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514&local_id=10016665
‘좋은’ 수업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문화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좋은’ 수업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문화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고창규(경남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11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3월 2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초등학교 ?좋은? 수업의 특성-초등학교 교사들이 ?좋은? 수업이라고 생각하고 실제로 교실에서 하는 ?좋은? 수업은 학생들이 배우는 지식들의 연관성을 이해하도록 돕지 못하는 수업, 학생들의 사고과정을 바탕으로 하지 않는 수업, 탐구과정으로서의 지식보다는 결과로서의 지식을 중시하는 수업이라고 볼 수 있었다. 2) 수업대화 분석틀의 비교 연구-본 연구는 수업대화는 교사와 학생들의 상호작용패턴과 전략, 그리고 교과내용의 의미관계와 주제패턴 및 주제발전전략의 상호의존성을 반영한 통합적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3) 교수-학습지도안 작성에 나타난 초등 교사의 ?좋은? 수업: 초등 교사들이 ?좋은? 수업이라고 보는 수업은 학생들의 수준과 능력, 흥미와 관심, 그리고 실생활에 바탕을 둔 자기주도적 학습과 협동학습, 수준별 학습, 창의적 학습을 강조하는 학생중심의 수업, 그리고 수행평가가 이루어지는 과정중심의 수업이라고 볼 수 있었다. 4) 초등학교 두 수업 사례의 교수-학습내용 비교 분석: 가 교사의 수업에서 교수-학습된 주제패턴이 더 많았으며, 가 교사의 수업이 본 차시의 학습주제에 더 충실하였다. 그러나 두 수업 모두 교사용지도서에서 제시된 본시 학습주제가 의도하는 목표를 충분히 달성하지는 못하였다.
  • 영문
  • 1. An Ethnographic Study on the Instructional Characteristics Found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Good' Instruction: Focused on Act, Elicitation, Teaching Behavior Element, and Repai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structional characteristics found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good' instruction with the micro-ethnographic metho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good' instruction were the instructions that could not aid the students to understanding the relations among subject knowledges, were not based on the process of student's thinking, and made much account of the knowledge as a result than an inquiry process. The study drew the conclusion that what is more important in the instructional improvement is the chang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and instructional paradigm on 'good' instruction.
    2. A comparative study on the analytic frames of classroom discourse-Focused on the study of Mehan, Sinclair & Coulthard, and Lemk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theoretical frame of analysing what and how do teacher and students teach and learn in the classroom. This article argued that the analysis of classroom dialogue must always take into account both of two dimensions(a subject content and classroom interaction) and how they relate to one another, moment by moment. The reason is that rules for classroom interaction and an activity structure are an important of the form in which the subject content is taught and learned. In addition, how the subject content is presented depends as much on intera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y structures as it does on the thematic development strategy and the thematic pattern itself.
    3.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Viewpoint on ?Good? Instruction Found in Lesson Planning
    This article identifi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viewpoint on 'good' instruction found in lesson planning in order to explore the reason why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good' instruction outside classroom valuing student's inquiring process and actual instruction in classroom.
    The results showed that 'good' instructions consider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tudent-centered instruction valuing self-directed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level learning, and creative learning, and process-centered instruction.
    4. An Ethnographic Study on the Teaching-Learning Contents of Two Elementary School Lessons for Instructional Supervis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teaching-learning contents of two elementary school lessons by analysing semantic relationships and thematic patterns which are constructed through teacher's initiation-student's response-teacher's evaluation or follow-up(I-R-E/F) sequence.
    The result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thematic patterns constructed by��A��teacher's lesson are more than those of ��B��teacher's lesson and ��A��teacher's lesson is more substantial in the attainability of the learning theme than ��B��teacher's lesson. 2) The thematic patterns taught and learned in two lessons are largely constructed by teachers' follow-up act and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are those that repeat after the thematic patterns prearranged by teacher in the stage of introduction of learning activities. The findings show that the analytic method of this article for teaching-learning contents is available for analysing lesson content and instructional supervis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수업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수업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생각과 실제 수업의 과정을 이해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다음은 수행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한 것이다.
