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639&local_id=10011711
하인리히 하이네가 바라본 19세기 중엽의 음악문화 - 음악사회학적 관점으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하인리히 하이네가 바라본 19세기 중엽의 음악문화 - 음악사회학적 관점으로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홍경(한양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264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4월 24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음악사회학이 학문적인 토대를 마련하기 전에 하이네는 음악 사회학적 관점을 열어놓았지만 이제까지 그가 음악과 사회의 관계를 성찰했으며 음악이 그에게 있어 사회를 읽어내는 하나의 통로의 역할을 한다는 사실은 거의 알려지지 못했다. 그의 음악비평은 음악과 사회는 서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음악은 이러한 사회와 분리되어서는 존재할 수 없다는 전제조건 하에서 출발한다. 음악 사회학적 고찰은 그에게서 선구적으로 엿보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하이네의 글을 고전적인 위치로 파악하고 음악 사회학적 고찰의 선구자로서 하이네의 위상을 재정립해 보고자 시도했다. 본 연구는 하이네가 어떻게 음악을 순수 영역이 아니라 음악을 둘러싼 폭넓은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테두리 속에서 조명하며 당시 음악생활상의 관찰을 통해서 음악 속의 시대적 징후를 읽어내고자 했는지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대략적으로 요약해 보자면 다음과 같다.
    1. 하이네는 현재와 밀접하게 관련지어 작곡가들의 역사와 사회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하는지를 따진다. 작곡가와 음악작품은 보다 폭넓은 사회적 맥락 속에 자리매김되고 이 맥락으로부터 가치평가가 도출되는데 음악이 역사적, 사회적 진보에 기여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관심의 초점이 기울여지게 된다. 로시니, 마이어베어의 음악이 내포하고 있는 정치적 함의를 드러내고 그 사회적, 정치적 역할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2. 시민계층의 음악문화는 사회적으로 시민계급의 해방과 함께 출현하였다. 경제적, 사회적 구조변혁이 이끌어낸 청중의 변화를 통해 음악의 생산 및 소비구조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랑 오페라, 스크리브 음악의 고찰을 통해 살펴보았다. 하이네는 경제적 부를 축적한 부르주아라는 새로운 청중들의 등장과 이들의 문화적 여가에 대한 욕구는 공공연주회라는 새로운 연주회형식을 태동하게 만들고 음악장르의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고 본다. 그는 봉건적 예속으로부터 해방된 예술이 마침내 자본주의적 생산방식 속에 통합되면서 겪게 되는 상업화와 물신화과정을 날카롭게 통찰하였고 또 부르주아계층의 문화적 욕구는 예술의 진정한 향유가 아니라 소비 및 과시적 욕구 소비일 뿐이라고 비판하였다. 시민사회가 자유로운 예술을 펼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으면서도 한편으로 드러나는 시민사회의 음악적 속물성에 대해 비판을 감추지 않는 하이네의 음악비평을 통해 현대의 음악문화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3. 음악구조가 변모했다는 사회사적 성찰을 바탕으로 19세기 중엽의 프랑스 파리에서 형성된 음악문화에 관한 아주 흥미로운 논평을 한 하이네의 음악비평은 현대의 음악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출발점을 제공하고 있다. 왜냐하면 현대의 할리우드라 부를 수 있는 19세기 당시의 문화중심지 프랑스 파리에서 영위된 음악문화는 오늘날의 문화산업의 원형적 양상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문화산업의 원형적 현상이 들어나는 예로서 비르투오소 숭배, 마이어베어의 언론플레이, 언론의 상업화 경향을 분석하게 된다. 현대의 문화산업의 최초의 비판자로서 하이네의 음악문화에 대한 비판이 오늘날의 우리에게도 여전히 설득력을 지니고 있음을 밝혔다.
    4. 자유와 평등 속에서 문화가 물질적인 이해관계와 맞물려 예술의 자율성으로부터 소외되고 물신화되는 흐름에 휩쓸리는 시대 속에서 청중이라는 소비자에 조정당하지 않은 채 음악의 본질적인 진실을 지킨 예술가로서 쇼팽이 칭송된다. 음악이 상품화되어 가는 현실 속에서 하이네가 쇼팽의 음악을 통해 어떻게 음악의 자율성을 지키고자 시도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하이네가 음악을 사회 속에 존재하고 사회의 영향을 받으며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예술로 이해하며 음악에 대한 사회적 견해를 표명한 선두주자였음을 밝히고자 시도하였다. 이와 더불어 시대의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지적 삶에 불어 닥친 변화들을 깊이 있게 통찰하고 예술과 삶의 상관관계를 모색하고자 치열한 고민을 하며 당대의 음악문화에 가한 하이네의 문화비판을 현대의 모습을 되돌아볼 수 있는 하나의 반성적 기회로 삼을 수 있는 계기로 삼을 수 있도록 그의 음악비평을 연구하였다.
