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5969&local_id=10012692
서울 '강남'의 데이타베이스 구축과 지역 특성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서울 & #39;강남& #39;의 데이타베이스 구축과 지역 특성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영민(이화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S2074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2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서울 강남지역에 대하여 지리학적 지역연구 방법을 통해 지역 데이타베이스를 구축하고 지역 특성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지리학적 지역 특성은 크게 3개의 주제, 즉 주거지와 생활공간, 경제공간, 소비문화공간으로 나누어 각종 통계자료와 질적 연구 자료들을 분석하고 현지답사를 실시하여 밝히고 있다. 또한 강남 도시개발의 역사를 지리적인 관점에서 조명해보았고 외부적 범주화 과정으로서의 강남 지역정체성을 미디어분석을 통해 추적해보고 있다. 우선 주거공간으로서의 강남의 특성은 경제적 계층간의 선택적 인구이동의 결과 경제적 차별성이 심화되고 있다는 점과 거주공간 상에 펼쳐진 집합적 소비재에 있어서도 비강남지역과의 차이가 매우 두드러지게 형성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교육문제와 관련하여 점점 심화되고 있는 강남의 사교육 부문은 높은 명문대 진학률로 이어지고, 결국 경제적 부의 세습으로 고착화되는 사회병폐적 현상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경제공간적 특성에 있어서 강남은 전통적인 소비자 서비스 산업의 중심지였으나, 80년대 중반 이후에는 생산자서비스, 사업서비스 산업이 크게 융성하게 되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또한 후기산업사회의 첨단 IT산업이 강남 내의 여러 지역에 입지하면서 한국경제의 도약을 선도하고 있다는 점도 중요한 지역특성이 되고 있다. 소비문화와 문화경관의 분석 작업을 통해서는 강남지역의 소비문화가 강남 거주인들만에 의해서 향유되는 것이 아니며, 서울시민 전체, 더 넓게는 한국사회 전체를 아우르는 중심성을 갖게 되었다는 점이 밝혀졌다. 아울러 다른 한편으로 강남지역의 소비문화는 다른 지역에 비해 비싼 주거지구를 기반으로 하여 정착되었기 때문에 강남 거주자들에 의한 폐쇠적인 문화 향유의 공간들도 발전되어 왔다. 이 때문에 소비중심지라는 공공성과 주거라는 사적 소유 간에 긴장이 발생하며, 따라서 강남지역의 소비문화가 중심성과 배타성을 동시에 가질 수밖에 없는 이유가 되고 있는 것이다. 큰 스케일에서 보았을 때, 강남지역은 외래문화가 한국사회에 착근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일종의 인큐베이터였고, 따라서 다양한 이데올로기가 반영된 지역담론들이 경합을 벌이게 된 것이다. 강남은 같아지려고 하고 또 달라지려고 하는 욕망이 충돌하면서 파생되는 한국사회의 독특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region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development of database about the 'Kangnam' district in Seoul, Korea, which has been continuously paid attention to by the whole Korean society. Largely three subjects were parted into geographical analysis on regional statistical and qualitative data: 1) residential structure and amenity spaces, 2) economic spaces, and 3) culture of consumption and its spaces. The data analysis is acompanied by fieldwork research and media analysis. Furthermore, the history of urban development on the Kangnam area was traced through geographical viewpoin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Kangnam as residential space can be summarized into the deepening differentiation of income between the Kangnam and the other regions of Korea. The same is happening in the aspect of amenity facilities between two regions. Especially, the difference of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is more deepening between two, is linked to the high ratio of entrance to the prestigious colleges, and thus economic social power of Kangnam people tends to be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is kind of economic polarization and socio-spatial differentiation between Kangnam and the other can be regarded as the process of post-industrial and globalization society, and the Kangnam district can be viewed as an urban space regenerated into the visible form where various sorts of socio-spatial problems of the whole society of Korea have been condensed. In the aspect of economic