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5910&local_id=10013300
일제시기 도시계획 관련 공문서에 관한 기록학적 평가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일제시기 도시계획 관련 공문서에 관한 기록학적 평가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곽건홍(한국국가기록연구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S2006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2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기록을 통해 도시계획이라는 정책 현상과 관련된 개인과 조직의 활동 및 이와 관련된 집단화된 기억을 정합성 있게 설명해낼 수 있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분석 대상인 ‘도시계획’이란 일본 정부와 조선총독부에 의해 입안된 조선의 도시계획 정책 입안, 계획의 집행, 그 결과와 영향 등을 포함한 총체적 현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시계획 관련 공문서는 이러한 행위의 반영물로서 존재하게 되며, 기록학적 분석과 평가는 이들을 적절하게 이용, 해석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사업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는 물론 일본에 산재한 일제시기 도시계획에 관한 기록을 종합적으로 조사하여 근대 도시계획사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둘째, 도시계획에 대한 의사결정 및 집행구조를 공문서와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기록사료 연구와 활용에 있어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다.
    셋째, 기록학적 분석 및 이론에 입각하여 기록평가론을 정립하여 기록학의 발전에 기여한다.
    넷째, 평가·선별·수집에 관한 일반적 전략을 제시하여 역사기록을 수집하여 관리하는 기관들에게 유용한 지침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조선총독부 공문서를 중심으로 현존하는 도시계획 관련 기록물 철(file) 단위에 대한 평가목록집을 발간하여 기록가치론에 입각한 평가목록집의 모형을 제시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ed.
    First, in the field of the history of the modern city planning, the study provide fundamental resources as investigating records of the city planning in Japanese imperialism period.
    Secondly, it offer new methodology in studying and applying archives through analyzing official records connected with decision making of the city planning and performing structure.
    Thirdly, as establishing appraisal theory on the base of archival analysis and theory, it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the archival science.
    Forth, it provide a useful guideline to agancies that collect historical records as presenting the general appraisal-selection-aquisition strategy.
    Finally, it propose the model of the review catalog through publishing the Government-General Review Catalog on the City Planning.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기록을 통해 도시계획이라는 정책 현상과 관련된 개인과 조직의 활동 및 이와 관련된 집단화된 기억을 정합성 있게 설명해낼 수 있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분석 대상인 ‘도시계획’이란 일본 정부와 조선총독부에 의해 입안된 조선의 도시계획 정책 입안, 계획의 집행, 그 결과와 영향 등을 포함한 총체적 현상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시계획 관련 공문서는 이러한 행위의 반영물로서 존재하게 되며, 기록학적 분석과 평가는 이들을 적절하게 이용, 해석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사업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는 물론 일본에 산재한 일제시기 도시계획에 관한 기록을 종합적으로 조사하여 근대 도시계획사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둘째, 도시계획에 대한 의사결정 및 집행구조를 공문서와 연계하여 분석함으로써 기록사료 연구와 활용에 있어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한다.
    셋째, 기록학적 분석 및 이론에 입각하여 기록평가론을 정립하여 기록학의 발전에 기여한다.
    넷째, 평가·선별·수집에 관한 일반적 전략을 제시하여 역사기록을 수집하여 관리하는 기관들에게 유용한 지침이 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조선총독부 공문서를 중심으로 현존하는 도시계획 관련 기록물 철(file) 단위에 대한 평가목록집을 발간하여 기록가치론에 입각한 평가목록집의 모형을 제시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도시계획 관련 공문서에 대한 평가 작업의 수행과정에서 평가절차, 평가기준, 평가결과의 제공 방식 등이 구체적으로 정리됨으로써, 서고에 쌓여있는 여타의 일제시기 공문서군의 평가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얻어낸 방법론을 활용하여 각각의 사료 소장기관이 소장 사료 전체에 대해 이러한 작업을 진행시킨다면 기록사료 이용의 수준이 비약적으로 발전해가리라 생각된다.
    둘째, 평가목록집의 발간은 기존의 목록류, 검색도구류의 질적 발전을 촉진한다. 평가목록집은 기록사료군의 분류, 기술, 평가내용 등을 포괄하게 되므로, 그간 기관별로 발행했던 검색도구의 한계를 명확하게 보여주게 될 것이다. 저자, 제목, 발행일 등의 간단한 기술 요소로 구성된 기존의 목록집으로는 기록사료의 구조나 가치, 맥락정보를 풍부하게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없다. 평가목록집은 사료 소장기관의 이러한 비전문적 관행의 한계를 극복하는 구체적 방향을 제시하여,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사료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기하게 될 것이다.
    셋째, 기록사료 평가론 가운데 특히 기록화 전략(documentation strategy)론은 기록사료 수집방법의 체계화에 기여한다. 서구에서 1980년대 이후 본격화된 기록화 전략론은 수집 대상 기록사료의 범주를 시간, 지역, 사건, 인물의 차원에서 설정하고, 각각의 차원에 대한 리드(leads)의 개발과 이에 따른 계획적인 수집 활동을 가능하게 해줌으로써 주먹구구식의 수집관행을 극복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 수집 기록사료의 가치 평가를 위해 기록화 전략론을 활용하겠지만, 이론서에 포함될 수집 절차론은 이러한 기대효과를 올리기에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의 결과는 조선총독부의 공문서가 지니는 난해성을 극복하게 함으로써 이들의 이용을 촉진한다. 조선총독부의 공문서는 각종 서식, 편철 질서 등의 측면에서 일반적으로 접근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연유로 그동안 학계에서 조차 조사 자료나 기본 계획서 등 비교적 그 구조를 이해하기 쉬운 것들에 한하여 이를 이용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계획 관련 공문서의 생산부서에 대한 기능, 업무과정 분석을 통해 기록사료가 당시의 행위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를 구조적으로 밝힐 계획이다. 이러한 작업은 도시조성의 기본 계획의 수준에서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집행과정에 관련된 기록사료까지도 세세하게 분석 가능하게 해줄 것이다.
  • 색인어
  • 총독부 도시계획, 일제시대 도시계획, 공문서평가, 도시계획기록, 도큐멘테이션전략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