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561&local_id=10018065
한국 텍스트언어학의 발달사 - 용어 및 이론의 수용 실태와 연구 성과에 대한 분석·고찰 -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 텍스트언어학의 발달사 - 용어 및 이론의 수용 실태와 연구 성과에 대한 분석·고찰 -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조국현(한양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40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8년 03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8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 텍스트언어학사 연구의 학문적 토대를 정립하고, 텍스트 개념 및 연구 대상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한국 텍스트언어학의 전반적인 동향과 진로를 확인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논문 ‘한국텍스트언어사 연구의 이론적 토대와 과제 및 절차’>
    1차년도 전반기 과제로서 위 제목의 논문을 작성하고, 2005년 5월26일에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발표회에서 논문 내용을 발표하였으며, 학술진흥재단 등재지인 ‘독어교육’에 게재하였다.
    위 논문은 본격적인 한국텍스트언어학사 연구의 사전 작업으로서 학문사 연구의 이론적 토대와 과제 및 절차를 제시한다. 먼저 학문 (영역) 자체와 학문 역사의 일반적인 구분에 따라, (a) 학문 영역으로서의 텍스트언어학 연구와 (b) 학문 역사로서의 텍스트언어학 연구를 구분하고, 이 둘의 상관관계를 밝힌다. 이어서 한국 텍스트언어학사 연구와 관련된 주요 개념과 이론을 제시한다: 역사 기술과 관련된 세 개념, 즉 (i) 일어난 일, (ii) 역사, (iii) 역사기술 이론의 구분과 세 가지 관련 연구 영역, 즉 (i') 연대학, (ii') 역사기술, (iii') 메타역사기술의 구분 및 상관 관계 정립. 이러한 구분을 바탕으로 엄밀한 혹은 본질적인 의미의 역사기술은 연구 사실, 즉 "이론 및 이론 구성 요소들"을 인과 관계에 따라 결합하여 의미 있는 학문사적 "사건"들로 재구성하고, 이를 통해 이론의 발전과 인식의 진보 과정을 밝혀내는 일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다음으로 한국 텍스트언어학사 연구의 주요 과제를 설명하고, 텍스트 개념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그 절차를 설명한다. 텍스트 개념의 수용 및 발전 과정을 고찰한 결과, (1) 구조 중심적 텍스트 개념, (2) 기능 중심적 텍스트 개념, (3) 인지주의적 텍스트 개념으로 이어지는 변천 과정을 확인했다.

    <논문 ‘텍스트언어학의 탈언어학화 - 한국 텍스트언어학의 미래’>
    1차년도 후반기 과제로서 위 제목의 논문을 작성하고, 이 논문을 2005년 10월 8일 개최된 ‘2005년 한국 텍스트언어학회 가을학술대회’에서 발표하였으며, 한국 학술진흥재단 등재지인 ‘텍스트언어학’에 게재하였다.
    위 논문에서는 텍스트언어학의 탈언어학화의 의미와 특성을 정립하고, 한국 텍스트언어학 연구에서 나타나는 탈언어학화 경향을 고찰한다. 탈언어학화의 특성은 크게 3가지로 요약된다. (1) 텍스트의 기호적 융합성: 언어 기호에 국한 → 언어 기호 및 비언어기호를 포함, (2) 텍스트의 역동적 가변성: 결과물로서의 텍스트에 초점 → 텍스트 사용자와 생산 및 수용 과정에 초점, 시니피앙과 시니피에 관계의 고정성을 전제 → 시니피앙의 가변성 및 시니피앙-시니피에 관계의 가변성을 강조, (3) 텍스트의 상호적 연관성: 텍스트 내에서 언어적 요소 사이의 연관성(텍스트성)에 초점 → 텍스트 사이의 연관성(상호텍스트성)에 초점. 위 논문에서는 상호텍스트성의 다양한 유형을 찾아내고, 한국텍스트언어학에서의 연구 실태를 살펴보았다.

    <논문 ‘Textlinguistik in Korea - Skizze einer Forschungslandschaft und ihrer Genese’>
    제2차년도 세부과제로서 위 제목의 논문을 2005년도 10월 홍콩에서 열린 제1회 동아시아 언어학사 대회(First East Asian SGdS-Colloquium)에서 발표하였고, 2006년 국제전문학술지 ‘Beiträge zur Geschichte der Sprachwissenschaft’에 게재하였다. 이 논문은 한국 텍스트언어학이 이뤄낸 연구 성과를 개관하고 한국텍스트언어학의 발생 과정을 밝히는 작업이다. 이 논문에서는 2005년 말 현재까지 발표된 260여편의 텍스트언어학 논문을 유형 별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로 연구 중점을 확인하였다.

