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5978&local_id=10011337
일제하 제주지역의 기업가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일제하 제주지역의 기업가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희철(제주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S2033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2월 2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과제는 지금까지 역사 속에서 소외되어 왔고 차별되어져 온 경영인들의 삶을 올바로 자리매김 하고자 하는 작업이다. 제주기업인들이 살아온 삶의 역사를 통해 오늘날 제주경영인의 현실을 제대로 이해함으로써 전통과 현대가 연결되는 제주의 기업가상을 객관적으로 확보하고 나아가 제주기업인이 지향해야 할 미래상을 전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비추어 보았을 때 박종실, 강성익, 황순하는 누구보다도 근대적인 기업가이며 사회사업가로서 타의 모범의 될만한 역사적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과제에 대한 요약을 간단하게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민지기 제주경제는 많은 경제적 변동을 경험하였고 이 과정에서 일정 규모 이상의 경제적 성과를 거두었다. 이 계기가 된 것은 교통의 발달과 해녀경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1930년대 제주도 사회의 자본증가 및 축적 현상은 제주도 법인회사의 설립을 촉진시켰고 아울러 제주도민의 구매력 향상과 소비행태 변화, 시장거래의 증가와 같은 요소들로 인하여 성장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증가한 제주도 법인회사들은 당시 소비증가, 소비행태 변화에 영향을 받은 이입대체품 생산, 판매나 현금화에 용이한 상품경제화 품목, 마지막으로 일제의 전쟁수행에 부합되는 군수물자 생산 등에 주력하며 기업 활동을 활발히 펴 나갔던 것이다.
    둘째, 근대제주의 기업가 남주 강성익의 활동의 폭은 넓고 다양하다. 다양하고 역동적인 강성익의 삶 중에서도 특히 이 글에서 강조하고 싶은 부분은 열악한 경제적 조건과 일제에 의해 정치적 권력이 침탈된 상황에서도 그가 보여준 역동적 기업가활동에 관한 것이다. 강성익이 보여준 경영활동과 사회공헌은 당시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기업가로서, 교육자로서 제주의 근대화를 꿈꾸었던 제주기업가로 오래 기억에 남을 만 하다. 오늘날 우리가 강성익을 연구하고 그가 남긴 메시지를 학문적으로 되새겨보는 것은 모든 제주도민이 공감하고 수긍할 수 있는 ‘제주의 어른’을 갈망하는데 그 이유가 숨어있다.
    셋째, 일제시기 제주경제는 많은 경제적 변동을 경험한 가운데 황순하에 의해 설립되었던 회사자본은 일인자본(日人資本)에 비해 자본 경쟁력이 열위에 있었다고 하지만 그 성격이 매우 독립적이고 자율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황순하는 제주도 특산물을 가공 판매하는 해조류와 소주 제조업 분야를 중심으로 활동하였고 제주의 교육발전에 공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박종실은 소규모 소매상점에서 시작하여 훗날 종합무역상사의 효시이자 민족자본의 태동으로 일컬어질 만한 종합해운상사까지 경영한 기업가사적 연구가치가 많은 기업인이다. 특히 박종실은 교역을 통하여 일본인으로부터 피해를 막고 국가에 공헌하겠다는 다짐으로 많은 지역경영활동에 참여를 하였고 제주지역 발전을 위해 많은 열의를 보였다. 또한 기업경영 활동을 통한 이익을 부의 축적에 그치지 않고 도립도서관 기증, 경로당 건립, 육영사업 등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모범적인 기업가의 표상이 되었다. .이처럼 박종실은 신용과 근검, 절약으로 자본을 축적해 나갔으며 애국정신과 신용제일주의를 근본적인 경영정신으로 삼고 기업윤리를 실천적 행동으로 옮긴 기업가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일제식민지기 제주도에 본점을 둔 공장 및 회사 설립을 대상으로 기업가활동을 분석함으로써 제주자본의 성격과 특질을 해명하고자 한 것이다. 일본 식민지기 제주도에 설립되었던 공장 및 회사의 자본은 일인자본(日人資本)에 비해 자본 경쟁력이 열위에 있었다고 하지만 그 성격이 매우 독립적이고 자율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그 당시 제주경제는 많은 경제적 변동을 경험하였고 그 과정에서 제주도민에 의해 일정 규모 이상의 경제적 성과를 경험하였다는 사실을 반증하고 있다.
