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547&local_id=10012314
국어 교육으로서의 한자어 교육에 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국어 교육으로서의 한자어 교육에 대한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노명희(강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22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중단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8월 1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기존의 한자 교육이 지닌 문제점을 짚어보고 국어 교육으로서의 한자어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제까지 한자 교육에 관련된 논의는 한문 교육으로서의 한자 교육에 관한 것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국어 교육으로서의 한자어 교육이 국어 어휘 교육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함을 밝히고 개별 한자가 국어 어휘망 속에서 차지하는 역할에 따라 이들의 상관성을 파악하여 가르쳐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개별 한자가 국어 어휘 체계 내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역할을 구명하여 이를 한자어 교육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국어 한자어 문법은 한자에 대한 지식 정도에 따라 2자어 문법(중국식 한문 문법)과 3자어 문법(국어식 한자어 문법)으로 구분되는데, 이때 3자어는 한자어 기능 단위를 중심으로 형성된다. 한자어를 형태소 단위로 분석하는 분석 단위와 차원을 달리하여 국어 화자의 어휘부에 직접적으로 저장되어 공시적인 단어형성의 재료가 되는 기능 단위가 한자어 교육의 1차적인 대상이 되어야 한다. 이는 한자어가 국어 단어형성 단위로 쓰일 때의 용법이 한문에서의 용법과 많은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2음절 한자어의 구성 형태소는 일반적인 국어 화자에게 결합 단위가 아니라 분석 단위로만 인식된다. 한자를 전문적으로 배우지 않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그들이 개별 한자 형태소에 대해 알 수 있는 것은 동일한 형태가 나타나는 다른 단어와의 관련성 속에서뿐이다. 예를 들어 ‘덕목(德目)’에서 '목'의 의미는 ‘항목(項目), 요목(要目), 강목(綱目), 과목(科目), 조목(條目), 종목(種目), 품목(品目)’ 등 다른 단어와의 관련성 속에서 추출해 낼 수 있다. 여러 단어에 나타나는 동일한 음을 지닌 ‘목’을 분석하고 이를 전체 단어에서 파악되는 의미와 관련시켜 공통된 의미를 추출해 내어 이를 한자어 교육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국어 교육용 한자의 선정에는 한자 빈도와 한자어 빈도, 이들의 상관성, 개별 한자의 단어형성 능력, 출현 빈도가 높은 한자어를 생성할 수 있는 한자 등 다각적인 기준에서의 접근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 영문
  • Grammatical Units in Sino-Korean and The Education of Sino-Koreans

    Noh Myung-Hee

    This paper aimed at grafting the research results of Korean linguistics onto the education of Sino-Koreans. In this respect this is a kind of interdisciplinary study. Firstly we pointed out the problems of current Sino-Korean education which is being performed on the basis of basic Chinese character chosen by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we tried to differentiate between Sino-Korean education as Korean education and Sino-Korean education as Classical Chinese education. Lastly we presented the direction which Sino-Korean education as Korean vocabulary education has to go after.
    The grammar of Sino-Korean can be divided into two-syllable grammar(that of Classical Chinese) and three-syllable grammar(that of Korean) according to the degree of knowledge for Chinese characters. We insist that the approach to Sino-Korean education should consider these two directions. The one is based on the analysis units which analyse Sino-Korean into morpheme units. The other is based on the function units which are elements of synchronic Korean word-formations.
    The priority of Sino-Korean education should be given to function units and analysis units are secondary targets of Sino-Korean education. In this considerations the education should take the method of using networks between Sino-Korean words sharing the same morphemes. In order to perform this education successfully,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right chinese characters on the ba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character frequency and word frequency, word formation ability of characters, etc.

    *Key words: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function unit, analysis unit, frequency, word formation abil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현행 교육용 기초 한자를 중심으로 기존 한자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국어 교육으로서의 한자어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즉 국어 교육으로서의 한자어 교육과 한문 교육으로서의 한자 교육이 구분되어야 함을 주장하고 그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먼저 국어 한자어 문법은 한자에 대한 지식 정도에 따라 2자어 문법(중국식 한문 문법)과 3자어 문법(국어식 한자어 문법)으로 구분되는데, 이때 3자어는 한자어 기능 단위를 중심으로 형성된다. 한자어를 형태소 단위로 분석하는 분석 단위와 차원을 달리하여 국어 화자의 어휘부에 직접적으로 저장되어 공시적인 단어 형성의 재료가 되는 기능 단위는 한자어 교육의 1차적인 대상이 된다.
    이에 비해 주로 2음절 한자어의 구성 형태소를 이루는 분석 단위에 대한 교육은 2차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는 동일한 형태소가 속하는 단어망 속에서 추출하여 어휘교육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또 국어 교육용 한자의 선정에는 한자 빈도와 한자어 빈도, 이들의 상관성, 한자의 단어 생성 능력, 출현 빈도가 높은 한자어를 생성할 수 있는 한자 등 다각적인 기준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는 한글전용이나 국한혼용과 같은 표기방식의 문제를 떠나 올바른 국어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일정 정도의 한자어 교육이 필요함을 전제하고 이에 대한 국어학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국어 교육으로서의 한자어 교육이 나아가야 할 기본적인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실용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학문적인 면에서 국어 교육학의 이론적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어 어휘형태론의 연구에 기여하게 된다. 이는 한자어 어휘론, 형태론에 대한 국어학계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이를 한자어 교육에 적용하여 그 이론적 방법론을 구축한 것이기 때문에 학제 간 연구의 성격을 가진다. 따라서 1차적으로 한자어 어휘론이나 형태론의 연구에 활용된다. 즉 한자어 기능 단위와 관련된 어휘부(lexion, 머릿속 사전)에 대한 연구, 한자어 분석 단위를 통한 형태소 분석의 문제, 한자 빈도와 한자어 빈도의 상관 관계 등을 통해 한자어의 전반적인 특징을 파악할 수 있으리라 보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국어교육학의 이론적인 발전에 기여하게 된다. 한자어 교육은 우선적으로 국어 교육의 대상으로, 본 연구의 한자어 교육에 대한 방법론은 언어 교육, 언어 습득이라는 국어 교육의 이론적인 면에도 활용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이론적 방법론을 토대로 국어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한자 교육의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아직 한자어 교육 방법이 구체화되어 있지 않은 형편이어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한자, 한자어 교육 방안이 제시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 결과는 구체적인 국어교육용 한자어 목록(한자어 기능 단위를 중심으로)과 한자 형태소의 목록 설정의 기준을 제시해 줄 수 있어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가능성이 높으리라 기대된다. 또한 이들을 어휘 교육 차원에서 단어들 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교육하는 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이 외에도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활용 가능하다. 본 연구는 1차적으로 자국민을 위한 한자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었지만 사실 외국인을 위한 한자어 교육에 대한 연구도 거의 이루어지지 못한 상황이어서 이번 연구 성과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더구나 외국인의 경우 한자에 대한 지식이 거의 없는 경우도 많아 어휘 교육 차원에서의 한자어 교육 방법론의 활용은 그 효용성이 아주 높으리라 생각한다.
  • 색인어
  • 한자어 교육, 한자어, 어휘 교육, 기능 단위, 분석 단위, 한자 빈도, 한자어 빈도, 단어형성력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