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255&local_id=10011662
북한 이탈 청소년의 남한 사회 적응을 위한 학교 기반 개입 방안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북한 이탈 청소년의 남한 사회 적응을 위한 학교 기반 개입 방안에 관한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박영희(강서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82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6월 30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난민 청소년들이 한국과 미국의 다른 생태적, 심리문화적 환경으로 이행하는(transitioning) 동안 새로운 교육 체계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 지에 관하여 파악하고자 하는 것으로 연구의 목적은 난민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그들이 새로운 학교에 적응하는 데에 어떠한 욕구들과 염려들을 경험하고 있는가를 파악하는 데에 있다. 본 보고서는 인터뷰 자료, Illinois State Department of Human Services and Board of Education, International language and Career Academies/International New Comers Center on refugee matters의 공식 보고서를 포함한 자료 난민청소년과 그 부모, 교사 와 사회복지사들과의 인터뷰 자료를 기반으로 하였다. 한국에서는 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사, 학교사회복지사, 교사 및 NGO실무자들과의 인터뷰 자료를 기반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은 난민, 전문가 자문, 난민 가족 방문 및 부모와 청소년 인터뷰, 문헌연구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난민 청소년과 부모, 교사와 행정가, 난민 사회 기관 실무자들에게 주어진 주요 질문들은 다음과 같다.
    1)학교에 입학한 초기 단계에서 난민청소년들, 부모, 학교체계(교사, 상담사, 학교사회복지사, 행정가, 난민 기관 직원 등) 가 직면한 이슈들은 무엇인가
    2)초기 재정착 단계 이후(첫 1년 이후) 학교, 가정, 지역사회 안에서 난민 청소년들과 관련하여 나타나 지속되는 이슈는 무엇인가
    3) 계속되는 문제, 건강 혹은 또 다른 문제들이 무엇인가 만일 있다면 학교체계를 포함한 주권국에서의 그들의 적응에 가장 부정적인 영양을 주는 것은 무엇인가
    4) 지역학교와 지역사회, 도(주)와 국가 차원에서 난민 청소년을 지원하는 현재의 정책, 프로그램, 서비스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또 그러한 것들의 효과성 여부는 어떻게 측정될 수 있는가 욕구와 서비스 간의 간극은 어떤 것인가
    5) 난민 학생, 부모, 교사와 난민서비스 기관의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보다 자세한 질문들은 부록으로 첨부되었다.
    추후 난민 청소년과 부모, 교사, 학교행정가들과의 대화로 얻어진 결과들에 대한 파악을 확장할 것이며 2)대상자들과의 대화 자료 분석을 통한 주제 분석 3)정책에서 실천에 이르기까지 보다 구체적인 미국과 한국 과제들이 추가될 것이다.
  • 영문
  • This report contains the background, purpose, methodological approach, initial findings on the school adjustment of refugee children and youth to the school system in the State of Illinois and Korea.
    This study looks at how the refugee youth, in particular, experience their host educational systems in the Korea while transitioning themselves to different realities of ecological, psycho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Since the flight of refugees occur where famine, war, political and religious repression, economic disparity and many other forces of life threatening circumstances exist, such conditions, as aforementioned, often force them to seek out refuges crossing their national boundaries in migration. Those children and youth are at risk while their adult kin are making their best efforts to stabilize their living situation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nature of adjustment needs and concerns for the refugee youth and children when they attend to a local school in Korea. What has gained from this study will benefit social workers and teachers. in working with refugees in Korea and elsewhere, This report is based on several American data sources including archival data, interview data, and official reports on the Illinois State Department of Human Services ad Board of Education, International Language and Career Academies/International New Comers Center on refugee matters. And it is also based interview data with social worker . school teacher and NGO worker in Korea.

    The methodology for data collection included review of archival literature on refugee, expert consultation, visitation and interview with refugee students, parents, school teachers. The main questions directed at the refugee youth and children, their parents, school teachers and administrators, and refugee service workers for their input are as follows:

    1. During the initial phase of entering the school system, what are the major issues confronting a) the refugee youth and children, b) their parents, c) school system including classroom teachers, counselors, school social workers and administrators, and d) refugee service agency staff

    2. After the initial stage of resettlement (i.e., the first year as refugees), what are the on-going, as well as emerging, issues involving the youth and children of refugee families a) school, b) at home, and c) in community

    3. What are the residual issues (e.g., PTSD), health and other related problems that are carried over from refugees¡* natal countries, and if any that have most adverse impact on their adjustment to the host environment including school systems

    4. What are the current policies, programs, services and efforts designed to assist refugee children and their families at local school and community , state and national levels, and how are their effectiveness measured What are the gaps between needs and services

    More detailed questions for refugee students, parents, school teachers and refugee service agency staff are developed as guide for interview (See Appendix C).(See Questionnaires in Appendix B), and refugee resettlement social service agency staff (Appendix A).

