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593&local_id=10012792
정치철학적 측면에서 본 栗谷과 茶山의 만남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정치철학적 측면에서 본 栗谷과 茶山의 만남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조남욱(부산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116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3월 1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논문은 조선조 유학계의 실상을 파악함에 있어서 개인 중심 또는 학파 중심적 연구 경향을 넘어서 큰 유학자 상호간의 소통성을 탐색하려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그 두 인물로서 성리학을 대표하는 李栗谷과 실학을 대표하는 丁茶山을 주목하였다. 이들의 경우, 시대와 학풍이 달랐어도 내면적으로는 유교 경전에서 지향하는 정치적 이상사회와 참된 儒者像 및 정치발전의 개혁의식을 공유했다는 사실을 논증할 자료가 풍부했기 때문이다. 특히 그들이 남긴 각종의 방대한 분량의 논저 이면에는 과거와 현재를 직시하며 미래를 건설하는 정치철학적 요소들이 심층적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필자는 주로 이러한 측면을 고찰하여 ‘만남’이라는 용어로서 그 정치철학적 사유구도를 따라 양자간의 소통성을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다산은 율곡의 학행에서 그 어느 것도 비판하는 입장을 취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리기론에 대해서도 퇴계설과 같이 수긍하는 모습을 보일 정도로 호의적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그러한 태도는 그의 정치철학 전개의 경우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율곡과 다산의 정치철학적 만남의 요소로서는, 첫째 기본적으로 ‘爲政在人’의 명제와 왕권안정의 현실을 전제하며 ‘修己治人’의 논리가 활용되었던 점, 둘째 도덕적 가치구현과 정치적 사회안정을 향한 ‘隋時處變’論이 강조되고 있었던 점, 셋째 그러한 변화는 곧 誠實과 實踐의 태도로서만이 완성될 수 있다고 보았던 점, 넷째 경장론과 개혁론의 중심에는 항상 백성이 함께 의식되고 있었으며 특히 다면적 평가의식이 깊이 작용하고 있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었다.
    이들은 결국 誠實을 기반으로 한 이상과 현실, 앎과 실천, 전통과 개혁 등의 양면성이 높은 단계를 향해 하나로 지향되는 성격을 가지는 것으로서 조선조 정치문화의 전변을 발전시킬 수 있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 영문

  • Yulgok's Encounter with Tasan from the View of Political Philosophy

    Yulgok Yi-Yi(李珥 1536~1584) was a member of the metaphysic school in Chonsun Dynasty. And Tasan Cheong-Yagyong(丁若鏞 1762~1836) was a member of the positive school in that time. In spite of discrepancy on life period and Confucian school they had the mutual understanding view point of political philosophy.
    Yulgok and Tasan ware much alike in governing with benevolence of Confucianism. Their thinking of political theory was expressed for it through the reconfirmation of Confucian classics. Especially they emphasized that the ruler cultivates himself so as to give rest to all the people. Yulgok and Tasan had the same view of consolidating political knowledge and behavior in government. Therefore, the empty theory was rejected and the practical theory which was pursued on their thought. They had diverted the preconception of Yâo(堯)·Shun(舜) from inactivity to activity. Yulgok and Tasan ware very much alike as a reformist group. They thought that the ruler must remedy abuse in the out-dated laws. Because, in the case of overlooking this point of view they were convinced that the national prosperity and the welfare of the people could not secured in Chonsun Dynasty. Yulgok and Tasan attached importance to the livelihood of the people. The main point of their reformation was the stabilization of the people's livelihood. And they applied public estimation to the theory of political develop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논문은 조선조 유학자의 세계를 파악함에 있어서 지금까지의 개인 또는 학파 중심적 연구 경향을 넘어서 큰 유학자 상호간의 소통성을 탐색해 보려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그 중심 대상으로서는 성리학을 대표하는 李栗谷과 실학을 대표하는 丁茶山을 주목한 것이다. 