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646&local_id=10012044
러시아어 의문문의 대화 기능 연구: 질문을 가장한 간접화행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러시아어 의문문의 대화 기능 연구: 질문을 가장한 간접화행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남경(충북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277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4월 28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질문이란 특정 정보에 대한 화자의 무지 상태를 표현하고 청자에게 정보를 제시해줄 것을 요구하는 화행으로서, 그것의 표현형식, 의문문은 ‘запрос информации‘라는 불변의미를 지닌다. 질문의 적정조건이 성립되고 문자적 힘의 가설에 따라 언표내적 효력과 언어적 지시체 간의 일대일 대응관계가 성립되는 조건 하에서 의문문은 순수한 의미에서의 질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러시아어에서 질문의 직접 화행은 불변의미의 발현정도, 구조적 특성에 따라 Wh-의문문, Yes-No 의문문, 선택 의문문의 형식으로 구체화되는 순수한 의미의 질문과, 질문화행의 주변부를 구성하는 시험 질문, 확인질문, 메아리 질문, 예비 질문, 의식적 질문으로 나누어진다. 그런데 실제 발화상황에서는 직접화행 이외에도 의문문의 형식을 빌어 단언을 하거나 명령을 하는 등 질문과 상이한 언표내적 효력을 표현하기 위해 의문문에 의존하는 일반적 경향이 발견된다. 간접화행으로 활용되는 러시아어 의문문 유형은 촉구의문문, 수사의문문, 정서적 의문문, 접촉성 의문문으로 요약된다. 촉구의문문은 명령법의 직접적인 표현을 피하고 완곡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청자의 거부감 없이 자신의 언표내적 의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려는 데에서 그 발생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것은 언표내적 의도를 보다 확실하게 전달하려는 의사소통의 명확성과 공손원칙(politeness principle)을 준수하면서 청자의 반감 없이 자신의 언표내적 목표를 보다 잘 달성하려는 의사소통의 효율성 사이의 적절한 타협점으로 나타난다. 한편 청자에게서 응답을 이끌어낼 수 없는 질문을 함으로써 오히려 청자의 언어적 반응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수사의문문은 의미적으로 명제내용의 긍정/부정성이 역행되는 현상이 나타나며 강한 정도의 확신을 표출함으로써 대화자를 설득(persuasion)하는 강력한 효력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정서적 의문문은 대화상대방의 선행 행위에 대한 평가와 연계되어, 이 행위의 중단을 촉구하는 바램을 표현함에 있어 화자의 다양한 감정을 표출하고, 이에 상응한 청자의 정신적 반응을 야기하는 효력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정보를 도입하고 대화를 유지하며 청자의 이해도를 점검하는 접촉성 의문문은 화자와 청자 간의 대화 결속력을 확보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반드시 청자의 반응을 전제하는 의문문의 일반 특성은 객관적으로 사실을 기술하는 단언에 비해 청자를 설득하거나 청자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매우 효과적인 대화적 책략으로 기능한다. 의문문은 <제안-부탁-요청-요구-명령>의 의미 스펙트럼과 <단정-추정-의아-의심-질문>의 광범위한 의미 스펙트럼을 가지게 되고, 여기에 특정 화맥이 개입되면 의미 스펙트럼의 중도 단계에 위치하면서 매우 다양한 의미를 표현한다. 이 같은 현상은, 그 의미가 명제의 진리치 개념과 연계되는 평서문과 달리, 의문문은 청자의 응답을 통해서만 진리치가 판별되는, 열린 명제로 생각되는 매우 일반적 성격을 띠므로 다른 언표내적 효력과 모순관계에 놓이지 않기 때문이다. 즉 의문문은 다양한 화맥 특성에 따라 그 의미가 미묘하게 달라지는 맥락변화의 잠재력을 가지고 여기에 촉구, 단언, 감정 같은 다양한 부차적 의미성분이 결합된다. 즉 질문화행의 불변의미인 "запрос информации"가 중화되는 현상이 나타나 매우 다양한 언표내적 효력을 표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e the various meanings which interrogative sentences might imply in the contexts. To this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scribe systematically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interrogative sentences by contrasting direct speech acts to indirect speech acts. The interrogative sentences are defined as a linguistic form to express the speaker's uncertainty about some information and the needs of that information. According to meaning of interrogative sentences on the basis of the context, interrogative sentences are grouped into two types: general interrogative sentences and special interrogative sentences. In direct speech acts interrogatives function as act of actual question. But in indirect speech acts interrogatives have different illocutionary forces and express various meanings. In indirect speech act interrogatives can be grouped into four types of acts: directive question, rhetorical question, emotive question, contact-question.
