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5934&local_id=10011330
문집소재 조선후기 민요자료 정리 및 분류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문집소재 조선후기 민요자료 정리 및 분류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최재남(경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S3016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2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첫째 조선 후기 구연 현장의 자료를 포함하여 각종 문헌에 수록된 자료를 수집․정리하는 것이고, 둘째 수집․정리된 자료를 바탕으로 민요의 분류 체계와 분류 방법을 연행 상황과 관련하여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출발하였다.
    1년간(2004.9.1-2005.8.31)의 연구수행을 통하여 영인본으로 간행된 문집 자료를 포함하여 국립도서관, 서울대 규장각 등의 자료를 검토하고 민요 자료를 수집․정리한 결과 총 576제 965각편의 민요자료를 정리하였고 민요연행 관련자료 15제 16각편 및 참고자료로 130제 333편을 확보하였다. 이 자료의 성격은 첫째, 민요 자료, 둘째, 민요 관련 자료, 셋째, 참고 자료 등으로 대별할 수 있고, 분류 체계는 크게 농가(農歌), 초가(樵歌), 어가(漁歌)를 기본 축으로 하면서 ① 농가(農歌), ② 초가(樵歌), ③ 어가(漁歌), ④ 기타 등으로 설정하였다. 농가는 보리베기 노래를 비롯하여 22 항목으로, 초가는 풀베기 노래를 비롯하여 12항목으로, 어가는 고기잡는 노래를 비롯하여 7항목으로 각각 나누었다.
    분류체계에 따라 정리한 결과 농가는 22항목에 324제 452각편, 초가는 12 항목에 144제 231각편, 어가는 8 항목에 39제 59각편이며, 기타는 39항목에 69제 223각편의 민요를 정리하였다. 민요 연행과 관련되는 자료 15제 16각편과 민요의 특질을 파악할 수 있는 참고 자료로 130제 333각편을 추가로 확인하였다.
    체계에 따른 분류와 수집․정리한 민요 자료는 첨부 화일로 수록한다.
  • 영문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gather the folk song in late Chosun Dynasty and to classify this materials.
    We scrutinize the collections of essays in Kuglip Library and Kyujanggak etc during 1 year(2004.9.1-2005.8.31). As results, we consolidate 576 works 965 versions. We classify folk song materials three category as Nongga(農歌; farmer's song), Choga(樵歌; woodman's song), Eoga((漁歌;fisherman's song). And we authenticate concrete materials connecting with folk song performance. We regulate 324 works 452 versions in Nongga, 144 works 231 versions in Choga, 39 works 59 versions in Eoga, and Others 69 works 223 versions. To add to this we get up 130 works 333 versions connecting with performance and conference.
    We append folk song materials herewith.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첫째 조선 후기 구연 현장의 자료를 포함하여 각종 문헌에 수록된 자료를 수집․정리하는 것이고, 둘째 수집․정리된 자료를 바탕으로 민요의 분류 체계와 분류 방법을 연행 상황과 관련하여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출발하였다.
    1년간(2004.9.1-2005.8.31) 본 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영인본으로 간행된 한국문집총간 340책, 한국문집총서 3,000책 등의 문집 자료를 포함하여 국립도서관 소장의 6,404종, 서울대 규장각의 256종, 경상대 문천각의 526종 등에 소장된 문집을 검토하여 민요 자료를 수집․정리한 결과 총 576제 965각편의 민요자료를 포함하여, 민요의 연행과 관련한 자료 15제 16수와 참고자료 130제 333편을 확보하였다. 이 자료의 성격은 ① 민요 자료, ② 민요 관련 자료, ③ 참고 자료 등으로 대별할 수 있고, 수집, 정리된 자료를 바탕으로 민요의 분류 체계를 크게 농가, 초가, 어가를 기본으로 ① 농가, ② 초가, ③ 어가, ④ 기타 등으로 설정하였다. 농가는 보리베기 노래를 비롯하여 22항목 324제 452각편으로, 초가는 풀베기 노래를 비롯하여 12항목 144제 231각편으로, 어가는 고기잡는 노래를 비롯하여 8항목 39제 59각편으로 나누었다. 기타 민요는 39항목 69제 223각편이며, 민요연행과 관련된 자료 15제 16각편, 참고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는 130제 333각편이다.
    분류 체계에 따른 분류와 수집․정리한 민요 자료는 첨부 화일로 수록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 결과 수집.정리한 민요 자료는 모두 576제 965 각편인데, 이를 크게 (1) 농가, (2) 초가, (3) 어가로 나누어 분류하고 각각 하위 범주를 설정하여 다시 세분하였으며, 각각의 분류 기준에 따라 번호를 부여하고 자료를 입력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리.확보한 조선후기 민요자료는 지금까지 온전한 실상을 확인할 수 없었던 사정을 고려하면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니는 것이다. 첫째, 조선후기 민요의 실상과 민요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고, 공시적, 통시적 측면에서 그 변화를 확인하면 민요 연구의 획기적 진전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구체적 자료의 지역적 기반까지 설명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한 셈이다. 둘째, 민요의 분류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도출할 수 있는 토대를 확보했다고 할 수 있다. 크게 농가, 초가, 어가로 인식하고 있으면서 개별 항목이나 지역적 특성에 따른 선율의 변별까지 설명할 수 있는 자료를 확보한 셈이다. 셋째, 개별 민요의 공시적, 통시적 특성을 해명함으로써 각 지역의 민요가 가지는 특성과 다른 문학 갈래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도 획기적으로 진전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앞으로 이미 확보한 조선후기 민요 자료를 원래의 형태로 복원하여 구체적 연행 현장을 재구해야 하는 과제가 다시 제기되었다고 할 수 있다.
  • 색인어
  • 민요, 농가, 초가, 어가, 분류 체계, 참고자료 , 각편, 연행, 지역 민요, <산유화>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