    1) 초등학교 ‘좋은’ 수업의 특성: 담화행위(act), 유도행위, 교수행동요소, 바로잡기(repair)를 중심으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좋은’ 수업이라고 생각하고 하는 실제 수업의 특성을 교수행동요소, 담화행위, 교사의 유도행위, 교사의 바로잡기 등의 주제들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연구대상 초등학교 교사들이 ‘좋은’ 수업이라고 생각하고 실제로 교실에서 하는 ‘좋은’ 수업은 학생들이 배우는 지식들의 연관성을 이해하도록 돕지 못하는 수업, 학생들의 사고과정을 바탕으로 하지 않는 수업, 탐구과정으로서의 지식보다는 결과로서의 지식을 중시하는 수업이라고 볼 수 있었다. 만약 대다수의 초등학교 교사들이 이러한 수업의 특성들을 ‘좋은’ 수업의 특성이라고 믿고 수업한다면, 수업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좋은’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믿음과 교수행동의 패러다임적 변화가 요청된다는 점을 제기하였다.
    2) 수업대화 분석틀의 비교 연구: -Mehan, Sinclair와 Coulthard, Lemke의 연구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수업에서 실제로 교사와 학생들이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배우는가에 대한 통합적인 분석틀을 탐색하기 위해 수업대화분석의 대표적인 연구들인 Mehan의 연구, Sinclair와 Coulthard의 연구, Lemke의 연구를 상호 비교하였다. 이들 연구들의 비교분석은 수업분석의 관점, 수업구조, 수업행위 및 활동종류, 수업전략, 그리고 수업내용의 영역으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수업대화는 교사와 학생들의 상호작용패턴과 전략, 그리고 교과내용의 의미관계와 주제패턴 및 주제발전전략의 상호의존성을 반영한 통합적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교사와 학생들이 가르치고 배우는 교과내용의 의미관계 및 주제패턴은 상호작용패턴과 통제전략 및 주제발전전략 등을 통하여 연결되고 구성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우리 학교의 수업들을 비교분석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보편적인 수업분석모형을 만들기 위해서는 본 연구가 제시한 수업분석의 기본관점과 접근방법을 적용한 현장수업분석들이 계속 반성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3) 교수-학습지도안 작성에 나타난 초등 교사의 ‘좋은’ 수업
    본 연구는 학생 중심의 탐구과정을 중시하는 교실 밖의 ‘좋은’ 수업과, 실제 이루어지는 수업이 차이가 나는 이유를 탐색하기 위해 교수-학습지도안 작성에 나타난 초등 교사의 ‘좋은’ 수업 관점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초등 교사들이 ‘좋은’ 수업이라고 보는 수업은 학생들의 수준과 능력, 흥미와 관심, 그리고 실생활에 바탕을 둔 자기주도적 학습과 협동학습, 수준별 학습, 창의적 학습을 강조하는 학생중심의 수업, 그리고 수행평가가 이루어지는 과정중심의 수업이라고 볼 수 있었다. 그렇다면, 실제 수업이 교사에 의한 결과중심의 수업이 되는 것은 교사의 최적화행동의 결과라고도 설명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이 계획한 ‘좋은’ 수업이 순간순간의 학생들과의 상호작용과정을 통하여 구성되는 실제 수업맥락에서 구체화되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관점에서 설명하려고 하였다. 따라서 교사의 실제 수업행동의 개선에 초점 맞추어 수업장학이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4) 초등학교 두 수업 사례의 교수-학습내용 비교 분석
    본 연구는 교사의 개시발화(I)-학생의 응답(R)-교사의 평가 또는 추수행위(E/F)를 통하여 구성되는 의미관계 및 주제패턴을 드러냄으로써 두 교사의 수업내용을 분석하였다. Lemke(1990)에 따르면, 주제패턴(thematic pattern)은 어떤 교과목의 주제내용을 서술하는 개념들과 아이디어 사이에 있는 의미관계의 패턴이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동일단원의 동일차시를 수업한 두 명의 교사 수업이었으며, 비디오촬영한 자료는 미시적 문화기술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가 교사의 수업에서 교수-학습된 주제패턴이 더 많았으며, 가 교사의 수업이 본 차시의 학습주제에 더 충실하였다. 그러나 두 수업 모두 교사용지도서에서 제시된 본시 학습주제가 의도하는 목표를 충분히 달성하지는 못하였다. 둘째, 두 수업에서 다루어진 주제패턴은 대부분 교사의 추가말에 의해서 구성되었으며, 학생들의 학습활동은 학습활동안내 단계에서 사전에 구성된 주제패턴을 반복하여 산출하는 활동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본 연구의 수업내용 분석방법이 수업에서의 교수-학습내용을 드러내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교실수업개선을 위한 수업장학에 기여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교육학의 이론적 측면, 교육연구의 방법적 측면, 그리고 수업개선의 실제적 측면 등에서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1) 이론적 측면