    The setting of rhetorical questions is always taking a negative form which is contradictory to the speaker's intention, thus the meaning of the rhetorical questions reflect on the speaker's attitude. Emotive questions also reflect on the speaker's negative attitude towards the hearer's behavior in the discourse. Contact-questions are used in order to attract hearer's attention to the conversation, to check hearer's comprehension. One of the main motivations for the existence if indirect speech acts in natural language is the desire on the part if interlocutors to preserve one another's face. Directive questions, which mostly take the form of questions, are the most important modes of expressing polite requests. In requests tact is required to ritually and symbolically demonstrate indirectness or politeness for smooth social interact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질문이란 특정 정보에 대한 화자의 무지 상태를 표현하고 청자에게 정보를 제시해줄 것을 요구하는 화행으로서, 그것의 표현형식, 의문문은 ‘запрос информации‘라는 불변의미를 지닌다. 질문의 적정조건이 성립되고 문자적 힘의 가설에 따라 언표내적 효력과 언어적 지시체 간의 일대일 대응관계가 성립되는 조건 하에서 의문문은 순수한 의미에서의 질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러시아어에서 질문의 직접 화행은 불변의미의 발현정도, 구조적 특성에 따라 Wh-의문문, Yes-No 의문문, 선택 의문문의 형식으로 구체화되는 순수한 의미의 질문과, 질문화행의 주변부를 구성하는 시험 질문, 확인질문, 메아리 질문, 예비 질문, 의식적 질문으로 나누어진다. 그런데 실제 발화상황에서는 직접화행 이외에도 의문문의 형식을 빌어 단언을 하거나 명령을 하는 등 질문과 상이한 언표내적 효력을 표현하기 위해 의문문에 의존하는 일반적 경향이 발견된다. 간접화행으로 활용되는 러시아어 의문문 유형은 촉구의문문, 수사의문문, 정서적 의문문, 접촉성 의문문으로 요약된다. 촉구의문문은 명령법의 직접적인 표현을 피하고 완곡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청자의 거부감 없이 자신의 언표내적 의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려는 데에서 그 발생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것은 언표내적 의도를 보다 확실하게 전달하려는 의사소통의 명확성과 공손원칙(politeness principle)을 준수하면서 청자의 반감 없이 자신의 언표내적 목표를 보다 잘 달성하려는 의사소통의 효율성 사이의 적절한 타협점으로 나타난다. 한편 청자에게서 응답을 이끌어낼 수 없는 질문을 함으로써 오히려 청자의 언어적 반응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수사의문문은 의미적으로 명제내용의 긍정/부정성이 역행되는 현상이 나타나며 강한 정도의 확신을 표출함으로써 대화자를 설득(persuasion)하는 강력한 효력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정서적 의문문은 대화상대방의 선행 행위에 대한 평가와 연계되어, 이 행위의 중단을 촉구하는 바램을 표현함에 있어 화자의 다양한 감정을 표출하고, 이에 상응한 청자의 정신적 반응을 야기하는 효력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정보를 도입하고 대화를 유지하며 청자의 이해도를 점검하는 접촉성 의문문은 화자와 청자 간의 대화 결속력을 확보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반드시 청자의 반응을 전제하는 의문문의 일반 특성은 객관적으로 사실을 기술하는 단언에 비해 청자를 설득하거나 청자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매우 효과적인 대화적 책략으로 기능한다. 의문문은 <제안-부탁-요청-요구-명령>의 의미 스펙트럼과 <단정-추정-의아-의심-질문>의 광범위한 의미 스펙트럼을 가지게 되고, 여기에 특정 화맥이 개입되면 의미 스펙트럼의 중도 단계에 위치하면서 매우 다양한 의미를 표현한다. 이 같은 현상은, 그 의미가 명제의 진리치 개념과 연계되는 평서문과 달리, 의문문은 청자의 응답을 통해서만 진리치가 판별되는, 열린 명제로 생각되는 매우 일반적 성격을 띠므로 다른 언표내적 효력과 모순관계에 놓이지 않기 때문이다. 즉 의문문은 다양한 화맥 특성에 따라 그 의미가 미묘하게 달라지는 맥락변화의 잠재력을 가지고 여기에 촉구, 단언, 감정 같은 다양한 부차적 의미성분이 결합된다. 즉 질문화행의 불변의미인 "запрос информации"가 중화되는 현상이 나타나 매우 다양한 언표내적 효력을 표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의문문이라는 서법 범주를 화용적으로 규정하여 언어 의미에 대한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다른 문장유형, 서법범주, 화행 연구로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단초를 마련해줄 수 있다. 또 언어연구에 있어서의 상황과 언어표현의 긴밀한 연계의 중요성을 환기시키고 새로운 방법론의 모색을 위한 담론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특히 의문문이 어떤 화맥에서 어떤 의미로 구체화되는지를 제시하고 직접화행과 간접화행의 차이가 화행에서 어떠한 의미양상으로 나타나는지, 그리고 직접적인 표현보다는 완곡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나타나는 공손성의 원리가 러시아어에서 어떤 규칙성을 가지고 관례화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이를 외국어 교수법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화자의 의도를 보다 명확히 파악하도록 하는 이론적 틀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화자의 의도를 곡해하여 일어나는 커뮤니케이션 상의 오류들을 바로잡고, 언어 상황 모델을 제시하여 상황에 따라 적절한 표현을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실질적인 외국어 학습교재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조명하여 대화의 기본 원리를 제공하고 러시아어 연구의 다양한 방법론을 현실화하며 다른 연구 영역으로의 확대 가능성을 점검하는 계기를 마련해주리라 생각한다. 또한 구체적인 화행 분석을 통한 대화의 원칙은 향후 외국어 교수법 이론으로 활용되어 실질적인 커뮤니케이션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질문 화행, 간접화행, 언표내적 효력, 촉구 의문문, 수사 의문문, 정서적 의문문, 접촉성 의문문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