    This report will be continuously more suplemented and revised by interviews with refugee youth , techersis and additional data on the findings from some interviews. The additional tasks will include: 1) Expanding the assessment of narratives from refugee youth and parents,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2) Analysis of narrative data by subjects and emerging themes; 3) More concrete cross-comparison of US and Korean data from policy to practice . The list of refugee service agencies, interview questionnaire, and bibliographic references are included in the appendix sec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 현재 우리나라에서의 공식적인 학교 교육에서는 탈북청소년과 그 가족들을 위한 공식적인 지원제도가 전혀 없는 상태라고 볼 수 있다. 단 몇몇 학교에서 교사들이 개인적인 관심에서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교육 현장에서 실시하는 정도이다. 따라서 교사들이 탈북 청소년들을 효과적으로 잘 지도하기 위한 기초 자료에 대한 접근이 거의 불가능하다. 즉 탈북청소년들이 학교로 오기 전에 이들의 신상에 관한 정보나 교육 상태, 남한으로 오기 이전의 경험 등에 대하여 전혀 알지 못하고 있다. 선행연구들에서 제시되듯이 난민 청소년들이 새로운 문화를 가진 나라로 이주해 와서 다른 문화를 가진 학교 문화에 잘 적응하려면 교장선생님의 소신과 정책적 배려, 교사의 그들에 대한 이해, 다 문화적 요소의 교과과정 수업을 통하여 기존 학생들과의 상호교류 등의 노력, 학부모의 학교에의 적극적 참여 유도, 난민청소년들을 위한 초기 안내 과정, 탈북 청소년들의 문화 존중과 그들의 학업 성취 정도에 대한 교사의 기대 등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앞에서 이미 언급한 바 있듯이, 우리 사회에서 이와 관련하여 학교가 하고 있는 체계적인 노력은 전무하다. 단 공식 교육 외의 민간에서 운영하는 대안 학교와 최근 정부가 위탁한 원불교 재단 운영의 대안학교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정도이다. 후자의 경우도 2004년 초에 겨우 설립된 것이다. 더구나 이 대안학교는 남한 청소년들과의 통합 교육 과정을 통한 남한 사회에의 동화 혹은 통합이 아닌 분리 교육의 방법을 택하게 되는 것이어서 문제점이 제기된다. 관련 NGO로서 북한인권시민연합이 한겨레 계절학교(최근 K 대학과 컨소시움 형식으로 실시함)를 방학마다 실시해 오고 있는데 2006년 여름 현재 10회를 맞이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현직 교사들의 자원봉사로 탈북 청소년들에 대한 학업지도와 상담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외 종합사회복지관(현재 남한에서의 공식적인 학교 교육에서는 탈북청소년과 그 가족들을 위한 공식적인 지원제도가 전혀 없는 상태라고 볼 수 있다. 단 몇몇 학교에서 교사들이 개인적인 관심에서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교육 현장에서 실시하는 정도이다. 따라서 교사들이 이들이 학교로 오기 전에 이들의 신상에 관한 정보나 교육 상태, 남한으로 오기 이전의 경험 등에 대하여 전혀 알지 못하고 있다고 보겠다. 선행연구들에서 제시되듯이 난민 청소년들이 새로운 문화를 가진 나라로 이주해 와서 다른 문화를 가진 학교 문화에 잘 적응하려면 교장선생님의 소신과 정책적 배려, 교사의 그들에 대한 이해, 다 문화적 요소의 교과과정 수업을 통하여 기존 학생들과의 상호교류 등의 노력, 학부모의 학교에의 적극적 참여 유도, 난민청소년들을 위한 초기 안내 과정, 탈북 청소년들의 문화 존중과 그들의 학업 성취 정도에 대한 교사의 기대 등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학교가 하고 있는 체계적인 노력은 전무하다. 단 공식 교육 외의 민간에서 운영하는 대안 학교와 최근 정부가 위탁한 원불교 재단 운영의 대안학교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정도이다. 후자의 경우도 2004년 초에 설립되어 아직 체계화되었다고 보기는 어려운 상태이다. 기타 관련 NGO가 10회 째 맞이하는 한겨레 계절학교(최근 K 대학과 컨소시움 형식으로 실시함)에서 현직 교사들의 자원봉사로 탈북 청소년들에 대한 학업지도와 상담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외 서울의 종합사회복지관9공릉 복지관, 가양 7, 방화6, 한빛 복지관) 에서 아동청소년 학업지도가 자원봉사자를 활용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자세한 인터뷰 내용은 현재 분석 중에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현재까지의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할 수 있다.

