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5292&local_id=10009523
?비틀림(warping torsion)을 고려하는 고등해석기법 개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비틀림(warping torsion)을 고려하는 고등해석기법 개발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승억(세종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D00042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1월 1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횡비틀림 좌굴을 고려한 3차원 강뼈대구조물의 고등해석기법을 개발하였다. 본 해석은 구조시스템 및 개별부재의 기하학적 비선형과 재료적 비선형을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 해석법에서 고려하지 못했던 횡비틀림좌굴을 고려할 수 있다. 잔류응력, 휨에 의한 강구조의 점진적인 항복과 비선형효과를 효과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제시되었다. 예제해석은 고등해석에 있어 횡비틀림좌굴을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구조물 설계에 있어 효과적이며 신뢰할 만한 방법임을 보여준다.
  • 영문
  • In this study, 3-D frame design using advanced analysis accounting for lateral-torsional buckling is preseted. This analysis accounts for material and geometric nonlinearities of the structural steel system and its component members. Moreover, the problem associated with conventional advanced analyses, which do not consider lateral-torsional buckling, is overcome. Efficient ways of assessing steel frame behavior including gradual yielding associated with residual stresses and flexure, and second-order effect are presented. A case study shows that lateral-torsional buckling is a very crucial element to be considered in advanced analysis. The proposed analysis is shown to be an efficient, reliable tool ready to be implemented into design practic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횡비틀림 좌굴을 고려한 3차원 강뼈대구조물의 고등해석기법을 개발하였다. 본 해석은 구조시스템 및 개별부재의 기하학적 비선형과 재료적 비선형을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 해석법에서 고려하지 못했던 횡비틀림좌굴을 고려할 수 있다. 잔류응력, 휨에 의한 강구조의 점진적인 항복과 비선형효과를 효과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제시되었다. 예제해석은 고등해석에 있어 횡비틀림좌굴을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구조물 설계에 있어 효과적이며 신뢰할 만한 방법임을 보여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가. 학문적 가치
     - 뒴비틀림을 고려하는 실용적인 고등해석 (개선소성힌지해석)에 대한 연구를 국내외를 막론하고 최초로
    연구 개발.
     - 고등해석분야에서 선진 국가의 수준과 대등한 학문적 수준을 확보.

    나. 학문의 파급효과
     - 선진국에서 활발히 연구되고있는 고등해석기법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해서 국내의 연구 저변확대.
     - 연구성과의 국제 논문 발표를 통해서 후속 연구자의 벤치마킹이 되도록 함.
     - 본 연구의 성과물 및 축적기술을 활용하여 국내 설계 및 엔지니어링 산업의 기술력 제고.

    다. 교육의 연계성
     - 기존 설계법을 대체할 수 있는 최신의 해석기법을 대학원 교과에 반영.
    (현재 관련 교과목 "고등해석 및 설계" 개설중)
     - 새로운 설계기법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실용적인 대학원 교육 실시.
  • 색인어
  • 고등해석, 비선형해석, 횡비틀림좌굴, 강뼈대구조물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