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5897&local_id=10009496
20세기 한국 현대시와 민중 가요의 상관성 연구 : 1960년대 - 2000년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20세기 한국 현대시와 민중 가요의 상관성 연구 : 1960년대 - 2000년을 중심으로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최동호(고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S2026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2월 0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20세기 한국 현대시와 민중가요의 상관성 연구> 프로젝트는 두 가지 연구 성과를 지향한다. 먼저 1960-2000 년까지의 민중가요를 광범하게 모으고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검색 기능을 부여한 CD를 제작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 민중가요를 분석하고 현대시와의 상관성을 연구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팀은 민중가요를 몇 가지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분류기준은 (1)창작 주체-작사, 작곡, 가수 (2)작사 주체 - 시인, 개인, 단체, 미상, 기타 (3)창작 시기 (4)향유시기 (5)향유층 (6)주제어 (7)소재 (8)비고- 주석을 위한 참고 사항 (9)가사 등이다. 이 중 (4), (5) 항목은 자료나 인터뷰 등으로 추적하더라도 정확성과 체계성을 보장하기 어려운 항목으로서 최종 연구 결과 반영되지 않을 것이다. 위의 9 가지 기준 항목에 따라 입력된 1800여 편의 민중가요는 그 기준에 따라 검색 가능한 CD 형태로 발간되어 후속 연구의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검색용 CD는 연구 성과물로 등록하였음, 자세한 통계 항목은 수록 논문 참조)
    주제어 분류는 민중가요에 대한 선행 연구의 분류를 참고하는 한편, 본 연구팀이 민중가요의 내용을 통독한 후 역사 / 사회 / 개인 등 범주적 부류와 노동 / 민주 / 참교육 / 통일 등의 주제적 분류를 가감 적용하여 22개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자세한 분류항목은 수록논문 참조)
    주제어 분류는 민중가요에 대한 선행 연구의 분류를 참고하는 한편, 본 연구팀이 민중가요의 내용을 통독한 후 역사 / 사회 / 개인 등 범주적 부류와 노동 / 민주 / 참교육 / 통일 등의 주제적 분류를 가감 적용하여 22개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자세한 분류항목은 수록논문 참조)
    본 연구팀이 제작한 민중가요 자료집과 검색용 CD는 민중가요 연구자를 위한 충실한 자료가 될 것이다.
    민중가요 자료집은 각곡의 ①작곡자, 작사가, 출전, 수록시기, 가사, 역사적 사건 등의 정보를 담은 출력 화면 ②현대시를 가사로 하는 민중가요 악보 ③민중가요 출전 ④민중가요 참고문헌 서지목록 ⑤민중가요 창작자 색인 ⑥연구원의 논문 4편 등으로 구성되었다.
    민중가요 검색용 CD는 작사, 작곡자 등의 창작자와 창작 시기, 주제어, 본문 단어, 가사, 등의 검색어를 조건으로 하여 다양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검색화면을 출력할 수 있게하여 연구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1800여 곡에 달하는 방대한 자료집과 검색용 CD는 민중가요와 현대시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뿐만 아니라 민중가요 자체에 대한 연구를 지향하는 연구자에게도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영문
  • The project Correlation between the 20th Century Contemporary Korean Poetry and Student Activists? Songs has two aims. First is to make a comprehensive database of student activists? songs (hereinafter ?the songs?) collected from 1960 to 2000. The database will then be used to make a CD that has a search feature. Second is to analyze the songs in the database and find out their correlation with contemporary poetry. To this end, our research team categorized the songs as follows.

    Categories are: (1) Creators ? composer, lyricist, singer (2) Lyricist ? poet, individual, group, unknown, others (3) Time of Creation (4) Duration of the Song (5) Listeners (6) Keywords (7) Song materials (8) Reference ? additional information for footnotes (9) Lyric. It is possible to track down categories (4) and (5) through data and interviews yet their accuracy and consistency could be in question so these two will not be reflected in our final research result. Approximately 1,800 songs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nine categories mentioned above and stored in a CD which provides a search feature. This will allow songs to be used as a basic data in the future, follow-up research (The CD is registered as a research result. Refer to the attached paper for detailed statistics.)

    Various types of follow-up research will become possible through the CD. In a larger context, the CD will, first, allow research on correlation between the songs and contemporary poetry through comparison of elements such as theme, underlying spirit, creation process and etc. Second, the CD will allow research on time of creation and features of the songs. This paper which looks into the reunification spirit found in the songs is closer to the second type of research. Based on this paper, the scope of research could widen to include research that compares the reunification spirit found in contemporary poems with that found in the songs.

    We obtained some results by categorizing 1,746 songs according to time of creation and theme. We divided the periods during which these songs were made into five stages and found out how the theme changed in each stage. Determining when the songs were exactly created and drawing a clear line between different periods plays a pivotal role in the basic analysis of the songs yet we had to accept some degree of uncertainties when undertaking such tasks. Academic research on the songs should give a historical and social interpretation of these songs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However, as it was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act time of creation and the duration of the songs, a general and objective categorization of periods used in historical and sociological studies was hard to achieve in this case. Thus, the categorization of periods was carried out loosely based on time of creation.