    첫째, 탈북 혹은 난민 청소년들을 학급에 배치할 때 많은 부수적 지원을 동반하면서 나이에 맞는 학급 편성이 발달과정에 조화되는 동화에 중요하다. 둘째, 입학 초기에 학교 적응을 위한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을 일정 기간 실시하여 초기 적응에 집중한다. 이러한 노력들은 탈북 청소년들의 남한 학교에 대한 소속감을 높일 것이다. 어떠한 종류의 과도기에서이든 초기 1-2년이 이후의 적응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셋째, 자녀의 성공적인 학교 적응을 위해서는 부모 참여가 필수적이므로 부모를 적극 학교에 참여하도록 한다. 넷째, 탈북청소년 혹는 난민 청소년들의 새로운 학교에의 적응은 교사들의 태도가 대단히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일리노이의 모든 학교에서는 교사들이 난민청소년들의 학교 적응을 위하여 교사와 학교스태프에게 난민청소년의 적응이슈, 외상 후 스트레스 등에 관한 훈련을 실시함으로써 학생들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돕고 그들을 지원한다. 더 나아가 교사가 지역사회 자원 활용을 위하여 지역사회와 연계하도록 하고 특히 정신건강을 위하여 학교내 자원들, 학생지원을 위한 사회서비스를 연계한다. 다섯째, 사회통합은 탈북 혹은 난민 청소년들만 하여야 하는 일방적인 노력이 아닌 상호노력을 통하여 가능해진다. . 여섯째, 학교에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를 갖춘 이중 문화 상담사를 두어 학생들이 부딪치는 사회적, 심리적 이슈들을 다루어주도록 한다. 일곱째, 거주국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동화(assimilation)가 중요하지만 차이(difference)가 무시되어서는 안 된다. 그들의 정체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중요하다. 여덟째,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행동과 그렇지 못한 행동들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문화와 거주국의 문화를 비교, 대조해보도록 돕는다. 또 관계맺고 행동하는 다른 방법들을 배우도록 돕는다. 아홉째, 난민가족과 다문화 프로그램 및 그 기관을 연계하고, 학교의 훈련이나 서비스와 재정착과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문화 기관들을 조정한다.

    여기에는 무엇보다 탈북청소년들은 미국의 난민 청소년들과는 근본적으로 상황이 다른 점이 있다. 그것은 남한과 북한은 오랜 동안 정치적 이념의 차이로 인하여 적대적 관계 속에 있어왔기 때문에 탈북청소년들은 자신의 신분을 드러내고 싶어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남한의 청소년들도 전혀 탈북 청소년들을 인권이나 동연배 친구로서 대하기 보다 낯설음과 두려움 속에서 그들을 대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미국의 경우 난민청소년의 미국내 통합을 위해서 동화를 주요 정책으로 하면서도 난민 청소년들의 정체감 유지도 중요한 정책으로 가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지금까지 탈북 청소년들을 남한 학교에 일방적 적응을 하도록 하였을 뿐 그들의 정체감 유지에는 전혀 관심을 가지지 못하였다.

    연구결과는 탈북청소년들이 집중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학교들에서 학교 정책자와 교사들에게 탈북청소년 지도를 위한 지침을 제공하며 구체적으로 "문화변용과정과 정체감 형성"에 대한 추후 연구가 대단히 중요한 과제로 제시되었다.
  • 색인어
  • 교장선생님의 소신과 정책적 배려, 다문화적 요소의 교과과정, 상호교류, 학부모 적극적 참여유도, 교사의 기대, 초기 안내 과정, 탈북청소년 문화 존중, 통합교육 , 분리교육, 북한인권시민연합, 종합복지관, 남한으로 오기 이전 경험,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