  • 영문
  •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capital in Jeju based on corporation companies whose main branches were in Jeju during colonial period. As a first step toward this topic, we investigate the changes of Jeju economy in the same period since the Jeju economy of that period is known to affect exogenously the establishment and growth of corporation companies of Jeju in that period.
    The economy of Jeju in colonial period experiences many changes and shows the substantial economic performance.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labor of hanyeo motivates to boost up the Jeju economy in that period, especially the latter greatly helps to take off the Jeju economy. The direct line of Japan and Jeju constructed in 1922, and the increase of Jeju's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1930 play a great role in establishing a solid foundation of Jeju economy in colonial period. These factors result in the increase of money demand and savings leading to the capital accumulation. The increase and accumulation of capital in Jeju, in turn, facilitate the advent of several corporation companies. This also positively affects the production and sales through enhanced purchasing power of residents, consumption pattern change, increase of market trades.
    Those companies increased in number at that period actively produce the goods such as items easily sold and cashed, and war supplies. Among the various features on the growth strategy of those companies, the most noticeable one is the variety of goods. According to our study, it is considered that the corporation companies of Jeju in the colonial period intensify their production activities through the two major pivots, the advance of commodity economy and self-sustenance, in addition to the supply of war materials to the Japanese empire. It is also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 of those firms' capital, due to their strategy, is very self-reliable and can hold the dominant position over that in Japanese firms in competitiveness.

    This article addresses the entrepreneurial activities of Kang Sung-Ik and Hwang Soon-Ha, who was two of the most well-known modern business man and contributed toward the Jejudo transportation and brewing industry, and the modern economy formation of Jejudo by means of the local capital rather than the non-Jeju capital.
    Kang Sung-Ik and Hwang Soon-Ha economic activities for over 50 years was a important research data for Jeju's modern enterprises as well as its entrepreneurs. That company became a important driving force to economic growth of Jejudo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influenced on another modern company of Jejudo and its expansion. And Jejudo entrepreneur accumulated his wealth by modern company, and then he contributed his money to local community and showed ethical business of social-oriented or community-based entrepreneurship by oneself.
    In recent years, entrepreneur's ethic and their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become decreased gradually in Korean. And many entrepreneur have been the object of critical censure among common people, because of real estate speculation by non-normal way within liberal market economy system. In this condition, Park Jong-Sil's economic activities and spirits and academic studies about that will suggest some meaningful points to contemporary entrepreneu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과제는 지금까지 역사 속에서 소외되어 왔고 차별되어져 온 경영인들의 삶을 올바로 자리매김 하고자 하는 작업이다. 제주기업인들이 살아온 삶의 역사를 통해 오늘날 제주경영인의 현실을 제대로 이해함으로써 전통과 현대가 연결되는 제주의 기업가상을 객관적으로 확보하고 나아가 제주기업인이 지향해야 할 미래상을 전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인식에 비추어 보았을 때 박종실, 강성익, 황순하는 누구보다도 근대적인 기업가이며 사회사업가로서 타의 모범의 될만한 역사적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과제에 대한 주제별 초록내용을 중심으로 간단하게 서술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제2장 : 식민지기 제주경제는 많은 경제적 변동을 경험하였고 이 과정에서 일정 규모 이상의 경제적 성과를 거두었다. 이 계기가 된 것은 교통의 발달과 해녀경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1930년대 제주도 사회의 자본증가 및 축적 현상은 제주도 법인회사의 설립을 촉진시켰고 아울러 제주도민의 구매력 향상과 소비행태 변화, 시장거래의 증가와 같은 요소들로 인하여 성장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증가한 제주도 법인회사들은 당시 소비증가, 소비행태 변화에 영향을 받은 이입대체품 생산, 판매나 현금화에 용이한 상품경제화 품목, 마지막으로 일제의 전쟁수행에 부합되는 군수물자 생산 등에 주력하며 기업 활동을 활발히 펴 나갔던 것이다.
