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664&local_id=10011924
한중 서원건축의 비교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중 서원건축의 비교 연구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상해(성균관대학교& #40;자연과학캠퍼스& #41;)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D00062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10월 07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서원 태동의 배경, 서원 제도, 서원 경영, 서원의 기능, 서원의 입지 및 배치의 관점에서 한국과 중국의 서원을 비교한 것이다.
    서원 태동의 배경 관점에서 비교하여 보면, 중국과 조선의 서원은 공통적으로 과거를 준비하는 곳이 아니라 성리학을 제대로 연구하기 위한 장소로 삼기 위해 설립되었다. 그런데, 중국의 서원은 아직 성리학이 중앙정부로부터 인정을 받지 못하고, 사회에 뿌리를 내리지 못한 시기에 흥성하기 시작하지만, 조선시대의 서원은 조선 중기에 이르러 사림 세력에 의해 성리학이 꽃을 피우면서 건립되기 시작하는 점이 중국과 대조를 보인다.
    서원 제도의 관점에서 비교하여 보면, 조선시대의 서원은 주희의 서원관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바가 크다. 조선시대의 서원은 주희의 "백록동서원게시"를 "백록동학규"로 삼아 서원 교육의 목표로 삼았지만, 퇴계의 노력으로 주희가 제기한 중국의 서원제도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조선 특유의 서원으로 정립하였다.
    서원 경영의 관점에서 보면, 조선시대의 성리학자들은 주희가 은거(隱居)하고 강학(講學)했던 무이산(武夷山)을 가장 이상적인 자연으로 생각하고, 주희의 '무이구곡도'의 무이구곡과 같이 빼어난 산수를 갖춘 곳을 찾아 그 곳에 ‘구곡(九曲)’을 경영하였으나, 이러한 구곡 경영은 주희가 경영한 현장을 실제로 보지 않고 단지 문헌과 그림을 통한 것이었기 때문에 구곡이 지닌 자연 경관의 특성, 서원건축의 입지 조건 등에 대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이해를 하지 못한 한계를 안고 있다.
    서원의 기능의 관점에서 보면, 조선 시대의 서원은 기본적으로 중국 서원의 기능을 그대로 수용하지만, 일치하지 않는 점이 있다. 강학 기능 면에서 조선의 서원과 중국의 서원은 공통점을 갖지만, 조선의 서원은 공자와 그의 제자들을 포함한 성현도 모신 중국의 서원과 달리 선현만 모셨다.
    서원의 입지 및 배치의 관점에서 보면, 조선시대의 서원은 비록 배향(配享)하고자 하는 선현의 연고지에 설립되었지만, 산수가 뛰어난 곳에 세워졌다. 그런데, 이러한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세운 서원의 좌향과 건축형식은 중국과 조선이 다르다.
  • 영문
  •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rchitecture of Confucian private academies both in Korea and China in terms of the background of establishment, organization, siting, function, and spatial arrangement of Confucian private academy.
    Even though the Confucian private academies in China and Korea are established to be the places for individual learning and cultivation, they did not serve to prepare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 The Confucian private academies in Korea were emerged when Neo-Confucianism was firmly implanted. Nonetheless, the Confucian private academies in China were mostly established while Neo-Confucianism was not settled in Chinese society.
    Student life in the Confucian private academies was theoretically regulated by the rules drawn up for Zhu Xi's Bailudong academy, which was later developed by Yi Hwang to be particular Korean..
    Locations of the Confucian private academies were chosen in view of their connections with the sage to whom the academy was dedicated. In particular, to realize the ideal pointed at by Zhu Xi the landscape of Confucian private academies in Korea were very similar to the nine bends of the river near Wuyishan mountain in China, where Zhu Xi settled down and retreated.
    As for the ritual function of the Confucian private academies, the objects of veneration in Korea were eminent Confucian scholars in Korea deemed worthy of emulation, but not Confucius or his disciples as in that of Chin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서원건축을 비교 연구한 것이다. 조선시대의 서원은 조선왕조가 치국 이념으로 삼은 성리학이 조선 중기를 지나며 조선 사회에 정착하면서 사림 세력이 향촌에 건립한 사립 교육기구였다. 조선시대의 서원은 중국 서원제도의 영향을 받아 성립된 것이다. 그러나 인문ㆍ사회적인 배경이 중국과 달랐던 조선사회는 중국의 서원제도를 수용하면서 조선 특유의 서원을 성립시켰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서원태동의 배경, 서원 제도, 서원 경영, 서원의 기능, 서원의 입지 및 배치의 관점에서 한국과 중국의 서원을 비교한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물은 향후 중국의 건축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줌은 물론, 한국 전통건축의 정체성을 올바르게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에 더하여 서원 건축의 친환경적인 입지조건은 21세기 들어 더욱 요구되는 생태적이고 친환경적인 건축을 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조선시대 서원, 중국의 서원, 서원제도, 구곡, 성리학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