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5925&local_id=10014870
한국현대문학 지형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실용화방안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현대문학 지형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실용화방안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수복(단국대학교& #40;천안캠퍼스& #41;)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S2036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2월 2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팀은 3년에 걸쳐 국내의 전 지역을 대상으로 문학작품 생산의 원천이 되는 공간을 탐색하였으며, 문학 작품 속의 배경을 현장화 시키고자 하였다.각 년차마다 그 대상으로 한 문학작품 생산의 원천이 되는 공간을 탐색하여 문학 작품 속의 배경을 현장화시켜, 해당 지역 작가들의 작품에 내재된 창작 근원을 찾아보고, 작품에 대한 분석과 문학 현장과의 상관관계를 공고히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각종 개발로 사라져 가는 문학공간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영구히 보존하려는 목적도 있다. 따라서 문학공간에 대한 다양한 이미지 자료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홈페이지에 간략게시 및 출판물과 CD-ROM으로 제작하여, 독자에게 문학을 보다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연결통로를 제시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문학과 문학공간의 상관성을 증명할 수 있었으며, 작가 글쓰기의 근원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서 구축된 한국 현대문학의 데이터베이스는 연구자들의 연구보조 자료, 대학생과 중고등학교의 문학교육, 일반인들의 사회교육자료로 활용될 수도 있다.
    본 연구는 국문학이 가지고 있는 '문학의 연구'분야와 문예창작학이 가지고 있는 '문학의 창작'이 연계되는 최초 학제간 연구가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기존 문학답사 같은 국문학 분야의 행사는 작가나 작품의 현장을 확인하는 것에 그친 반면에, 본 한국 현대문학 작품의 지형 연구는 창작자에게 새로운 문학 작품 생산의 모티프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움을 지닌다. 또한 연구자에게 작품 생산의 현장을 확인하고 각종 다양한 자료를 수집,정리할 기회를 제공하여 문학 연구의 실증성을 이뤄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현장 확인을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문학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문학 작품을 현장에 대입하는 연구 태도와 자료의 중요성을 재삼 인식할 수 있었다. 그럼으로써 해석과 이론에 의한 한국 현대문학사에서 실증성에 의한 문학사로 전환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고, 이러한 연계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더 다양하고 심도깊은 실증적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영문
  • We live in cultural industry era after a fast change in society. Adjusting this changes, We need to provide digital environment and spiritual environment for our culture consumers to better taste, consume, use, admit, and judge the cultural objects.
    Thus, this study explains how to deliver the method to analyze and describe the literary space analysis to literature consumers. To do this, I have systemized how to collect and describe the writer, the literature, the background in the literature and the live space etc.
    If this study is systematically excercised, it could be utilized widely as basic data for literature studies, school educational materials, substitute maerial for literature writing classes, database for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and PR material to globalization of Korean culture. And if the end outcome is transformed into various channels and distributed like print, internet homepage, CD rome, etc., it would greatly imfluence the new generation as new cultural sensibility who has grown their imaginateve power through images and computers rather than writings.
    What is important here is that the heart of literature education is exercised toward visual education materials too much, the heart of literature could get lost. because there exists a danger that people may tend to enjoy the visuals provided by fancy channels instead of reading. Thus, study on how to mix literary beauty and visual beauty in harmony is necessary before industralization of literary space. And wide and deep discussion on this matter is needed.
    A Study aims to find a way of turning the virtual space, where the korean literature works are produced, as realistic as our real life, among various ways of using the Korean literature for cultural contents. The field research of cultural contents is prerequisite to that. The goal of the field research of cultural contents by visiting sites of korean literature and conducting investigative research. the field research of cultural contents should not aim to build and store the database. Rather, a real cultural contents can be realized only when we set the direction regarding how to use them to create the new value.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putting forth the measures to create the virtual reality by establishing the cultural space on the websit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팀은 3년에 걸쳐 국내의 전 지역을 대상으로 문학작품 생산의 원천이 되는 공간을 탐색하였으며, 문학 작품 속의 배경을 현장화 시키고자 노력하였다. 문학공간에 대한 다양한 이미지 자료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홈페이지에 간략게시 및 출판물과 CD-ROM으로 제작하여, 독자에게 문학을 보다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연결통로를 제시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문학과 문학공간의 상관성을 증명할 수 있었으며, 작가 글쓰기의 근원을 찾을 수 있었다. 3년으로 나누어 진행된 본 연구는 각 년차마다 대상이 된 문학작품의 공간성을 분석하고, 실질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1차년도 연구대상지역은 서울-충청권역, 2차년도 연구대상지역은 강원-경상권역, 3차년도 연구대상지역은 전라-제주권역을 대상으로, 문학작품 생산의 원천이 되는 공간을 탐색하여 문학 작품 속의 배경을 현장화시켜, 해당 지역 작가들의 작품에 내재된 창작 근원을 찾아보고, 작품에 대한 분석과 문학 현장과의 상관관계를 공고히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각종 개발로 사라져 가는 문학공간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영구히 보존하려는 목적도 있다. 이를 통해서 구축된 한국 현대문학의 데이터베이스는 연구자들의 연구보조 자료, 대학생과 중고등학교의 문학교육, 일반인들의 사회교육자료로 활용될 수도 있다.