space, Kangnam has seen the development of consumer service industry since 1970s, but nowadays the industries of business service and producer service are burgeoning along with IT industry. Consumer culture and its relevant cultural landscapes of Kangnam are enjoyed not only by the people residing in Kangnam, but also by the people of Seoul metropolitan area and of larger Korean society, which can be depicted as the most central place of consumer culture of the whole Korea. Also Kangnam has witnessed the development of some cultural spaces which are not allowed accessibility by outsiders. This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fact that Kangnam has been the residential place for the power people beyond middle classes. Thus the conflct and tension have been raised between privateness for the resident inside and publicity for all people inside and outside. In sum, Kangnam could be thought as a kind of incubator through which the foreign culture should pass in order to diffused widely into Korean market. In the middle of such change, various regional discourses on Kangnam have been dispersed and contested. In other words, Kangnam is summarized as a peculiar region derived in the course of conflict between two desires toward sameness and differentia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지리학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주거지로서의 강남, 경제공간으로서의 강남, 소비문화경관으로서의 강남이 가지는 지역특성을 규명하고 있다. 한국사회에서 가장 이질적인 공간, 그래서 세인들의 주목을 가장 많이 받아온 공간이라고 할 수 있는 서울 강남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학술 연구가 그리 많지 않은 상황에서 이 연구는 강남지역의 특성을 종합적이고 심도있게 밝혀보았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언론을 통해 유포되었던 여러 강남지역 담론들은 다분히 도발적인 은유적 용어를 통한 질시의 내용들이 주류를 이루었고 따라서 강남지역에 실재하는 "강남스러움"의 정체를 파악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강남은 한국의 파워엘리트가 집중거주하여 교육을 통한 학력 및 권력의 세습이 이루어지고 있는 빗장도시적 성격을 지니고 있고, 후기산업사회의 핵심 산업인 사업서비스, 생산자서비스 및 첨단 IT산업이 입지하고 있어 한국의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생산공간이기도 하다. 또한 고소득층 주거지를 배경으로 하는 고급소비문화가 한편으로는 폐쇄적인 향유 행태로 비난을 받기도 하였지만 결국 한국사회로의 외래문화 전파의 인큐베이터 역할을 수행하여 왔다. 이러한 사실은 결국 서울 강남지역의 위상이 결코 내부의 거주자들만을 위한 폐쇄적인 공간이 아니라, 서울과 수도권, 더 크게는 한국사회 전체를 배후지로 삼는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웅변해 주고 있는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는 지역 형성과 지역 인식의 형성 과정을 밝히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과 지역성 연구를 위한 활용 방법을 제시해 주는 하나으 ㅣ모델로서 학문적 가치를 지니게 될 것이다. 지역연구에 대해서는 매우 다양한 학문분야가 참여하여 저마다의 장점을 주장하고 있지만, 특정 지역의 다양한 이슈와 주제들을 총합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 지리학적 지역연구의 방법과 결과물은 매우 가치롭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산출된 결과물들은 편집과 보완, 수정작업을 거쳐 단행본 서적으로 출간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또한 이 연구에서 밝혀놓은 강남지역 변화의 긍정적, 부정적 결과들을 객관적으로 활용하게 된다면, 후기산업사회로의 진전에 가속화되면서 조만간 겪게 될 우리 사회 전반의 사회-공간적 변화를 예측해보고, 동시에 지역 발전 정책을 수립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선 중고등학교에서의 사회과교육, 혹은 지리교육에서의 활용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물을 초, 중등교육의 목표에 맞게 적절하게 재구성한다면 초, 중등학교의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로서 활용되기에도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 색인어
  • 강남, 주거지 분리, 인구이동, 사회경제적 장벽, 빗장도시, 사회기반시설, 교육환경, 사업서비스, 생산자서비스, 도시재구조화, 지식기반산업, 소비문화, 문화경관, 구별짓기, 지역정체성, 담론 분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