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5478&local_id=10009549
조직내 및 조직간의 비공식 연결망에 관한 연구: 사회연결망분석의 적용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조직내 및 조직간의 비공식 연결망에 관한 연구: 사회연결망분석의 적용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최창현(가톨릭관동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128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5년 11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5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제까지의 조직연구에 있어서 공식조직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왔지만 실제 조직 업무는 비공식 구조를 통해 달성된다는 점에서 비공식조직의 중요성에 주목한 연구들도 그리 많지는 않지만 극소수의 연구가 존재한다. 비공식조직의 조직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조직구조의 설계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공식조직에 국한 되어왔다. 조직의 공식적 구조만을 나타내 주는 조직도표는 조직내부의 구성망을 제대로 반영해 주지 못하므로 복잡한 조직실체의 일부인 껍데기만을 보여주고 있을 뿐이다. 조직의 구조와 구성망간에는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의 조직연구는 주로 조직의 공식구조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일부소수의 연구자들은 비공식조직의 설계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다. 1927년에서 1932년 사이에 수행된 호돈연구는 조직행태의 이해에 있어 사회적 요인의 중요성을 보여 주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공식적인 조직도표에서는 알 수 없는 구성원간의 비공식적 관계를 파악 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연결망적 기법을 활용하여 실제조직을 분석함으로서 사회연결망 분석의 조직연결망 분석으로의 발전가능성을 제시한다.
    이 글의 목적은 비공식조직을 좀 더 깊이 이해하고 비공식연결망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적용한다.
  • 영문
  • Although the formal organization describes authority lines, much of the influence and the actual work is accomplished through the informal structure of friends, contacts, and accidental communications, Despite this recognition, recommendations for the design of organizations have been limited for the most part, to formal organizations. A small number of researchers has called attention to the issue of design of informal organization.
    In this article, I propose to present a panorama of the different methods that exist today for the establishment of a network of relationships in the core of an organization. This network of relationships resembles the  informal organizational chart , on assuming that the phenomena of influence are directly related to the structures of existing relationship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제까지의 조직연구에 있어서 공식조직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왔지만 실제 조직 업무는 비공식 구조를 통해 달성된다는 점에서 비공식조직의 중요성에 주목한 연구들도 그리 많지는 않지만 극소수의 연구가 존재한다. 비공식조직의 조직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조직구조의 설계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공식조직에 국한 되어왔다 (Daft, 19830, Blau 와 Scott(1962)은 비공식적 관계의 연결망을 연구하지 않고서는 공식조직의 특질을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비공식 연결망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증적 연구가 거의 없었던 이유는 적절한 분석 기법의 결여에 기인한다. 이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 (social network analysis) 기법을 활용하여 조직내 및 조직간의 비공식적 연결망을 연구하고자 한다. 조직의 공식적 구조만을 나타내 주는 조직도표는 조직내부의 구성망을 제대로 반영해 주지 못하므로 복잡한 조직실체의 일부인 껍데기만을 보여주고 있을 뿐이다. 조직의 구조와 구성망간에는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의 조직연구는 주로 조직의 공식구조에 초점을 두고 있다. 비공식적 조직도표는 합리적인 조직설계에서 강조해온 공식적 조직도표에서는 간파 할 수 없는 조직구성원간의 응집성 및 유대 등의 역학관계를 알 수 있게 해준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공식적인 조직도표에서는 알 수 없는 구성원간의 비공식적 관계를 파악 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연결망적 기법을 활용하여 실제조직을 분석함으로서 사회연결망 분석의 조직연결망 분석으로의 발전가능성을 제시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제까지 대부분의 사회 과학 분석은 속성자료 (attribute data)에 국한되어 왔다. 속성자료는 개인이나 집단의 태도, 의견, 행태 등에 대한 자료이다. 이러한 속성자료는 설문, 면접 등을 통해 수집된다. 속성자료에 적합한 분석은 변수 분석이다. 이와는 반대로 관계자료는 개인, 집단, 조직들간의 유대 및 연계에 관련 된 것이다. 관계는 행위자의 특질이 아니라 행위자 체제의 특질이다. 이러한 관계자료에 적합한 분석방법이 바로 연결망 분석이다. 그러나 연구방법론에 관한 대부분의 기존 책들은 속성 자료의 변수분석에 국한되어 있고 관계자료의 연결망 분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의 목적은 비공식조직을 좀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비공식연결망을 분석하는 방법론을 적용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조직내의 비공식 연결망 (informal network)의 특질과 공식적 연결망 간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연구결과는 앞에서 살펴본 기존 연구를 통해 제기된 몇 가지 문제점을 확인해 줄 수 있다. 첫째 공식조직내에는 비공식적 연결망이 존재하고 있는 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게 해준다. 둘째 연결망 분석은 사회적 현상을 한 행위자나 조직을 단위로 분석하기 보다는 이들간에 맺어지는 관계로부터 파생되는 출현적 속성(emergent property)을 강조하고, 그에 따라 관계의 양상을 분석한다는 점에서 행위자중심, 혹은 변수중심의 접근법과는 구별된다. 특히 많은 사회학자들이 주지하는 바와 같이 거시적 사회현상에 대한 이해방법과 미시적 과정에 대한 이해방법 사이에는 메우기 힘든 간격이 존재해온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바, 연결망분석은 거시적 사회현상과 미시적 사회현상을 연계하여 다양한 분석수준간의 연계구조를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유용한 틀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조직내에서 공식적인 권한관계와는 무관하게 누가 핵심적인 행위자 인지를 규명하는데 도움을 줄 수가 있으며 이러한 비공식적 연결망을 장기적으로 파악한다면 조직내의 영향력에 흐름을 파악 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이러한 연결망분석적 연구는 종래의 개인이나 집단의 태도, 의견, 행태 등에 대한 자료인 속성자료 (attribute data)에 대한 연구 뿐만 아니라 개인, 집단, 조직들간의 유대 및 연계에 관한 관계자료 (relational data)를 분석한다는 점에서 사회과학자료 분석에 상호보완적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비공식조직, 공식조직, 사회연결망분석, 조직내 연결망, 조직간 연결망, 조직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