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665&local_id=10013696
건축의 교육과정과 설계스튜디오의 상관관계: 비평적 건축설계 교수법 개발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건축의 교육과정과 설계스튜디오의 상관관계: 비평적 건축설계 교수법 개발 | 2005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조승구(& #40;구& #41;동명정보대학교& #40;폐교& #41;)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D00064
선정년도 2005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7년 02월 13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7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대학은 개별적인 교육학적 방향과 내용이 이러한 요구들을 만족시키고 동시에 미래의 요구들을 기대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개별적인 고유한 건축 설계 교육의 방법론과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이전의 건축교육에서 적용되었던 단순화되고 구조화된 현실을 제시하여 지식의 추상화와 탈상황화 되었던 건축설계 교육은 교수가 지식을 어떻게 하면 잘 가르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두었다. 건축설계 교육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학생의 역할이다. 현재 미국의 각 대학들은 기존의 폐쇄된 지식체계로의 주입이 아니라 학생들이 역동적으로 발전하는 교육의 장에 참여하는 건축설계교육을 하고 있다. 즉 건축설계 교육에서 학생은 능동적이고 창조적이며, 개성과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간주하며, 따라서 건축설계교육에서 학생 개개인의 생각과 개념이 존중되고 그것이 작업 전반에 반영되는 것이 미국건축대학 교육의 특징이다. 또한 교수는 학생을 위한 안내자 또는 조력자 역할을 하므로 학생 개개인으로 하여금 기술이나 지식을 전수하는 것이 아닌 학생이 무한한 인식 또는 생각을 창조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건축 설계 교육이 특정한 시대에 주어지는 경험적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는 지식의 본질의 틀을 문헌을 통해 분석하고 제시할 것이며, 이 분석된 지식의 틀에 의하여 연구 조사될 세 개 대학의 건축설계 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을 구분하고 적용할 것이다. 이것을 현재 미국 내의 건축 설계 교육의 특성과 다양성의 분석의 참조로 활용하며, 또한 최근 3년간의 건축 설계 교육에 적용된 건축 설계 수업 계획서를 의존하여 분석의 주된 참조로 하였으며 과제 중에서 주택과 연관된 과제를 중심으로 서술하고 분석하였다.
  • 영문
  • Utilizing a design pedagogy known as the hidden curriculum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housing design studio, this paper provides a critique of the design studio model of education, where the selection of knowledge and ways are influenced by the school's direction and history. The architectural design studio is where a student tries to learn about architecture and how to do architecture. It is the place where one teaches architecture, including what one knows about creative behavior, design process, and design theory-all in relation to the necessary levels of consideration and decision-making required to do architecture. Through a housing design studio in Columbia, Georgia Tech, and Berkeley, the author tries to experiment with a new pedagogy for the design studio, attempting to set up the conditions to investigate not many issues of design, but the nature for design education itself, especially with regard to how knowledge is produced and disseminated. Finally, this paper provides insights into how the existing framework of the design studio might be challenged, permitting the development of a more various design pedagogy informed by competing educational discourses, a new range of situated issues, and a critical pedagog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대학은 개별적인 교육학적 방향과 내용이 이러한 요구들을 만족시키고 동시에 미래의 요구들을 기대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지고 개별적인 고유한 건축 설계 교육의 방법론과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이전의 건축교육에서 적용되었던 단순화되고 구조화된 현실을 제시하여 지식의 추상화와 탈상황화 되었던 건축설계 교육은 교수가 지식을 어떻게 하면 잘 가르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두었다. 건축설계 교육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학생의 역할이다. 현재 미국의 각 대학들은 기존의 폐쇄된 지식체계로의 주입이 아니라 학생들이 역동적으로 발전하는 교육의 장에 참여하는 건축설계교육을 하고 있다. 즉 건축설계 교육에서 학생은 능동적이고 창조적이며, 개성과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간주하며, 따라서 건축설계교육에서 학생 개개인의 생각과 개념이 존중되고 그것이 작업 전반에 반영되는 것이 미국건축대학 교육의 특징이다. 또한 교수는 학생을 위한 안내자 또는 조력자 역할을 하므로 학생 개개인으로 하여금 기술이나 지식을 전수하는 것이 아닌 학생이 무한한 인식 또는 생각을 창조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건축 설계 교육이 특정한 시대에 주어지는 경험적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는 지식의 본질의 틀을 문헌을 통해 분석하고 제시할 것이며, 이 분석된 지식의 틀에 의하여 연구 조사될 세 개 대학의 건축설계 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을 구분하고 적용할 것이다. 이것을 현재 미국 내의 건축 설계 교육의 특성과 다양성의 분석의 참조로 활용하며, 또한 최근 3년간의 건축 설계 교육에 적용된 건축 설계 수업 계획서를 의존하여 분석의 주된 참조로 하였으며 과제 중에서 주택과 연관된 과제를 중심으로 서술하고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 얻어진 설계기법들은 교수와 학생들에게 건축기술에 관계되는 과목, 건축이론에 관련되는 과목, 건축역사에 관련되는 과목, 도시맥락에 관련되는 과목 등을 총체적으로 아우르는 대화의 장소를 제공할 것이다.
    1) 연구결과물의 구체적인 형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연계할 것이다. 이를 전공교수, 대학의 행정부서, 설계사무소에 배부하여 설계, 문화적 맥락, 기술, 실무로 이어지는 교육체계 및 교육내용을 공지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수업하는데 활용할 것이다.
    i. 건축설계수업의 기본방향 및 원칙
    ii. 설계수업의 구성체계
    iii. 설계수업의 진행체계 및 반응 (Feed back) 체계
    iv. 건축설계 교육의 모델 제시
    2) 기대효과
    본 연구를 통하여 이제까지의 설계교육에서 미비점으로 지적되어온 이론과 실무사이의 괴리를 최소화하고 보다 현장에 밀착된 양자간의 통합된 교육이 가능해지리라 본다. 즉, 이제까지의 건축설계교육이 행해온 비현실적인 설계 방법론을 지양하고 보다 현실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건축교육시스템이 형성되어 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앞으로의 건축설계교육이 현실을 도외시한 예술지향주의적 관점에서 벗어나 보다 인간의 삶에 구체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 색인어
  • 미국 설계교육, 스튜디오, 지식, 담론, 경험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