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692&local_id=10012653
한국사회의 소비문화와 생활양식분석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한국사회의 소비문화와 생활양식분석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정로(고려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B00049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6월 01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자는 박사학위 논문에서 현대사회의 급속한 사회구조적 변동을 적절하게 다루기 위한 한 접근방법으로 생활양식분석에 관해 다루었다. 기존의 계급분석과 같은 사회구조적 접근으로는 다원화, 분화, 탈구조화, 개인화되고 있는 현실을 적절히 다룰 수 없음을 밝혀보았다. 급속한 사회구조적 변동과 함께 맞물려 있는 개인행위자들의 정체성 및 가치양식의 혼란을 다양한 각도에서 이해하기 위한 효과적인 접근으로서 생활양식분석을 대안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우리보다 먼저 근대의 모순문제가 나타나고 있는 독일사회에서의 논쟁을 통해 사회변동의 방향과 생활양식분석의 유의미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독일학계에서 이루어진 사회구조논쟁과 생활양식분석의 연구성과를 한국사회의 변동에 적용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위논문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한국사회의 구조적 변동을 소비문화의 변화와 관련지어 생활양식접근의 가능성과 현실성을 구체적으로 모색해보려는 것이다.
    본 연구의 제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독일에서 생활양식연구의 발전과 흐름을 정리하는 한편, 소비문화에 대한 이론적 흐름을 정리하려고 한다. 소비문화의 쟁점은 소비주체의 소비가 어디까지 자유를 표현하는 것인지 혹은 어디까지 상품관계에 의한 제약인지를 구별하는 것이다. 최근의 흐름은 제약보다는 자유의지의 표현 쪽에 무게를 싣고 있다. 즉 소비 자체보다 소비자의 문제가 핵심이다. 그리고 소비의 문화적 의미의 핵심은 이미지표출에 있다. 소비는 단순히 상품을 소비하는 것을 넘어 개인의 가치를 어떤 식으로든 표출하는 것이다. 즉 소비는 생활양식을 표현한다.
    제3장 ‘한국사회에서의 소비문화 논의의 발전’에서는 한국사회에서 이루어진 계급 및 계층분석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그래서 한국사회에서도 계급 및 계층분석에서 소비 및 문화분석으로 논의의 중심이 이동하고 있음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것은 물론 한국사회가 전형적인 산업사회적 모습에서 소비생활양식이 전체 사회체계의 조직원리로 기능하게 된 변화의 모습 때문이다.
    제4장 ‘한국사회의 소비문화와 생활양식분석’에서는 구체적인 경험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사회에서 나타나는 소비문화의 특징과 생활양식연구의 현재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한국사회에서의 소비문화의 구체적인 특징은 여전히 사회경제적 변수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그렇지만 중간계층과 젊은층을 중심으로 다원화된(탈계급적) 소비의 모습도 점차 많이 나타나고 있다. 다음으로 소비양식과 생활양식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를 활용하여 한국사회에서의 생활양식의 특징을 이해하려고 한다. 생활양식의 유형화보다는 생활양식의 다양성과 표출성, 그것의 의미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생활양식의 다양성을 통해 사회변화의 의미를 읽어내고, 생활양식의 문화적 지형을 살펴야 할 것이다.
  • 영문
  • I have studied in my doctor-arbeit about lifestyle analysis as a approach to explain fast social-structural change. I stressed that social-structural approach such as existing class-analysis can not properly deal with reality of 'diversification', 'destructuring' and 'individualization'. In particular dealt I with controversy about lifestyle in Germany. And I would here apply study-result in Germany to Korea.
    Charter 2 started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Here arranged I the evolution and controversy of lifestyle in Germany, and the theoretical stream about consumption.
    Charter 3 dealt with critically class study in Korea as a development of the argument about consumption culture in Korea. The class study in Korea dealt with also resent the existing state of consumption culture.
    Chapter 4 dealt with concretely the charter of consumption culture in Korea, and the charter of lifestyle in Korea. The lifestyle in Korea diversified much with time, but alternative lifestyle is not found yet in comparison to German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자는 박사학위논문에서 현대사회의 급속한 사회구조적 변동을 설명하기 위한 한 접근으로 생활양식분석을 다루었다. 기존의 계급분석과 같은 사회구조적 접근으로는 다원화, 분화, 탈구조화, 개인화되고 있는 현실을 적절히 다룰 수 없음을 밝혀보았다. 급속한 사회구조적 변동과 함께 맞물려 있는 개인행위자들의 정체성 및 가치양식의 혼란을 다양한 각도에서 이해하기 위한 효과적인 접근으로서 생활양식분석을 대안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우리보다 먼저 근대의 모순문제가 나타나고 있는 독일사회에서의 논쟁을 통해 사회변동의 방향과 생활양식분석의 유의미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독일학계에서 이루어진 사회구조논쟁과 생활양식분석의 연구성과를 한국사회의 변동에 적용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위논문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한국사회의 구조적 변동을 소비문화의 변화와 관련지어 생활양식접근의 가능성과 현실성을 구체적으로 모색해보려는 것이다.
    본 연구의 제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독일에서 생활양식연구의 발전과 흐름을 정리하는 한편, 소비문화에 대한 이론적 흐름을 정리하려고 한다. 소비문화의 쟁점은 소비주체의 소비가 어디까지 자유를 표현하는 것인지 혹은 어디까지 상품관계에 의한 제약인지를 구별하는 것이다. 최근의 흐름은 제약보다는 자유의지의 표현 쪽에 무게를 싣고 있다. 즉 소비 자체보다 소비자의 문제가 핵심이다. 그리고 소비의 문화적 의미의 핵심은 이미지표출에 있다. 소비는 단순히 상품을 소비하는 것을 넘어 개인의 가치를 어떤 식으로든 표출하는 것이다. 즉 소비는 생활양식을 표현한다.