    제3장 : 제주도 기업가의 사회적 배경을 고찰하기 위해 제주도 기업가의 출신․동기․학력을 분석, 제주도 기업가 패턴 분석을 통하여 제주도 기업가 탄생의 사회적 배경을 분석하고자 하였다.이 연구에서 이용한 자료는 제주문화원에서 간행된 김찬흡의『20세기 제주인명사전』(2000)에 포함된 기업가와 岡田寅喜편 『조선실업신용대감』(1931) 에 게재된 29명의 기업가 등이다. 이 외에도 『조선총독부관보 : 제주록』에 수록되어 있는 인물 중에서 기업가의 출신, 동기, 학력이 불분명한 기업가는 성씨별 족보자료를 이용하여 본 장의 목적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제4장 : 근대제주의 기업가 남주 강성익의 활동의 폭은 넓고 다양하다. 다양하고 역동적인 강성익의 삶 중에서도 특히 이 글에서 강조하고 싶은 부분은 열악한 경제적 조건과 일제에 의해 정치적 권력이 침탈된 상황에서도 그가 보여준 역동적 기업가활동에 관한 것이다. 강성익이 보여준 경영활동과 사회공헌은 당시뿐만 아니라 현재에도 기업가로서, 교육자로서 제주의 근대화를 꿈꾸었던 제주기업가로 오래 기억에 남을 만 하다. 오늘날 우리가 강성익을 연구하고 그가 남긴 메시지를 학문적으로 되새겨보는 것은 모든 제주도민이 공감하고 수긍할 수 있는 ‘제주의 어른’을 갈망하는데 그 이유가 숨어있다.
    제5장 : 일제시기 제주경제는 많은 경제적 변동을 경험한 가운데 황순하에 의해 설립되었던 회사자본은 일인자본(日人資本)에 비해 자본 경쟁력이 열위에 있었다고 하지만 그 성격이 매우 독립적이고 자율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황순하는 제주도 특산물을 가공 판매하는 해조류와 소주 제조업 분야를 중심으로 활동하였고 제주의 교육발전에 공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제6장 : 박종실은 소규모 소매상점에서 시작하여 훗날 종합무역상사의 효시이자 민족자본의 태동으로 일컬어질 만한 종합해운상사까지 경영한 기업가사적 연구가치가 많은 기업인이다. 특히 박종실은 교역을 통하여 일본인으로부터 피해를 막고 국가에 공헌하겠다는 다짐으로 많은 지역경영활동에 참여를 하였고 제주지역 발전을 위해 많은 열의를 보였다. 또한 기업경영 활동을 통한 이익을 부의 축적에 그치지 않고 도립도서관 기증, 경로당 건립, 육영사업 등 지역사회에 환원하는 모범적인 기업가의 표상이 되었다. .이처럼 박종실은 신용과 근검, 절약으로 자본을 축적해 나갔으며 애국정신과 신용제일주의를 근본적인 경영정신으로 삼고 기업윤리를 실천적 행동으로 옮긴 기업가였다.
    제7장 : 이 연구는 일제식민지기 제주도에 본점을 둔 공장 및 회사 설립을 대상으로 기업가활동을 분석함으로써 제주자본의 성격과 특질을 해명하고자 한 것이다. 일본 식민지기 제주도에 설립되었던 공장 및 회사의 자본은 일인자본(日人資本)에 비해 자본 경쟁력이 열위에 있었다고 하지만 그 성격이 매우 독립적이고 자율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그 당시 제주경제는 많은 경제적 변동을 경험하였고 그 과정에서 제주도민에 의해 일정 규모 이상의 경제적 성과를 경험하였다는 사실을 반증하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제1장에서는 한국 기업가의 현대적 흐름을 제시하면서 그것이 제주지역 기업가와의 연관성을 지적하였다. 이를 토대로 제주지역 기업가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고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당시 제주도 기업가 존재의 의의와 목적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밝혔다.