  • 영문
  • Heines Auseinandersetzung mit der Musik verdient eine Werteinschaetzung, denn seine Kritik der Pariser Musikkultur in der Mitte des 19. Jahrhundert ist Teil des Erscheinungsbildes der Epoche. Das neue Phaenomen einer modernen Kulturindustrie tritt seit den 1830er Jahren in den Vordergrund. Heines Aeusserungen ueber das zeitgenoessische Musikleben liefern Roentgenbilder der aufkommenden Kulturindustrie. Er betrachtet die Musik nicht isoliert, sondern in gesellschaftlichen Zusammenhaengen. Insofern nimmt seine kritische Musikkritik die Musiksoziologie im 20. Jahrhundert vorweg. Diese Arbeit versucht, seinem Blick des Musiksoziologen nachzugehen.
    Heine schreibt Rossini und Meyerbeer ueber zufaellige individuelle Gestalten hinaus die Rolle als allgemeine Repraesentanten des Kuenstlers zu und misst an ihnen die Einstellung zur Wirklichkeit. Die Musik Rossinis und Meyerbeers wird nach der jeweiligen Vorherrschaft der Melodie oder der Harmonie kontrastiv dargestellt. Die individuelle Musik Rossinis drueckt reine individuellen Gefuehle und seine eigenen Interessen aus. Sie enthaelt keinen Zusammenhang zwischen Individum und Allgemeinheit. Im Gegensatz dazu manifestiert sich in der sozialen Musik Meyerbeers der Sinn der gegenwaertigen Ereignisse und das allgemeine Interesse der Menschen.
    Heine vermag die veraenderte gesellschaftliche Struktur des Publikums und dessen Beduerfnisse zu durchschauen. Das Publikum ist nun nicht mehr die Aristokratie, sondern die an die Macht gelangte Bourgeoisie. Am Beispiel der franzoesischen Grossoper verdeutlicht Heine die Folge der Herrschaft der Bourgeoisie fuer den Kulturbetrieb. Die Grossoper ist nichts anderes als konsumierbares Amuesement fuer das Publikum und die Konsequenz des Zugestaendnisses an den wohlfeilen Geschmack der Bourgeoisie. Er befuerchtet, dass durch die Demokratisierung der Kunst ihr eigenes Niveau selbst herabgestuft wird.
    Heine beobachtet, dass die zunehmende Vermarktung nicht nur die Rezeption, sondern auch die Produktion determiniert. Am Beispiel Scribe verdeutlicht Heine Profitdenken und Kommerzialisierung der Musik. Scribes Libretto reduziert sich im wesentlichen auf die Funktion von auswechselbarer Ware, die nur materiellem Interesse Rechnung traegt. Scribe ist ein typisches Exempel fuer den neuen bourgeoisen Kuenstler, der grossen Profit in einer eben entstehenden Kulturindustrie einsteckt. Heine erkennt als erster das Starwesen in Paris. Seine Aeusserungen ueber den Starkult um Pianisten im 19. Jahrhundert sind als Wurzeln des modernen Starkults zu betrachten. Er macht aus seiner Abneigung gegen die zeittypische Virtuositaet, mit der mangelnder Inhalt und innere Leere ueberdeckt wird, kein Hehl. Meyerbeer organisiert mittels ausgetueftelter Reklamestrategien seinen Ruhm. Heine nimmt am Beispiel Meyerbeers den problematisch gewordenen Charakter der oeffentlichen Meinung wahr. Er durchschaut den Funktionswandel der oeffentlichen Meinung, die nicht nur ein Mittel der allgemeinen Verstaendigung ist, sondern auch der Manipulation fuer bestimmte Interessen dienen kann. Waehrend Heine die alle Schoenheit und Fantasie bewahrende Musikwelt von Chopin darstellt, zielt er auf eine grundsaetzliche Kritik an der buergerlichen Gesellschaft. Heines Kritiken ueber die Phaenomene der Kulturindustrie, die er in Paris beobachtete, sind heute noch aktuel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음악사회학이 학문적인 토대를 마련하기 전에 하이네는 음악 사회학적 관점을 열어놓았지만 이제까지 그가 음악과 사회의 관계를 성찰했으며 음악이 그에게 있어 사회를 읽어내는 하나의 통로의 역할을 한다는 사실은 거의 알려지지 못했다. 그의 음악비평은 음악과 사회는 서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음악은 이러한 사회와 분리되어서는 존재할 수 없다는 전제조건 하에서 출발한다. 음악 사회학적 고찰은 그에게서 선구적으로 엿보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하이네의 글을 고전적인 위치로 파악하고 음악 사회학적 고찰의 선구자로서 하이네의 위상을 재정립해 보고자 시도했다. 본 연구는 하이네가 어떻게 음악을 순수 영역이 아니라 음악을 둘러싼 폭넓은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테두리 속에서 조명하며 당시 음악생활상의 관찰을 통해서 음악 속의 시대적 징후를 읽어내고자 했는지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대략적으로 요약해 보자면 다음과 같다.
