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590&local_id=10010981
협동대화를 통한 문법형태에 대한 집중: 학습성과 및 과제효과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협동대화를 통한 문법형태에 대한 집중: 학습성과 및 과제효과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한영주(영산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114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5년 12월 1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5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제2 언어습득(SLA) 분야에서 학습자들이 학습목표 문법형태를 인식하였을 때 학습성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되었지만 실제로 수업현장에서 학습자로 하여금 학습목표가 되는 문법형태에 집중, 인식하게 하는 효과적인 수업방식에 대해서는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교사들은 수업현장에서 의사소통 수업방식을 고수하면서 동시에 학습자에게 문법을 가르칠 수 있는 효과적인 수업방식을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제2 언어수업에서 소홀히 다루었던 문법을 효과적으로 가르치는 수업방식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수업방식을 유지하면서 문법에 집중하게 하는 2가지 과제 (grammar-discovery과제와 dictogloss과제)를 비교하여 학습성과를 조사했다.

    연구 결과, dictogloss과제 집단도 어느 정도 학습 성과를 보였지만 이 집단에 비해 grammar-discovery과제 집단이 통계적으로 유효한 차이의 학습성과를 보여주었다. 특히, grammar-discovery 집단은 본 연구에서 사용된, 문법에 대한 지식(explicit knowledge) 측정 테스트에서 뿐만 아니라 실제 발화에 관련된 지식(implicit knowledge) 측정 테스트에서도 학습성과를 보여주었다. grammar- discovery과제가 학습자들로 하여금 목표언어로 의사소통하게 하면서 동시에 목표문법 학습에 효과가 있다는 시사점 외에 SLA 연구 방법론상의 시사점, factor analysis에 의해 oral elicited imitation 테스트가 implicit knowledge의 척도가 될 수 있다는 점이 검증되었기 때문에 이 테스트를 SLA 연구 혹은 수업에서 학습자의 implicit knowledge를 측정할 때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본 연구에 의해 제시되었다.

    Swain과 Lapkin(2001)의 결과와 더불어 본 연구의 결과도 dictogloss과제가 학습자들에게 학습목표 문법에 집중하게 하는 데에 별로 효과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Ellis(2003)는 dictogloss 과제 수행 후 학습효과에 대한 증거가 아직 제시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는데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런 Ellis의 주장과도 부합되었다.
  • 영문
  • Over the last decade or so, there have been a number of theoretical debates within the field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SLA) that have focused on the role of consciousness in second language(L2) development. Such theoretical debates led to a number of empirical studies that attempted to study the role of consciousness in learning (Fotos, 1993, 1994; Fotos & Ellis, 1991; Loschky & Bley-Vroman, 1993; Robinson, 1996; Van Patten & Cadierno, 1993). These studies demonstrated that directing learner attention to form and raising their consciousness about specific features of the target language(TL) aided their acquisition.

    These findings present a dilemma for many teachers who have become committed to the use of communicative approaches to language learning, wherein learners are given a rich variety of comprehensible input, and teacher-fronted grammar instruction is generally omitted. This study therefore considers two tasks that would lead learners to focus on form without losing sight of the meaning they are trying to convey: grammar-discovery task and dictogloss tas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ctogloss task was effective in enhancing explicit and implicit knowledge to some extent but further analyses showed that the learners have not acquired the target structure yet. The results from the grammar-discovery task group showed that the learners improved their performance in both explicit and implicit knowledge measures. When the two tasks were compared the two task groups generated large differences in gains in learning. Two communicative tasks which aimed at raising the consciousness of learners about problematic grammar features were anticipated to lead learners to a focus on form and produce similar gains in learning of the target structure. However, the grammar-discovery task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test scores than the dictogloss task in both explicit and impicit knowledge measures over time.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eachers and researchers may be able to assess the extent to which instruction has contributed to the kind of implicit knowledge by means of oral elicited imitation tests used in the present study. The possibility of using discrete-item tests such as oral elicited imitation tests to measure implicit knowledge that learners have acquired should be of interest to teachers and SLA researchers.

