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525&local_id=10016176
아프리카 여성의 참여의식과 정치참여에 대한 연구 -카메룬 사례를 중심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아프리카 여성의 참여의식과 정치참여에 대한 연구 -카메룬 사례를 중심으로-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한규(서울시립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08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3월 1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카메룬 전통사회에서의 여성의 정치․사회적 지위에 관련된 구조주의적 관점보다는 여성에게 폐쇄적인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통해서 여성의 권리와 사회적 참여가 어떻게 유발되었는가에 대한 분석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서 카메룬 여성, 더나가서는 아프리카 여성의 의미를 역사적 맥락에서 포괄적으로 이해함으로써 논의의 폭을 확대 해 볼 수 있을 가능성을 전제로 하고 있다. 여성에게 억압된 사회에서 카메룬 여성이 갖는 기능과 그 영향력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전통사회에서의 여성의 가치를 논하였다. 또한 프랑스 식민자본주의 지배체제에서 기존의 카메룬 여성의 역할변화의 과정을 다루었으며, 어떻게 비자본주의적인 카메룬 여성의 경제행위가 자본주의 공적영역에서 배제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본 글의 결과, 카메룬 여성과 아프리카 여성의 억압 및 성적차별은 전통사회의 구조 자체에서 기인하기보다는 전통사회의 구조 및 고유 기능이 식민자본주의에 의해서 변질됨으로 인해 나타난 것이다.
  • 영문
  • This research analyzed on by which roles how the women's rights and the social participation have been triggered in the society which was closed to the African women, rather than from the constructivism's perspective which was related to the political ․ social status of the African women in the traditional society. With it, the research assumed the possibility that was likely to broadly extend the discussion by comprehensively understanding the implication for the African women in the historical context. The Section 2 dealt with the women's values in the traditional society by analyzing the functions and their impact which the women have in the society where suppresses the women. Specifically, in the Cameroon's traditional society, the Cameroon women were second to the African men in playing the social roles and being sensitive to the change of those roles and they were not inferior to the men nor give up the social roles. The Section 3 dealt with the process about the change of the existing Cameroon women's roles in the French colonial capitalist governing system and observed how the economical behavior of the non-capitalistic Cameroon women was excluded into the pubic area of the capitalism. This research concluded that the suppression and sexual discrimination of the Cameroon women occurred as the structure and the inherent functions of the traditional society were changed by the colonial capitalism, rather than by the structure itself of the traditional society.
    This research is a current view of study that checks the process and actual condi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of Cameroon women in the way of national unification from when they became independent in 1960 to the time democratization operated in 1990. Although sexual discrimination existed in traditional society of Cameroon, role sharing between men and women was basically valued in the community. Playing a role not only in reproduction but as the core of village economy maintaining the community as well, the social importance of women was no less valuable than that of men. But these roles were regarded as mere home-worker, being ignored in the colonial period and in the process of nation construction after independence. This kind of women policy made it difficult, by emphasizing practical profits of total women more than some characteristic profits, to approach the source that can make women compete with men. Eventually, the women?Hs problem which is a dynamic element of Cameroon society seems to be hard to be solved in a short period in the view that social or cultural problem should be preferentially solve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1945년 프랑스 식민지배에서 1990년 민주화 과정까지 카메룬 여성의 정치의식과 이에 따른 정치참여의 실태문제를 문헌과 자료분석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식민지배에서의 카메룬 여성의 문제는 겨우 자신을 인식하거나, 무기력한 혹은 열정도 없고 사회활동에도 관심이 없는 것으로 묘사된 아프리카 여성은 과연 열등했는가 왜 아프리카남성들이 아프리카여성보다 우월한 지위에 있어야 했는가 에 대해 논한다. 