    1. 하이네는 현재와 밀접하게 관련지어 작곡가들의 역사와 사회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하는지를 따진다. 작곡가와 음악작품은 보다 폭넓은 사회적 맥락 속에 자리매김되고 이 맥락으로부터 가치평가가 도출되는데 음악이 역사적, 사회적 진보에 기여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관심의 초점이 기울여지게 된다. 로시니, 마이어베어의 음악이 내포하고 있는 정치적 함의를 드러내고 그 사회적, 정치적 역할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2. 시민계층의 음악문화는 사회적으로 시민계급의 해방과 함께 출현하였다. 경제적, 사회적 구조변혁이 이끌어낸 청중의 변화를 통해 음악의 생산 및 소비구조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랑 오페라, 스크리브 음악의 고찰을 통해 살펴보았다. 하이네는 경제적 부를 축적한 부르주아라는 새로운 청중들의 등장과 이들의 문화적 여가에 대한 욕구는 공공연주회라는 새로운 연주회형식을 태동하게 만들고 음악장르의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다고 본다. 그는 봉건적 예속으로부터 해방된 예술이 마침내 자본주의적 생산방식 속에 통합되면서 겪게 되는 상업화와 물신화과정을 날카롭게 통찰하였고 또 부르주아계층의 문화적 욕구는 예술의 진정한 향유가 아니라 소비 및 과시적 욕구 소비일 뿐이라고 비판하였다. 시민사회가 자유로운 예술을 펼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으면서도 한편으로 드러나는 시민사회의 음악적 속물성에 대해 비판을 감추지 않는 하이네의 음악비평을 통해 현대의 음악문화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3. 음악구조가 변모했다는 사회사적 성찰을 바탕으로 19세기 중엽의 프랑스 파리에서 형성된 음악문화에 관한 아주 흥미로운 논평을 한 하이네의 음악비평은 현대의 음악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출발점을 제공하고 있다. 왜냐하면 현대의 할리우드라 부를 수 있는 19세기 당시의 문화중심지 프랑스 파리에서 영위된 음악문화는 오늘날의 문화산업의 원형적 양상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문화산업의 원형적 현상이 들어나는 예로서 비르투오소 숭배, 마이어베어의 언론플레이, 언론의 상업화 경향을 분석하게 된다. 현대의 문화산업의 최초의 비판자로서 하이네의 음악문화에 대한 비판이 오늘날의 우리에게도 여전히 설득력을 지니고 있음을 밝혔다.