    제3장 ‘한국사회에서의 소비문화 논의의 발전’에서는 먼저 한국사회에서 이루어진 계급 및 계층분석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그래서 한국사회에서도 계급 및 계층분석에서 소비 및 문화분석으로 논의의 중심이 이동하고 있음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것은 물론 한국사회가 전형적인 산업사회적 모습에서 소비생활양식이 전체 사회체계의 조직원리로 기능하게 된 변화의 모습 때문이다.
    제4장 ‘한국사회의 소비문화와 생활양식분석’에서는 구체적인 경험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사회에서 나타나는 소비문화의 특징과 생활양식연구의 현재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한국사회에서의 소비문화의 구체적인 특징은 여전히 사회경제적 변수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그렇지만 중간계층과 젊은층을 중심으로 다원화된(탈계급적) 소비의 모습도 점차 많이 나타나고 있다. 다음으로 소비양식과 생활양식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를 활용하여 한국사회에서의 생활양식의 특징을 이해하려고 한다. 생활양식의 유형화보다는 생활양식의 다양성과 표출성, 그것의 의미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생활양식의 다양성을 통해 사회변화의 의미를 읽어내고, 생활양식의 문화적 지형을 살펴야 할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한국사회에서의 소비문화의 구체적인 특징은 여전히 사회경제적 변수에 큰 영향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그렇지만 중간계층과 젊은층을 중심으로 다원화된(탈계급적) 소비의 모습도 점차 많이 나타나고 있다. 소비영역에서 계급간의 차이가 발견되는 측면도 많지만 동시에 계급간의 차이가 발견되지 않는 측면도 많이 나타난다. 이것을 개인적인 취향(무계급적) 혹은 계급집단적인 취향으로 구별할 수 있는가의 문제가 있지만, 어쨌든 계급환원주의적 시각만으로는 소비양식에서 나타나는 개인들의 다양한 취향구조를 분석하기 어렵다. 그렇지만 개인들은 소비양식의 유사성을 통해 동일한 계급의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을 느끼는 동시에 유사한 사람들 사이의 연대감이 확산되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소비양식은 계급적인 정체성의 기반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한국사회에서는 소비양식이 급속히 변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산업화과정에서 급속한 계급이동을 경험한 한국사회에서 중년층 이상의 세대에게 계급간의 경계는 끊임없이 변화해가는 유동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모든 변화는 현재 한국사회의 중년층 이상의 사람들에서는 한 개인의 생애 안에서 일어난 것이다. 따라서 모든 것이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안정되고 고착화된 취향을 구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럴수록 한국사회에서 소비양식은 개인이든 계급이든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 혹은 표현하는 강력한 수단이 되고 있다. 사회집단은 생산양식이 아니라 소비양식에 의해서 특징지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소비의 사회에서 개인 및 집단의 행위는 생활양식으로 표출된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라이프스타일 조사에서 나타난 한국인의 라이프스타일의 특징을 몇 가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소비의 사회에 어울리는 특징으로 라이프스타일의 다양성이다. 소득수준별 혹은 계층간 차이와 남녀간 차이, 그리고 세대별 차이도 두드러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라이프스타일 조사는 무엇보다 1318세대까지 포함하여 조사함으로써 생활양식의 다원성과 미래 전망을 예측할 수 있게 해 주었다. 그런 의미에서 라이프스타일 연구는 비록 평면적이기는 하지만 사회구성원 거의 모두를 조사하고 설명할 수 있다는 장점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소비의 고도화에 따른 라이프스타일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서구에서와 같은 ‘탈물질주의적 가치’ 혹은 대안적 가치를 지향하는 라이프스타일은 아직 크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한국사회의 라이프스타일의 다양성이 다양하지 못할 수도 있는 측면이다. 한국사회의 다양성은 전반적인 소득수준의 향상과 사회기술적 상황의 변화에 따른 ‘경제적-물질적’ 다양성에 기반한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계층간 라이프스타일의 투쟁은 잘 나타나고 있지만, 대안가치를 둘러싼 라이프스타일의 정치는 아직 운위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구조의 급속한 변동과 라이프스타일의 다원화는 새로운 가치지향과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창출할 것임이 분명하다.
    본 연구는 우선 최근 생활상태나 일상생활세계, 소비문화 등을 연구하는 데 더욱 기여하는 바가 많을 것이다. 이러한 사회학적 생활양식연구의 소개는 한국의 학계에 신선한 자극과 앞으로의 논의에 도움을 줄 것이다. 특히 산업사회학, 문화 및 소비사회학, 이론사회학에, 그리고 계급 및 계층분석 등의 세련화에 기여할 것이다.
    동시에 소비문화이론의 흐름에 대한 정리도 학계에 많은 기여를 할 것이다. 한국에서도 이제 막 소비문화에 대한 사회학계의 관심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본 연구는 소비문화에 대한 최신의 이론들을 검토하고 한국사회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모색할 것이기 때문에 관련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많을 것이다.
  • 색인어
  • 생활양식, 라이프스타일, 소비, 소비문화, 소비양식, 소비자, 계급 및 계층, 중간계급, 사회변동, 정체성구성, 상징적 구별 및 투쟁, 다원화, 탈구조화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