    제2장에서는 일제시기 제주에 본점을 둔 제주도민회사를 분석함으로써 당시 제주자본의 성격과 특질을 해명하는 것이었다. 당시 제주경제는 일본자본주의에 예속되었을 뿐만 아니라 제주지역내의 자본의 성격도 일본의 독점자본과 연결되어 민간인회사, 비회사 형태의 상점, 공장, 농장경영 등으로 성립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장에서 분석대상으로 하고 있는 제주도민회사는 일제시기 제주자본의 성격이 강하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있는 것이었다.
    제3장에서는 제주도 기업가의 사회적 배경을 고찰하기 위해 일제시기 근대적 기업을 설립하거나 근대기업경영의 최고 위치에 있었던 사람들이 어떠한 사회계층에 속하였으며 또는 학력, 가정환경 등을 포함하여 어떠한 개인적 배경 하에서 탄생하게 되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다시 말하면 제주도 기업가를 탄생시킨 사회계층과 그 개인적 배경이 무엇이며 그리고 시대의 변화에 의해 그것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제4, 5, 6, 7장에서는 가족들의 증언 및 문헌조사를 기반으로 별도의 인터뷰조사를 활용하여 수명의 기업가를 대상으로 기업가활동 사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당시 제주도에서 기업 활동을 한 대표적인 기업가로 박종실, 강성익, 황순하 등을 들 수 있다.
    본 장은 제주의 대표적인 근대 기업인으로 활동하면서 제주자본에 의해 제주도 근대 경제형성에 이바지한 기업가활동에 관한 사례연구이다.
    제8장의 결론에서는 제주도 기업가의 교훈을 도출하고 사례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면서 현대적 기업가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2.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본 연구를 통하여 수집된 문헌자료(사료)와 구술자료는 그 동안 자료의 제약성으로 인해 사실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일제시기 제주의 지역연구에 획기적으로 기여하게 될 것이다. 각 항목별로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을 상세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2.1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도
    본 연구는 당시 기업가들의 경영활동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경영사적 의미를 밝히는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이는 기업가 연구가 부분적으로만 언급되면서 그 전체적 흐름을 가늠하기 어려웠던 기존의 연구 한계를 극복하는 한층 진전된 연구라는 데서 장점을 지닌다. 또한 제주지역에 있어서 개별 기업가의 경영철학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계기가 되는 것이다.
    2.2 연구결과의 사회적 기여도
    본 연구를 통하여 일제시기 기업가의 후손들로부터 수집한 구술자료는 현재 연구의 공백으로 남아있는 제주지역의 경영사 연구에 중요한 학문적 자료가 될 것이며, 더 나아가 이 시기의 제주지역연구를 체계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최근에 들어 제주에서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사회교육이 활성화되고 있는데, 본 연구를 통하여 확보된 자료와 관련 연구성과는 제주지역의 사회교육의 교재로 활용되어 지역주민들의 정체성 및 도민의식을 높이고 지역발전의 정신적 지주로 작용할 것이다.
    2.3 인력양성 방안
    본 과제는 한국의 경영학 분야에서 경영사적 의미가 큰 주제이며, 기존의 지역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진 주제가 아닌 학문적, 교육적 의의가 높은 연구과제이다. 이에 본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참여자 구성에는 지역적 한계로 인하여 관련 전문가가 많지 않아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로 인해 기초학문 분야인 경영사, 경제사 관련 과목이 없어지지 않고 강의 개설이 되어 국가적으로도 우수한 인력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2.4 교육과의 연계 활용방안
    기존의 제주지역 연구에서 큰 공백으로 남아 있는 일제시기 제주지역의 기업가와 관련하여 수집된 자료는 대학에서의 연구와 교육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제주지역의 향토사 교육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최근에 들어 학제간의 연구가 중요시되고 있는 상황을 염두에 둘 때 본 연구는 지역경제사와 경영학 교육에도 일정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일제하, 제주도, 기업가, 법인회사, 사회적 배경, 강성익, 황순하, 박종실, 기업가정신, 일인자본, 기업윤리, 사회공헌활동, 기업가활동, 상인정신, 신용, 해녀노동, 제주경제, 근대제주, 경제적변동, 제주자본, 경제적성과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