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5958&local_id=10012881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활성화에 대한 연구: 일본과 중국에 있어서의 한국대중문화의 파급과 그 영향을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활성화에 대한 연구: 일본과 중국에 있어서의 한국대중문화의 파급과 그 영향을 중심으로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정혜경(세종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S3044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2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일본과 중국에 있어서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활성화 방안을 모색한 것으로, 한국대중문화의 파급을 수용자 입장에서 살펴보고 양국의 학습자에게 끼친 영향을 총체적으로 조사하여, 보다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과 한국어 학습자의 확대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본 연구는 총 8장으로 구성되어있다. 제I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를 본격적으로 들어가기 전에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선행연구의 성과 및 한계, 연구 의의 등에 대해 논했다. 제II장과 제III장은 신문과 잡지, 인터넷으로부터 수집된 언론기사 분석에 의해 국가 간의 정치적 관계에 의한 일반적인 흐름을 집어보고 한국대중문화의 붐과 한국어 붐의 관계성을 표면적으로 살펴보았다. 제IV장과 제V장에서 설문분석에 의해 일본과 중국에서 한국어 학습과 한국대중문화의 관계를 내부적으로 살펴본 것으로, 한국대중문화가 한국 및 한국어에 대한 관심도・이해도・인지도 등에 얼마만큼 영향을 주었으며, 한국어교육과 는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는지 양국에 있어서 한국어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문제점과 대안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일본과 중국에서 각각 대학생200명과 일반인200명씩을 <예비학습자>와 <기본학습자>로 대별하여, 한국어 학습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항목으로 선정하여 한국대중문화에 대한 (1)관심도, (2)이해도, (3)인지도, (4)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 학습 관계, (5)한국어 학습 난이도, (6) 한국어 학습만족도를 중심으로 조사 분석했다. 제VI장과 제VII장에서는 일본과 중국의 현지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 분석과 한류 붐의 분석에 의해 알게 된 구체적 자료를 한국어 교재에 접목・제시하였다. 제VIII장은 결론으로 본 연구결과에서 얻은 전반적인 사항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최종적으로 결론을 도출하고, 금후의 과제를 포함하여 장래 한국어 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제안・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일본과 중국인에게 친숙한 영상매체인 한국 드라마와 영화를 통해 한국어 학습에 있어 언어사용의 현장성을 보여주고 경험하게 하여, 언어에 대한 이해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실용적으로 할 수 있도록 그 실천적인 방안을 마련한 것으로서, 국외의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생각된다.
  • 영문
  • This studies investigate effect that examine far-reaching of Korean popular culture in consumer standpoint by thing about Korean education activation plan for Korean learner as second foreign language in Japan and China and get to learner of two countries as general, grope more efficient Korean education and Korean learner extension plan.
    This studies are consisted of total chapter 8.
    The first chapter , an introduction, as before step to grope diversified activation plan of Korean education as second foreign language, argued about study purpose, method of study, result of the preceding study and limit, study  etc.
    Analyzes the second and third chapter is newspaper and magazine, press news collected from Internet and that examined relation boom of Korean popular culture and the korean language, from a general current of political relation between the countries.
    That examine effect relation about Japan and China each single person's Korean popular culture and Korean studying as a inner part by question analysis in the fourth and fifth chapter, Korean popular culture interest about Korea and the Korean language influenced how much which interest・ understanding ・ awareness etc. and searched problem, altenertive plan for activation of Korean education in Japan whether relation with Korean education.
    Classify 200 persons university students and 200 persons ordinary peoples by <preparation learner> and <basic learner> each in Japan and China, research and analysis when choose to item involved directly to Korean learning with (1) interest, (2) understanding, (3) awareness, (4) Korea popular culture and on Korean studying relation, (5) Korean studying degree of difficulty, (6) Korean studying satisfaction of the korean popular culture.
    In the sixth chapter and the seventh chapter , at primary grade step ,in that investigate about Korean teaching material analysis and grafting method, presented grafting plan of Korean teaching material that apply Korean popular culture based on specific data that is grasped general view of Korean teaching material that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Korean studying, and knows by the fourth chapter course the fifth chapter's question analysis.
    The eighth chapter, conclude finally arranging general item getting from two study finding to conclusion synthetically, and Korean teaching in which proposal ・ presentation for direction to go forward including the future in addition subject.
    Cultural education that study is one of actuality problem in Korean education as that ready the practice plan so that can understand applicatively for comprehension about language and culture is shown Japan and a Chinese present growth of language use through Korean drama and movie that is familiar image medium and experiences, is thought that will play an important part in external Korean learner's Korean educ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일본과 중국에 있어서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한 것으로, 한국대중문화의 파급을 일본과 중국의 수용자 입장에서 살펴보고 한국대중문화가 양국의 한국어 학습자에게 끼친 영향을 총체적으로 조사하여, 보다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과 한국어 학습자의 확대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이는 최근 세계각지에서 크게 일고있는 한국대중문화가 일본과 중국에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한국대중문화를 한국어 교육과 연계시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활성화에 기여 하고자 했다.