    4. 자유와 평등 속에서 문화가 물질적인 이해관계와 맞물려 예술의 자율성으로부터 소외되고 물신화되는 흐름에 휩쓸리는 시대 속에서 청중이라는 소비자에 조정당하지 않은 채 음악의 본질적인 진실을 지킨 예술가로서 쇼팽이 칭송된다. 음악이 상품화되어 가는 현실 속에서 하이네가 쇼팽의 음악을 통해 어떻게 음악의 자율성을 지키고자 시도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하이네가 음악을 사회 속에 존재하고 사회의 영향을 받으며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예술로 이해하며 음악에 대한 사회적 견해를 표명한 선두주자였음을 밝히고자 시도하였다. 이와 더불어 시대의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지적 삶에 불어 닥친 변화들을 깊이 있게 통찰하고 예술과 삶의 상관관계를 모색하고자 치열한 고민을 하며 당대의 음악문화에 가한 하이네의 문화비판을 현대의 모습을 되돌아볼 수 있는 하나의 반성적 기회로 삼을 수 있는 계기로 삼을 수 있도록 그의 음악비평을 연구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음악사회학의 지평을 넓히는 디딤돌: 음악의 자율성을 인정하는 동시에 음악을 사회문화적 환경에 의해 형성되는 시대의 산물로 보며 음악을 고찰하는 하이네의 접근방식은 현대의 음악사회학에 있어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의 음악비평의 연구를 통해 예술의 특성과 자율성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곤 하는 음악사회학적적 접근과 예술의 사회적 측면을 간과하는 음악 미학적 접근 모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단초를 제시하게 될 것이다. 음악에 대한 사회적 견해를 표명한 선구자로서의 하이네의 위상을 재정립함으로써 음악사회학의 기초를 제공하며 음악 사회학적 연구의 지평을 다양한 시각에서 확대하고 풍부하게 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2. 독일문학 연구의 지평확대: 하이네는 음악뿐만 아니라 연극, 문학, 회화 등 다양한 장르에 관심을 보였다. 음악비평에서 하이네의 사회적 관심이 반영된 것처럼 미술, 연극, 문학이라는 영역 속에서도 19세기 시대를 관통하는 사회학적 주제들이 드러난다. 예술과 사회는 각각 독립된 패러다임이 아니라 이 두 분야는 하나의 지점에서 만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물이 제공하는 기본적인 틀과 방법론들은 음악에만 제한되지 않고 미술, 연극, 문학 분야로 그 분석대상을 넓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각 개별 영역에서 도출된 결과물들을 크게 예술 사회학적 관점으로 통합하여 연구할 수도 있을 것이다.
    3. 학제 간 연구가능성의 마련: 예술분야 상호관계로 시각을 넓혀가야 하는 시대적 요청에 직면해 하이네의 음악비평을 고찰하는 것은 학제간 접근의 좋은 모델을 제시한다. 왜냐하면 하이네에게는 음악, 철학, 미술을 비롯한 다양한 인식들이 분리 불가능할 정도로 융합되어 있으며 상호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학문사이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철학, 문학, 미학, 예술 등을 자신의 저서 속에 융화시킨 하이네의 저술은 현재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들을 서로 접목시켜 연구할 수 있는 학제 간 연구가능성을 마련해준다. 인문학적 관심을 가지고 하이네의 음악비평을 음악사회학적 시각으로 고찰하고자 하는 본 연구를 통해 음악사회학적 담론을 활성화시킬 계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4. 건전한 비평문화의 정착: 하이네는 전문적인 예술비평을 지향하기 보다는 보다 많은 사람들이 쉽게 감상할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는 비평을 추구하였다. 이를 통해 독자들과의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하며 시대와 함께 호흡하고 대중에게 영향을 미치고자 했던 것이다. 이러한 하이네의 태도는 삶과 음악의 관계를 회복시킬 수 있는 음악비평의 중요한 입장과 기준을 제시해준다. 온갖 미사어구를 동원해 예술가를 홍보하는 수단으로 전락한 당시의 저널리즘비판은 우리의 비평과 비평문화의 아픈 부위를 지적해주며 우리를 일깨워 치열한 자기반성을 할 수 있는 계기를 제시해 준다.
    5. 현대의 문화를 조망해 볼 수 있는 단초: 하이네는 대중예술과 순수예술이라는 양극화현상에 대한 반성을 하며 이 둘의 상호필요성을 강조한다. 하이네의 고민은 우리 자신의 시대적 고민과 무관하지 않으며 그 타당성을 잃지 않고 있다. 예술이란 고유영역의 자율성을 유지하면서도 대중에게 다가서야 하는 이중적 의무를 짊어지고자 했던 하이네의 태도는 오늘날 어떻게 대중음악과 순수음악과의 관계를 재정립할 수 있을지 하는 문제에 하나의 방향을 제시해 줄 것이다.
  • 색인어
  • 음악문화, 음악사회학, 문화산업, 음악의 자율성, 비르투오소, 로시니, 마이어베어, 쇼팽, 리스트, 스크리브, 그랑오페라. 언론플레이, 음악의 상품화, 피아노 중독증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