    <논문 ‘언어교육에 관한 한국 텍스트언어학의 연구 내용 및 성과’>
    제2차년도 세부과제로서 위 제목의 논문을 2007년 4월 ‘한국텍스트언어학회 봄철 학술대회’에서 발표하였으며, 한국 학술진흥재단 등재지인 ‘텍스트언어학’에 게재하였다. 이 논문은 1994년부터 2005년까지 발간된 43편의 외국어 및 국어 교육 관련 텍스트언어학 논문을 연구 주제별로 분류하여, 구체적인 연구 내용과 성과를 살펴보았다.
  • 영문
  • Die Textlinguistik, die vorwiegend als eine eher europäische Disziplin der Sprachwissenschaft zu gelten scheint (Antos/Tietz 1997: VIII), hat sichinzwischen auch in Korea als eigenständiges Forschungsgebiet etabliert.
    Dies belegen vor allem zahlreiche textlinguistische Beiträge, die in letzter Zeit in Korea veröffentlicht worden sind. In meiner Arbeit wird die koreanische Textlinguistik und ihre Genese skizzenhaft dargelegt. Wie die Bezeichnung "Skizze" bereits besagt, geht es hier nicht um eine vollständige und abgeschlossene Beschreibung der Geschichte der koreanischen Textlinguistik. Es ist nur ein erster Schritt in diese Richtung. Das Ziel dieser Arbeit ist vielmehr, einen Überblick über die 'Forschungslandschaft'der Textlinguistik in Korea zu geben, indem ich auf Grund von "wissenschaftsinternen Daten" (Schmitter 2003: 59) feststelle, was im Rahmen der Textlinguistik in Korea hauptsächlich rezipiert und untersucht worden ist. Es wird hier davon ausgegangen, dass eine nüchterne Betrachtung von einzelnen Beiträgen und deren Analyse am besten Rückschlüsse auf den Stand der Textlinguistik in Korea erlauben. Durch die quantitative Messung und Kategorisierung von Ansätzen lässt sich vor allem zeigen, an welchen Fragestellungen die koreanische Textlinguistik besonderes Interesse hat und auf welche Bereiche man dabei textlinguistische Erkenntnisse angewendet ha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그 동안 한국 텍스트언어학계에서 거의 주목하지 않던 문제인 한국 텍스트언어학사 연구를 주제로 다뤘다. 지금까지 텍스트언어학의 개별 분야와 주제를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축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성과와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종합·정리·평가하려는 사적(史的)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때문에 한국 텍스트언어학 내적으로는 낡은 이론의 답습, 학문의 고립화와 같은 문제가 야기되고, 대외적으로는 학문의 국제적 교류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텍스트언어학의 세부 연구 내용을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한국 텍스트언어학의 질적 도약을 위한 바탕을 마련하고, 개별 연구 성과를 체계화함으로써 향후 텍스트언어학 연구의 효용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 텍스트언어학사 연구는 크게 다음 3가지 물음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시되되었다: (1) 한국 텍스트언어사 연구의 이론적 토대는 무엇이며, 구체적인 연구과제와 절차는 무엇인가 , (2) 텍스트언어학의 근간을 이루는 텍스트 개념과 이론이 어떻게 한국에 수용되었으며, 어떻게 발전되었는가 , (3) 특정한 이론 및 방법론에 따라 한국 텍스트언어학적 연구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연구 영역에서, 어떤 방식으로, 어떤 대상/주제를 다루었는가
    이를 위해 연차별로 다음과 같은 세부 과제를 연구하였다.
    제1차년도 연구에서는 한국 텍스트언어학사 연구의 학문적 토대를 정립하고, 텍스트 개념 및 연구 대상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한국 텍스트언어학의 전반적인 동향과 진로를 확인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제2차년도에서는 한국 텍스트언어학이 소위 "탈문장문법"의 정립 과정과 이를 넘어서 탈언어적 시도 및 텍스트학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추적하였다. 제3차년도에서는 모국어 및 외국 교육 관련 텍스트언어학적 응용 연구를 고찰하였다. 한국의 텍스트언어학적 이론 및 경험 연구가 점진적으로 축적됨에 따라, 그 결과를 텍스트언어학적 언어 교육에 활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국어학을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된 모국어 교육 관련 텍스트언어학 연구 및 독어학 등에서 외국어 교육 관련 텍스트언어학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주요 관심사, 연구 방법과 성과를 점검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언어학사 기술의 기본 원칙에 따라 통시적 측면과 공시적 측면을 함께 고려하여, 한국 텍스트언어학 발전의 다층적인 모습을 재구성하는데 기여한다. 특히 개별 연구들을 개념/용어, 연구 영역 및 연구 주제, 이론 및 방법론 등 여러 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연구 자료에 대한 인용, 참고 등 기존 연구 결과의 활용 가치를 높인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진행된 한국 텍스트언어학적 연구 실태를 점검하여, 개별 연구에 나타난 문제점과 연구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연구 대상 및 과제를 체계화함으로써 텍스트 관련 연구의 균형적 발전을 유도하며, 연구 과제가 어느 한 쪽에 편향되고, 다른 쪽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경우에 연구방향 선정을 위한 길잡이 역할을 수행한다.

    한국 텍스트언어학은 길지 않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영역에서 많은
    양의 연구 결과를 축적했다. 그러나 양적인 팽창만큼 연구 내용의 질적인 측면에서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사적 고찰을 통해 연구 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서, 텍스트언어학의 질적 발전을 도모하는 데 기여한다.
    본 연구의 한국 텍스트언어학사 기술을 계기로 언어학사 기술, 더 나아가서 개별 학문의 역사기술에 대한 관심을 제고함으로써 학문 발전의 기포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의 방법과 내용은 언어학사(학문사) 기술에서 요구되는 객관성 확보와 분석 기준의 마련 등 관련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논의를 촉진하고, 해당 분야 연구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데 도움이 된다.
  • 색인어
  • 텍스트언어학, 한국 텍스트언어학 연구, 텍스트, 텍스트학, 텍스트종류연구, 텍스트성, 응집성, 응결성, 상호텍스트성, 의도성, 수용성, 상황성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