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5320&local_id=10009967
12世紀 南中國 地域社會의 動態와 알적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12世紀 南中國 地域社會의 動態와 알적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근명(한국외국어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06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5년 04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5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遏糴이란 미곡을 위시한 식량의 타지역 반출을 방해하는 행위이다. 12세기 남중국 각 지역 사이에는 식량 수급정황에 큰 편차가 있었다. 따라서 장거리를 왕래하며 식량을 판매하는 상인들의 활동은 식량이 부족한 지역에 있어 중대한 관심사였다. 이러한 정황에서 곡창지를 중심으로 간헐적인 알적이 행해지자, 그것은 단순히 일부지역의 미곡수급과 관련된 차원을 넘어 남송의 사회구조 자체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지역사회의 안정을 유도하려는 중앙정부와 해당 지방정부, 지방의 胥吏는 물론이려니와, 나아가 미곡부족 현상에 대해 상반된 이해관계를 지니고 있는 지역사회의 각계층, 각지역 米價의 편차를 이용하여 원거리 무역을 행하는 상인 등이 모두 알적과 긴밀한 연관을 맺고 있었다.

  • 영문
  • E-di refers to the action of disturbing transfer of food including rice to other areas. There were similar cases found in ancient history of China. In the Song dynasty, especially with the entry into the Southern Song, E-di turned into a main social problem. In those times, there was a big disparity in the demand-supply situation of food among the regions of South China. Therefore, the activities of merchants who were engaged in long-distance food trades were of primary concern in the areas deficient of food. Under these circumstances, when E-di was sporadically committed centering on granary, it influenced the social structure of the Southern Song itself beyond the demand-supply situation of food in some regions. The problem of E-di concerned various social classes in those times. The central government, the local ones and their clerks which were going to induce the stability of local communities; all classes of local communities which had conflicting interests concerning the scarcity of food; merchants who did long-distance trade with the advantage of different rice pric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遏糴이란 미곡을 위시한 식량의 타지역 반출을 방해하는 행위이다. 유사한 사례는 중국역사상 일찍부터 있었으나 宋代, 특히 南宋時代에 진입하며 두드러진 사회문제로 대두된다. 당시 남중국 각 지역 사이에는 식량 수급정황에 큰 편차가 있었다. 따라서 장거리를 왕래하며 식량을 판매하는 상인들의 활동은 식량이 부족한 지역에 있어 중대한 관심사였다. 이러한 정황에서 곡창지를 중심으로 간헐적인 알적이 행해지자, 그것은 단순히 일부지역의 미곡수급과 관련된 차원을 넘어 남송의 사회구조 자체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알적의 문제에는 당시 사회의 여러 계층이 관련되어 있다. 우선 지역사회의 안정을 유도하려는 중앙정부와 해당 지방정부, 지방의 胥吏는 물론이려니와, 나아가 미곡부족 현상에 대해 상반된 이해관계를 지니고 있는 지역사회의 각계층, 각지역 米價의 편차를 이용하여 원거리 무역을 행하는 상인 등이 모두 알적과 긴밀한 연관을 맺고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종래 알적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해명하고자 한 시도는 전무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현상에 비추어 본연구는 상당한 연구사적 의미를 지닐 것으로 판단된다. 뿐 만 아니라 종래의 송대 사회경제사 연구는 북송시대에 과도하게 집중되어 있었으며 지역적으로도 양자강 델타지역이라든가 복건, 그리고 개봉이나 임안 등의 대도시에 치우친 경향이 강하였다. 12세기의 남송사회, 그것도 양자강 중류 일대를 주된 고찰의 대상으로 삼은 본연구는 송대 사회경제사 연구의 시기적 지역적 편중성을 보완하는 데 있어서도 약간이나마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南宋, 遏糴, 국가권력, 지역사회, 지방관, 소농민, 부농, 米商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