    본 연구의 대상 지역에 대한 문학공간답사 활동에는 단국대학교 사회교육원 시창작반과 소설창작반 수강생들이 함께 참여했는데, 이들은 본 연구 활동에 대해 매우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결과물을 사회교육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검토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아동독서지도 및 글쓰기지도반 수강생들에게까지 확대하고, 이외의 각 지역 사회교육단체로까지 확산하여 그 가능성을 다시 한 번 검증하였다. 나아가 각 지역 고등학교의 문예반 지도교사 및 학생들에게도 본 연구 활동을 홍보하여 대중적 관심이 유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팀이 소속되어 있는 문예창작전공에서 매년 실시하고 있는 <전국 고교생 문예백일장>,<교단문예상> 등의 행사에 연구 인력이 적극적으로 가담하여 연구 성과를 홍보해 왔다. 행사 중 세미나 형식의 강의를 진행하기도 하였으며, 이를 통해 문학에 관심을 두고 있는 고등학생들의 문학수업에 도움이 될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연구결과와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문학의 연구 및 창작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한다. 작가의 의식체험에서 나온 기억의 공간은 정태적이고 즉물적인 공간이 아니다. 그것은 인간 삶의 근원을 거느린 공간으로, 자연과 결합하여 문학작품을 통해 이미지화하는 거대한 저장고이다. 그곳에서 인간이 살아가는 얘기가 발효되고, 삶의 양태와 형상이 구현된다. 문학이 인간 존재의 근원에 대한 육성이라 한다면 문학공간은 삶의 현상학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성과는 문학교육 현장을 통해 검증되고 있으며, 보다 많은 검증을 통해서 보편적인 교육방법론이 확립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결과물은 이미 연구자의 연구보조자료, 문학교육 교재 등으로 활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문학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확대시키는 데 일정 부분 기여했다. 또한 연구결과물 중 일부는 국어국문학 및 문예창작과의 강의 현장에서 교육 자료로 활용되기도 했다. 이러한 활동들을 통하여 본 연구의 성과물은 학교의 현장교육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었다. 그러나 앞으로 보다 많은 검증작업을 통해서 더욱 체계적인 문학교육 이론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의 지속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셋째, 우리 국토 전체를 아우르는 <한국 현대문학지형도>를 전 세계로 확대하여 한민족문학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문예미학적 측면과 문학의 역동성과 현장성을 잘 조화시켜, 연구결과를 확대심화시키고, 앞으로의 연구를 진행한다면, 해외 거주 한인들의 문학공간까지 아우르는 범세계적 한민족문학네트워크가 구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서 새로운 학문적 동기가 만들어지고, 그동안 학문적으로 소외받았던 문예창작학 연구의 전기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문학에 대한 국내외의 관심을 더욱 고조시킬 뿐만 아니라, 각종 문학 및 문화콘텐츠 개발과 같이 한국문학 전체의 패러다임을 새롭게 구성할 수 있게 되리라고 확신한다. 아울러 세계적인 규모의 문학공간에 대해 데이터베이스가 완성되면 자연히 폭넓은 문학예술에 대한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게 되고 이를 문화산업에 활용한다면 후속연구세력을 육성하여 활용할 수 있는 등의 고용창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한류의 내실을 다지고 한국 문화에 대한 세계의 학문적 관심을 고조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한국문화기술연구소, 한국문학공간연구팀, 현대문학지형 데이터베이스, 현장화/실용화 방안, 현대문학, 문학콘텐츠, 문학관과 문화산업, 인문사회학, 공간과 장소, 문학답사, 문학기행, 문학공간의 분석방법론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