    Th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ose of Swain and Lapkin(2001) which did not find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language-related episodes(LREs) observed in the dialogue resulting from a dictogloss task and a two-way information gap (jigsaw) task. Nor wa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task outcomes (the stories the students wrote) or in post-test measurements of the target structures. It is clear that the dictogloss task is an effective means of getting learners to talk about linguistic forms (Kowal & Swain, 1997; Swain, 1998). However, the study showed that there is little evidence to support the claim that dictogloss/text-reconstruction tasks benefit acquisition if the measure of this is performance in post-tests as suggested in Ellis(2003).

    References
    Ellis, R. (2003). Task-Based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Fotos, S. (1993). Consciousness-raising and noticing through focus on form: Grammar task performance versus formal instruction. Applied Linguistics, 14(4), 385-407.

    Fotos, S., and Ellis, R. (1991). Communicating about grammar: A task-based approach. TESOL Quarterly, 25, 605-28.

    Loschky, L., and Bley-Vroman, R. (1993). Grammar and task-based methodology. In G. Crookes, and S. Gass (eds.), Tasks and language learning: Intergrating theory and practice.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Robinson, P. (1996). Consciousness, Rules and Instructe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New York: Peter Lang.

    Van Patten, B., and Cadierno, T. (1993).

    Swain, M., and Lapkin, S. (2001).









    p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e study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grammar through two tasks, which can be considered communicative even if learners focus quite explicitly on form. Learners were assigned to two treatment groups: dictogloss task and grammar-discovery task. They performed one of the two tasks through collaborative dyadic dialogue. The learners took pre-tests before they performed the task, then post-tests, and delayed-tests one week later. Learning after the treatment was measured in terms of two types of knowledge: explicit and impicit. The target structure chosen was psychological verb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ctogloss task was effective in enhancing explicit and implicit knowledge to some extent but further analyses showed that the learners have not acquired the target structure yet. The results from the grammar-discovery task showed that the learners improved their performance in both explicit and implicit knowledge measures. When the two tasks were compared, the two task groups generated large differences in gains in learning. Two communicative tasks which aimed at raising the consciousness of learners about problematic grammar features were anticipated to lead learners to a focus on form and produce similar gains in learning of the target structure. However, the grammar-discovery task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test scores than the dictogloss task in both explicit and implicit kniowledge measures over time. The better learning outcomes with the grammar-discovery group may lie in the procedure the learners are engaged in performing the task. The learners in the grammar-discovery group were expected to utilize intellectual effort to understand the targeted feature. When they misunderstood or did not understand completely the grammatical structure, they were led to clarification in the form of further data and description or explanation.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지난 30여년간 SLA 이론을 지배해왔던 Krashen의 이론이 수업현장에서 교사들을 만족시키지 못함에 따라 다른 이론들이 제기되었고 그 결과로 SLA 분야에서 문법의 역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오랜 기간 동안 의사소통 위주의 영어교육을 시행한 후 교사들은 문법수업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이론적인 논쟁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교사들은 매일의 수업현장에서 보다 효과적인 문법 수업방식을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룬 grammar-discovery 과제 및 dictogloss 과제는 의사소통 수업방식의 틀 안에서 의사소통 능력 배양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이 문법에 맞는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한다고 생각하는 교사들에게 효과적인 문법수업을 위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해외에서는 'focus-on-form' 연구가 많이 시행되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별로 시행되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가 'focus-on-form'연구에 더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그 결과로 효과적인 문법 수업방식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오랫동안 SLA 연구자들은 implicit knowledge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왔다. 이는 실제의 대화에서 발화능력을 측정하는 것이 쉽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영어수업이 의사소통 능력 배양 위주로 진행됨에 따라 그 필요는 더욱 절실했었다. 본 연구에서 시용된 oral elicited imitation test는 SLA 연구 방법론상의 발전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에 의해서도 implicit knowledge 척도로 타당성이 입증되었으므로 SLA 연구자나 교사들의 필요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문법형태에 대한 집중(focus-on-form), grammar-discovery task, dictogloss task, oral elicited imitation test, 문법성 판단테스트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