    첫째, 본 연구는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들이 실제로 가르치고 배우는 교과내용에 대한 이해를 넓혀줄 것이다. 수업에서는 공식적 교과내용을 그대로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교사와 학생들이 공식적 교과내용을 의사소통과정을 통하여 재구성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학교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교과내용은 공식적 교과내용 뿐만 아니라 공식적 교과내용이 재구성된 실제적 교과내용을 고려해서 이해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지식은 그대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회구성원이 상호작용을 통하여 구성한다는 사회구성주의의 관점이 타당하다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교수와 학습, 그리고 수업은 사회적 과정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가르친다는 것은 공식적 학습내용에 대해 교사가 이해한 것을 의사소통과정을 통하여 학생들과 공유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어떤 과목 수업을 한다는 것은 그 과목을 말하는 것이며, 그 과목에 대해 의사소통하는 것이다. 배운다는 것은 교사의 말들 속에 들어있는 의미관계를 해석하고, 교사가 가르치려고 하는 학습주제를 추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교수와 학습 그리고 수업은 의사소통과정을 통해 학습내용에 대해 교사와 학생들이 공유된 공통의 지식 또는 이해를 갖는 사회적 과정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2) 연구방법적 측면

    첫째, 본 연구의 방법은 앞으로 실제적 교과내용에 대한 연구의 방법으로 활용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본 연구의 의미관계 및 학습주제 분석방법을 사용한 연구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앞서 제시했듯이 본 연구는 의사소통과정을 통하여 재구성된 실제적 학습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수업에서 사용된 단어와 단어, 구절과 구절의 의미관계를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내용에 관련된 하나의 주제항목을 도출하고, 동일한 주제를 다루고 있는 주제항목을 묶어서 하나의 학습주제양식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사용할 것이다.
    둘째, 교과연구의 연구방법으로도 활용될 것이다. 실제 수업에서 각 교과목의 개념들이 서로 어떤 의미관계로 연결되어서 그 과목의 개념체계를 이루는 지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3) 수업개선의 실제적 측면

    첫째, 수업분석모형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수업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먼저 실제 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결과 학생들은 무엇을 배우고 있는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업에서 실제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배우는가를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것이다.
    둘째, ‘좋은’ 수업에 관한 이론, 교사들이 생각하는 ‘좋은’ 수업의 특성, 실제 수업에서 나타나는 ‘좋은’ 수업의 특성, 그리고 ‘좋은’ 수업을 통하여 재구성되는 교과내용 등의 네 가지 차원을 상호 비교한 결과, 만약 상호 다른 차원들이 있다면, 그것 때문에 수업개선이 바라는 대로 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수업개선을 위해서는 왜 일치되지 않는지를 분석하고 그 차원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수업개선은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일상적인 지식과 수업행동의 개선이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좋은’ 수업의 조건에 관한 시사점을 교사들에게 제공함으로써 교사들의 수업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로부터 도출되는 ‘좋은’ 수업은 일단 각 교과목의 지식구조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에 적합한 의사소통규칙과 의사소통통제전략, 그리고 학습주제발전전략이 사용되는 수업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는 교사교육기관에서 예비교사들의 수업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예비교사들이 실제 수업한 다음, 그 수업을 분석하는 데에 본 연구의 방법과 결과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좋은 수업, 수업분석, 수업문화, 수업관찰, 교사문화,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