    The CD made by our research team will provide solid information to fellow researchers working on student activists’ songs.

    For each song, the CD provides the following:
    1. Printable version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composer, lyricist, origin, recording period, lyric, historical event and etc.
    2. Score of song whose lyric is adopted from a contemporary poem
    3. Origin of song
    4. Bibliography
    5. Song creator index
    6. Four papers written by our researchers

    The CD allows for diverse types of search such as search by creators (i.e. composer and lyricist), time of creation, keywords, words in lyric, lyric and etc. In addition, search results could be printed for researcher’s convenience. The database of approximately 1,800 songs and the CD will serve as a valuable source not only in research on correlation between the songs and contemporary poetry but also in research on the songs themselv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민중가요는 가사와 주제의식의 측면에서 현대시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한 편의 현대시가 그대로 가사로 채용된 백 여 곡의 민중가요가 있다. 민중가요와 현대시의 상관성 연구는 민중가요 그 자체의 가치평가는 물론 현대시의 의미영역을 넓히는 데에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한국 근현대 100년’의 역사에서 민중가요는 가장 역동적인 변화의 모습을 보여주는 1960년대 이후 40년 동안의 한국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토대가 되는 귀중한 역사적 자료이다. 그러나 ‘민중가요’에 관한 연구의 1차 자료로 삼을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수량과 체계적인 질서를 갖추고 있는 자료집은 정리되어 있지 않았다. 노래 모음집 형식의 자료집이 부분적으로 간행된 바 있으나, 그것은 체계적인 연구를 위한 자료로 삼기에는 그 질과 양이 부족한 수준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민중가요들을 채록해 놓은 기존의 자료들을 수집하였고 현장조사를 통해 그 동안 발굴되지 않은 새로운 자료들을 추가 수집하였다. 그리고 그것들에 대한 상세한 주석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민중가요와 연관된 다양한 연구들이 텍스트로 활용할 수 있는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자료집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팀은 1,746 편에 이르는 민중가요의 악보와 가사를 수집하였다. 이들 자료는 모두 데이터 베이스 형태로 정리하였고 이를 자료집과 검색 가능한 CD 형태로 출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좀더 풍부한 자료를 확보하고 그에 대한 다양한 층위의 의미 분석을 수행하였다. 민중가요들이 학술 연구의 대상으로 확립될 수 있기 위해서 우선 텍스트를 확정하였고, 확정된 텍스트를 시대구분, 주제어, 창작 주체 등의 기준을 설정하여 상세한 주석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민중가요와 연관된 다양한 연구들이 텍스트로 활용할 수 있는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자료집을 구축하였다. 나아가 토픽 맵(topic map) 개념에 근거한 디지털 지식자원 구축을 위한 기초 작업을 수행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1) 민중가요 1700여편 수집
    2) 자료집 발간
    3) CD 제작

    본 연구는 20세기 후반 1945년부터 2000년 까지 민중운동 현장에서 불리워진 민중가요 1746편을 수집하고 주석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민중가요와 연관된 다양한 연구들이 텍스트로 활용할 수 있는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자료집을 구축하고, 나아가 기초 자료들에 대한 디지털화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대용량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연결해주는 방안 가운데 하나로서 제안된 토픽 맵(topic map) 개념을 활용한 CD를 제작 함으로 인문학이 디지털 지식자원 구축에서 예상되는 상황과 구조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적응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초를 놓았다.

    2. 활용방안
    우리의 자료와 학문적 성과는 인터넷 사이트를 통하여 공유하고 실질적 활용을 유도하고자 한다. 인터넷 사이트의 운영은 축적된 자료와 연구 성과를 보존하고 공유하는 데 효율적이며, 대중 홍보와 실질적 활용을 유도하는 데에도 유용할 것이다. 실제로 최근의 문화는 인터넷을 통해 형성되고 결집되며 소비된다. ‘민중가요’에 대한 디지털 지식자원을 구축하고 문화적 차원에서 민중가요에 접근하고자 하는 인터넷사이트 운영은 우리 문화의 미래지향적 콘텐츠 개발에 발전적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 여기에서 살아 숨쉬는 문화예술 장르로서의 민중가요에 대한 ‘인터넷 강의실’을 개설하여 일반인과 전문 연구자들을 위한 자료를 광범위하게 공개하는 한편 상호소통적인 ‘인터넷 세미나실’을 통해서는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지속적인 검증과 보완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는 민중가요가 본원적으로 지니고 있는 역사적이며 사회문화적인 ‘참여와 상호소통’이라는 의미 맥락을 실제 연구 수행 과정을 통해서도 실현하려는 본 연구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한 민중가요 관련 연구들이 보다 안정된 기초 자료의 축적 위에서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는 궁극적으로 한국 근현대사 100년을 관통하는 사회역사적 배경과 문화예술 장르 사이의 연속성과 상관성에 대한 다양한 후속 연구를 촉발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현대시, 현대사, 토픽맵, 해방직후, 과도기, 한국전쟁, 근대화, 광주민주화 항쟁, 6,29선언, 5·18, 4·19, 4·3, 문민정부, 포스트 모던, 데모노래, 저항가요, 대학노래,통계, 시인, 단체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