    Primary endpoint: Do ES on either of 2 baseline recordings predict ipsilateral TIA and stroke over 2 years Secondary endpoint: Do ES on a single hour long recording predict risk over any subsequent 6 month period Due to limited previous data on prevalence of ES in ACS, and newer medical treatments possibly reducing stroke frequency in medically treated patients, sample size calculations have been made on unblinded interim data.
    Results: In March 2003 interim analysis on the first 132 subjects revealed 21.2% had ES during either of 2 baseline TCDs; 12.1% had ES on the 1st of the 2 entry recordings. 2 year combined ipsilateral stroke/TIA rate was 6.6%. To detect a relative risk of 3, (power 0.9, p < 0.05),assuming drop-outs at the current rate, a sample size of 480 is required for primary endpoint and 367 for secondary endpoint.
    22 active centres in Europe, Asia and USA had enrolled 345 subjects by Jan 2004. Baseline data on the first 300 subjects revealed: mean(SD) age 71 (8.1)years, mean stenosis 78.3(8.7)% hypertension 75.7%; smoking: current (13.5%), ex (50.9%); diabetes 18.9%. Ultrasound plaque morphology echolucent 39.3%, mixed 30.0%, echodense 16.6%, unclassifiable 14.0%.
    Conclusions. ACES is the first multicentre international trail to determine the prognostic values of Doppler ES in any stroke condition. It willdetermine whether ES is a useful predictor in ACS, and allow its predictive value to be compared with clinical features, imaging parameters and ultrasound plaque morpholog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Background: Progression of symptomatic extracranial carotid artery stenosis has been well known. However,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about the change of symptomatic middle cerebral artery (MCA) stenosis after stroke. Objective: To evaluate the difference in progression between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MCA stenosis.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as a subgroup analysis of the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cilOstazol in Symptomatic intracranial arterial Stenosis.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 was performed twice: at < 2 weeks, and 6 months after the onset of stroke. The results of MRA were reviewed by three neurologists independently and the status of MCA was graded into normal, mild, moderate, severe and occlusion by consensus. Progression was defined as the increment of one or more grade on follow-up MRA. Odds ratio of progression of symptomatic stenosis was calculated in reference to asymptomatic stenosis and the results were adjusted for age, sex, history of coronary heart disease, hypertension, diabetes, hyperlipidemia, and the use of statins,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and cilostazol. Results: Ninety-seven patients with MCA stenosis on initial MRA were analyzed. Among 82 MCAs with symptomatic stenosis, 17 (20.7%) showed progression. Three (5%) of 60 MCAs with asymptomatic stenosis showed progression. Crude OR (95% Confidence interval) of symptomatic stenosis was 4.97 (1.39 to 17.83). After controlling covariates, adjusted OR was 4.42 (1.14 to 17.1). Conclusion: Our study reveals that symptomatic MCA stenosis progresses more frequently than asymptomatic one. Symptomatic intracranial stenosis appears to be a highly dynamic process as to require therapeutic intervention.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경동맥 협착은 그 예후와 치료 방침이 비교적 잘 설립되어 있으나, 중대뇌동맥 협착처럼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양인에서 흔한 두개내 동맥의 협착에 대해서는 그 자연경과와 이를 바탕으로 한 치료방침의 설정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다. 이번 연구는 유증상 중대뇌동맥은 무증상협착에 비해서 의미있는 협착의 진행과 호전을 보였으며, 이런 차이는 유증상 두개내 동맥협착이 있는 경우에는 좀 더 적극적인 치료법의 개발이 필요함을 밝혔다. 특히 유증상 협착의 진행과 뇌졸중의 재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기존 연구 결과들을 고려할 때, 유증상 협착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치료방침을 세우는 것이 매우중요함을 보인 연구이다.
  • 색인어
  • cerebrovascular disease, stenosis, intracranial stenosis, MRA, progression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