따라서 연구는 전통사회에서의 아프리카 여성의 정치․사회적 지위에 관련된 구조주의적 관점보다는 아프리카 여성에게 폐쇄된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통해서 여성의 권리와 사회적 참여가 어떻게 유발되었는가에 대한 분석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서 아프리카 여성의 의미를 역사적 맥락에서 포괄적으로 이해함으로써 논의의 폭을 확대 해 볼 수 있을 가능성을 전제로 하고 있다. 전통사회구조에서 여성의 사회, 정치, 경제 분야에서 차지하는 여성의 지위를 분석하기보다는 여성에게 억압된 사회에서 아프리카 여성이 갖는 기능과 그 영향력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전통사회에서의 여성의 가치를 논하였다. 구체적으로 아프리카 전통사회구조를 통해서 아프리카 여성은 일반생활에서 남성 못지않은 사회적 역할과 그 역할에 대한 변화에 민감하였다는 점과 아프리카 여성이 남성에 비해 열등하거나 사회적 역할을 포기한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아프리카 전통사회구조는 남녀간의 공적․사적영역이 뚜렷하게 구분되거나 여성을 공적영역에서 안전히 배제시키려는 성별 분리적 구조는 아니라고 하겠다. 식민지배하에 카메룬 여성의 정치의식과 참여에 대한 연구결과는 아프리카 여성의 억압 및 성적차별은 전통사회의 구조 자체에서 기인하기보다는 전통사회의 구조 및 고유의 기능이 식민자본주의에 의해서 변질됨으로 나타난 것이다. 즉 오늘날의 아프리카 여성의 성적, 정치적, 사회적 차별은 아프리카의 종족 혹은 부족에 밀착해 있는 아프리카 남성과 남성중심의 경제와 문화를 한층 더 구조화시킨 식민자본주의간의ꡐ암묵적 합의ꡑ의 결과이다. 향후 아프리카 여성해방의 담론은 여성이 남성과 동등해 지려는 투쟁보다는 현대자본주의 모순과 정치적 헤게모니를 장악하고 있는 남성간의 결탁의 문제에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1960년 독립이후 민주화가 실시되기 이전 1990년까지의 국민통합 과정에서 카메룬여성의 정치참여 과정과 실태의 연구는 시론적인 연구다. 카메룬 전통사회에서 남녀간의 차이가 비록 존재하지만 공동체 사회에서의 남녀간의 역할분담은 근본적으로 중시되었다. 재생산의 역할뿐만 아니라 사회공동체를 유지시키고 마을경제의 주체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면서 여성의 사회적 가치는 남성 못지않게 중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역할은 식민지배와 독립이후 국가건설과정에서 무시되면서 여성을 단순한 가정노동자로 간주 하였다. 특히 국민통합과정에서 모든 여성단체를 통합하여 당과 국가가 사회와 여성의 보호자적인 역할을 하면서 사회발전을 조작․선도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여성정책은 어떤 특수이익보다는 전체여성의 실용적 이익을 강조함으로써 여성이 남성들과 경쟁할 수 있는 자원의 접근을 어렵게 만들었다. 국가와 당은 카메룬 전통사회가 근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여성에 대한 남성의 지배를 변화시키기보다는 남성의 우위를 제도적으로 합리화시키는 결과가 되었다. 결과적으로 카메룬 사회의 역동적 요소인 여성문제는 사회․문화적 문제의 해결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단기적으로 해결되는 힘들어 보인다. 가부장적 국가구조에서 여성의 정치참여는 여성 불평등이 해소될 수 있도록 더욱더 확산된 제도적인 보장을 통해 성차별의 최종해결책을 찾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여성의 정치․사회참여는 개인적인 능력이나 욕망이 없기 때문이 아니라 여성이 사회․정치적 활동이 가능한 자원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는 본인이 현제 강의하고 있는 대학에서 자료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생들에게도 우리의 여성정책의 현주소를 뒤돌아보게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특히 비교정치학적 차원에서의 아프리카 여성정책에 대한 비교는 우리의 정치발전을 위한 바람직한 여성의 역할과 한국여성의 권리향상을 위한 이론적․실천적 과제가 무엇인지를 다시 한번 신중하게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둘째, 아프리카는 대자연보고의 대륙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대아프리카 정책은 다른 국가들과의 대외정책의 측면에서 변두리에 놓여있다. 이러한 원인은 아프리카내의 정치적 불안정에서도 비롯되지만 아프리카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부족에서도 기인한다. 비록 본 연구는 아프리카 여성에 관련되었지만 아프리카의 문화, 사회, 정치적 이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중장기적인 아프리카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정부의 정책결정담당자에게 좋은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셋째, 아프리카에 대한 전문 인력이 부족하고 지나친 경제이익에 편중한 커리큘럼으로 인해 순수한 기초학문으로서의 아프리카 지역에 대한 커리큘럼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에서 다양한 직업을 통해서 해외진출을 모색하고 있는 학생들에게 아프리카에 대한 이해를 명확하게 인식시켜 줌으로써 아프리카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를 통해 학문적인 접근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의 아프리카 여성문제는 여성의원들의 역할, 여성의원과 유권자와의 관계뿐만 아니라 일상에서의 여성의 역할과 사회에서의 여성의 위치 등 인류사회의 가장기본적인 문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국가간의 교류보다 민간차원의 교류가 강화되고 있는 21세기 한국인이 세계시민으로서의 역할과 한국의 NGO활동의 중요한 지침으로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색인어
  • 아프리카 여성, 카메룬 여성, 카메룬, 식민지배, 전통사회, 결혼제도, 일부다처제, 정치참여, 국민통합, 단일정당제, 카메룬 정당, 민주화 , 정치문화, 정치의식, 종족주의, 여성권리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