    일본과 중국의 한국대중문화 붐은 일본과 중국에 급격한 한국어 학습자의 증가를 가져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국어 학습자의 증가에 주목하고, 한국어 교육을 한국대중문화 붐과 연관시켜 한국어가 세계 각국의 주요 외국어로서 부상하기 위해 종합적이고 다각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본과 중국의 한국대중문화의 파급과 그 영향을 수용자 중심에서 파악해야 한다는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그리하여 현지 언론기사의 분석, 설문조사, 국내의 한국어 교재와 일본 및 중국 현지에서의 한국어 교재의 현황파악이라는 대규모의 조사를 행하고, 그 위에 한국대중문화를 응용한 한국어교재 방안을 제안한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일본과 중국에 있어서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한 것으로, 한국대중문화의 파급을 수용자 입장에서 살펴보고 양국의 학습자에게 기친 영향을 총체적으로 조사하여, 보다 효율적인 한국어 교육과 한국어 학습자의 확대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본 연구는 총 8장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I장 서론:제 2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다각적인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전단계로서 연구 목적, 연구 방법, 선행연구의 성과 및 한계, 연구 의의 등에 대해 논했다.
    제2장과 제3장:일본과 중국 현지의 언론기사를 분석하여 한국대중문화의 붐과 한국어 붐의 관계성을 표면적으로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한국대중문화는 한국에 대한 긍정적 관심과 이해를 갖게 했고, 이러한 한국에 긍정적인 관심과 이해를 활용하여, 이를 한국어 교육과 연관시켜 한국어 활성화에 응용하여 한국어 세계화 정책에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점에 관하여 논하였다.
    제4장과 제5장: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통하여 일본과 중국의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 학습에 대한 영향관계를 살펴보았으며, 한국대중문화가 한국 및 한국어에 대한 관심도, 이해도, 인지도 등에 얼마만큼 영향을 주었으며, 한국어교육과 어떠한 관계를 갖고 있는지 조사 분석하여, 일본과 중국에서 한국어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문제점과 대안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로서 한국대중문화는 한국을 알리고 이해하는데 긍정적 역할을 했으며, 한국어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며 한국어습득 욕구를 자극할 수 있는 요인이 되고, 나아가 한국어학습에 효과를 더해주는 궁극적 자료가 될 수 있다고 분석되었다.
    제6장과 제7장:
    본 장에서는 일본, 중국, 한국에서 출판된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고, 한국대중문화를 한국어교재와 접목하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일본 현지에 적합한 한국어 교육 방안으로서, 언어의 4기능과 문화 학습이 서로 유기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1권으로 된 통합교재>를 제안했다.
    중국어권에서는 한국대중문화를 응용한 한국어교재는 기본적으로 ‘한국문화’와 ‘단계별 한국어능력배양’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고려하면서, 중점적으로 한국어능력배양에 비중을 두는 초급단계, 중급단계, 고급단계의 교재와 ‘한국문화’를 이해하는데 비중을 갖는 시청각교재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제8장 결론:본 연구결과에서 얻은 전반적인 사항에 대해 얻어진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최종적으로 결론을 도출하고, 금후의 과제를 포함하여 장래 한국어 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제안,언급하였다.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언어기능과 문화 학습을 동반하지 않으면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의사소통을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과 중국 등 현지에서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사용하기에 적절한 교재가 거의 없어, 한국어 학습에 있어 불만사항으로 작용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실을 직시하고, 문화교육을 일본과 중국인에게 친숙한 영상매체인 한국 드라마와 영화를 통해 언어사용의 현장성을 보여주고 경험하게 하여, 언어에 대한 이해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실용적으로 할 수 있도록 그 실천적인 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일본과 중국에서 한국어 학습자 증가와 관련되는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하는 데 있어 한국대중문화와 한국어 교육과의 접목을 시도하였고, 본 연구가 목적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 하였다고 본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어의 보급에 중요한 방향역할을 할 것이며, 한국어교재와 한국대중문화를 접목시키는 새로운 교재 편성 전략으로 한국어를 흥미롭고 쉽게 학습할 수 있게 하여 학습자 증가를 가져올 것이다. 기존의 한국어교육과 한국어교재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수용자측이 한국어와 한국어 이해 배경이 되는 한국의 각 방면에 대하여 알 수 있게 할 것이다. 이로써 한국문화를 널리 보급하고 한국어교육을 활성화 시키며 일본과 중국의 한국어보급에 커다란 몫을 차지 할 것이며, 더 나아가 한국어의 세계화를 위한 전략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한국어 세계화, 국외에서의 한국어 교육, 한국대중문화, 한국어교육 활성화, 한국어교재, 한국문화교육, 한국어능력배양언어의 4기능과 문화를 포함한 통합교육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