조선조 유학의 위상을 드높인 이들의 경우, 시대와 학풍이 달랐어도 내면적으로는 유교 경전에서 지향하는 정치적 이상사회와 참된 유학자상 및 정치발전의 개혁의식을 공유했다는 사실을 논증할 자료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특히 그들이 남긴 각종의 방대한 분량의 논저 이면에는 과거와 현재를 직시하며 미래를 건설하는 정치철학적 요소들이 심층적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필자는 주로 이러한 측면을 고찰하여 ‘만남’이라는 용어로서 그 정치철학적 사유구도를 따라 양자 소통의 동질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일찍부터 다산은 율곡의 학행에서 그 어느 부분도 비판하는 입장을 취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리기론에 대해서도 퇴계설과 같이 수긍하는 모습을 보일 정도로 호의적이었으며, 나아가 유가적 성군정치를 향한 정치철학 전개의 경우에서도 다른 바 없었다. 즉 율곡과 다산의 정치철학적 만남의 요소로서는, 첫째 기본적으로 ‘爲政在人’의 명제와 왕권안정의 현실을 전제하며 ‘修己治人’의 논리가 활용되었던 점, 둘째 도덕적 가치구현과 정치적 사회안정을 향한 ‘隋時處變’論이 강조되고 있었던 점, 셋째 그러한 변화는 곧 誠實과 實踐의 태도로서만이 완성될 수 있다고 보았던 점, 넷째 경장론과 개혁론의 중심에는 항상 백성이 함께 의식되고 있었으며 특히 다면적 평가의식이 깊이 작용하고 있었다는 점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결국 성실성을 기반으로 한 이상과 현실, 앎과 실천, 전통과 개혁 등의 양면성이 높은 단계를 향해 하나로 지향되는 성격을 가지는 것으로서 조선조 정치문화의 전변을 발전시킬 수 있었던 것임은 물론이요, 오늘날에도 위민정치 전개를 위한 정치인의 자질함양 차원에서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본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자식들에게까지 율곡의 학행을 강조했던 다산의 율곡관은 정치발전론 전개의 내부요인 즉 정치철학적 측면에서도 ‘만남’의 모습을 낳게 하였다. 특히 율곡이 정치발전론 곳곳에서 ‘務實’을 강조하고 있었던 점은, 그야말로 실학자와 다를 바 아니었고, 다산의 행동 중심적 사고체계는 그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堯舜之治’ ‘仁政’으로 지칭되는 이상사회를 향한 율곡과 다산의 정치철학은 경전의 본의를 재확인하고 역사 속의 正邪를 직시하며 현실에 개혁론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구체화되고 있었다. 시대와 학풍을 넘어서 율곡과 다산 사이에 ‘만남’이라는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정치철학적 소통요인은 다음과 같이 확인되었다. 첫째, 율곡과 다산의 정치철학적 사유구조는 ‘爲政在人’의 명제와 왕권안정의 현실을 전제하여 ‘修己治人’의 논리로 전개되고 있었다는 점이다. 율곡은 특히 이러한 논리를 따라 『성학집요』의 기본내용을 구성하는 것이었고, 다산은 자신의 저술에서 경학부분은 ‘수기’의 내용으로 一表二書는 ‘치인’의 내용으로 천명하고 있었던 것이다. 둘째, 도덕적 가치구현과 정치적 사회안정을 동일시하며 특히 현실적인 ‘隋時處變’論에 인식이 같았다는 점이다. 율곡과 다산은 생존의 변화 원리를 깊이 헤아리며 성실히 따르는 태도를 삶의 正道로 보았으니, 이를 따라 경장·변법의 개혁론이 개진될 수 있는 것이었다. 셋째, 그러한 변화는 곧 誠實과 實踐으로 완성되어야 한다고 보았다는 점이다. 율곡의 무실주의와 다산의 행동주의는 그 동질적 표상이었다. 그들은 위정자의 실천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無爲의 堯舜’에서 ‘有爲의 堯舜’으로 관점을 전환시키는 데에도 태도를 같이하였다. 넷째, 그 실천론의 중심에서는 항상 백성을 의식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民瘼’의 해소를 정치의 제일과제로 인식한 율곡과 다산은 마치 왕실과 조정을 향한 백성의 대변자인 양, 그 모든 개혁론의 핵심에서는 항상 민생문제를 거론하고 있었다. 이를 뒤로하고서는 율곡의 상소문이나 다산의 一表二書는 애초부터 나타나기 어려웠던 것이다. 다섯째, 그와 같은 변화와 민생 중시의 개혁론 저변에는 바로 평가주의가 깊이 작용하고 있었던 점에서 또한 율곡과 다산의 만남을 볼 수 있었다. 율곡은 그 영역을 교육자에까지 넓혀 오늘날의 ‘교사평가제’와 같은 시안을 발의하는 것이었고, 다산은 공직자의 복무 내용 그 모든 것을 바로 평가대상으로 삼는 考績論을 전개하였다. 이상과 같은 율곡과 다산의 정치철학적 만남 그 핵심에서는 성실성을 기반으로 한 이상과 현실, 앎과 실천, 전통과 개혁 등의 양면성이 하나로 지향되고 있었다는 점에서 그 보편적 의의가 드높다. 따라서 이러한 측면의 연구는, 학파주의·분열주의적 태도에서 회통주의·보편주의의 차원으로 그 관점을 넓히는 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선조 유학의 진면목을 오늘에 되살려 爲民을 향한 정치문화 발전에 공헌할 수 있다고 평가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활용성을 갖는다. ① 조선시대의 유학사상사 및 정치사상사 연구 확장의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② 정치철학 관련의 논의를 다양화하고 활성화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율곡과 다산이 공통적으로 보인 정치비판과 그 개혁방안은 진정한 정치문화 발전을 위한 현대인의 관심을 고조시키기에 충분할 것이다. ③ 각종의 교육자료와 연수교재 개발의 중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한국사상 및 전통윤리 담당 교사 연수는 물론, 자기 혁신을 꾀하는 정치인 워크샵에서 그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대본으로서의 가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④ 선현의 세계를 이해하는 지식인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성리학자로서의 율곡과 실학자로서의 다산은 학파의 제한성을 넘어 仁政 구현에의 선봉장으로 확인되므로 오늘의 지식인에게 그 지도 역량을 드높이는 하나의 모델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율곡, 다산, 정치철학, 수기치인, 무실주의, 개혁정신, 민생주의, 경장론, 성실성, 인정, 민막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