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712&local_id=10012848
고려 궁중연희의 공연미학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고려 궁중연희의 공연미학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최윤영(성신여자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078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6월 25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고려 궁중연희의 공연미학 연구"는 송악산을 진산(主山)으로 하는 개경의 궁중을 중심으로 고려시대 연희되었던 공연양식들의 특성들을 고구함으로써 그 동안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던 중세 공연예술의 미학적 체계들을 정립하는 것에 그 연구의의를 두고 있다. 한민족 예술사에서 고려시대는 연극을 비롯하여 음악, 무용, 문학, 미술, 건축 등 다양한 예술분야가 서로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상호간의 발전을 모색하던 시기로 매우 독특한 문화체계를 구가했던 시기이다. 특히 고려 궁중을 대표하는 의례이자 축제였던 '仲冬八關會' '上元燃燈會' 大儺'라는 거대한 산맥들은 고려시대 연극사 형성에 막대한 영향을 주었음에도 불구하고 공연사적 관점에서의 구체적인 탐색작업이 부족하였다. '중동팔관회' '상원연등회'와 같은 대규모 궁중행사시에 연출된 山臺雜劇과 같은 독특한 공연양식은 고려시대 연극을 대표하는 것으로 그 명칭만 존재할 뿐 면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중동팔관회' '상원연등회' '대나'에서 연희된 가무백희의 공간과 레퍼토리, 연희자들을 중심으로 고려 궁중연희의 공연미학을 규명함으로써 한국 중세 공연문화의 전통을 창출하고 있다. 궁중이라는 제한적 공간에서 연희된 공연양식들을 정리하고 이들의 특성을 고찰함으로써 궁중연극이라는 새로운 공연장르를 수립하고 공연에 나타난 미학적 원리들을 도출함으로써 고려시대 연극을 비롯 한국 중세 공연문화사 연구에 정체성을 확립시키고자 한다. 고려시대 궁중연희의 공연미학 연구는 한국 중세 공연미학에 대한 새로운 학문적 담론을 체계화시킬 것은 물론이고 연극학을 비롯하여 무용, 음악, 미술, 건축 등 인접학문의 후속연구에도 신선한 자극을 줄 것으로 여겨진다. 나아가 21세기 한국연극이 지향해야할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영문
  • "A Study on aesthetics characteristics of Koryo Dynasty's royal performance" is the royal performance during Koryo Dynasty has been studied to set up the aesthetical system especially by characterizing the performance in the capitol of Koryo Dynasty, Gaegyoung. Various art fields such as music, dance, literature, painting, architecture as well as theater were strongly correlated and explored ways to develop one another, which is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yo Dynasty. The representative royal performances and festivals, Jung-Dong-Pal-Gwan-Hoe(仲冬八關會) and Sang-Won-Yeun-Deung-Hoe(上元燃燈會), Dae-Na(大儺) gave strong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performance through Koryo Danasty, however, they do not have been studied yet intensively from the view point of performance history.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Jung-Dong-Pal-Gwan-Hoe(仲冬八關會) and Sang-Won-Yeun-Deung-Hoe(上元燃燈會), Dae-Na(大儺) mainly by studying the stage, repertory, actors of the performanc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고려 궁중연희의 공연미학 연구"는 고려시대 궁중연희를 대표했던 '仲冬八關會' '上元燃燈會' '大儺'의 가무백희 행사를 중심으로 이들 가무백희 공연에 나타난 미학적 원리들을 고찰하는데에 있다. 본 연구과제에서는, 특히 '중동팔관회' '상원연등회' '대나'의 가무백희 공연공간과 공연시기를 중심으로 이들 요소들이 '공간연출과 레퍼토리, 연희자들 구성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고찰하고 있다. 그동안 한국연극사에서 공연미학에 관한 부분은 연구성과가 절대적으로 부족하였던 사항으로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중세연극의 공연미학적 체계들을 정리하였다. 중세사회에서 궁중이라는 공간은 寺院과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려 궁중연희의 보다 구체적 연구를 위해 궁중과 함께 중세 공연문화를 지탱하였던 또 다른 한축, 곧 사원에서 공연된 가무백희 행사들을 함께 참고하였다. '중동팔관회' '상원연등회' '대나'의 가무백희 행사를 통해 고려시대를 대표했던 공연레퍼토리들이 집결되었고, 이로써 배우집단과 무대양식의 기술적 측면들, 공연관기기구 등의 지속적 발전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고려궁중은 이러한 축제행사들의 중심지로서 의례와 악이 실현되는 공간이었다. 의례의 공간이자 동시에 놀이공간으로 폐쇄와 개방이라는 양면적 상징성을 함포하고 있다. "고려 궁중연희의 공연미학 연구"는 '중동팔관회' '상원연등회' '대나'의 가무백희 공연을 통해 이들 공연에 나타난 미학적 원리들을 탐구하고 규명함으로써 한국 중세 공연미학 전통을 확립시키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고려 궁중연희의 공연미학 연구는 고려사회 중심에 자리했던 '중동팔관회' '상원연등회' '대나'의 가무백희를 거점으로 한국 중세연극의 미학적 원리들을 정립하는데에 있다. 본 연구를 통해 臺와 場의 대립적 미학원리와 채붕(산대)의 미학, 공음공식, 곡선의 미학, 동시다발성과 스펙터클의 창출, 영속적 시공간 등과 같은 공연미학들이 도출되었다. 이렇게 본 연수과제에 의해 체계화된 궁중연희의 미학적 원리들은 학문적 그리고 교육적 측면에서 파급적 효과를 가져다줄 것으로 여겨진다. 먼저, 학문적 측면에서 볼 때, 그동안 한국연극에서 고려시대는 활발히 연구되지 않았던 분야로 고려시대 연극을 비롯하여 무용, 음악, 미술, 복식, 건축 등 인접학문의 후속연구에 학문적 자극을 줄 뿐만 아니라 고려시대를 포함한 한국 중세 연극사 연구에도 새로운 학문적 담론을 생성할 것으로 여겨진다. 다음으로 교육적 측면에서의 활용방안이다. 현재 대학교 연극학과에서 한국연극사는 대부분 1학기 수업으로 진행되며,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방대한 범위가 1학기에 정리되어야하는 어려움을 안고 있다. 나아가 한국 중세연극에 대한 전문적 교육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고려 궁중연희의 공연미학 연구"를 토대로, 앞으로 진행될 본 연구자의 활발한 학술적, 교육적 활동(강의) 등은 한국연극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전환시키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교육적 활용가치를 상승시킬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색인어
  • 고려시대(Koryo Dynasty), 중동팔관회(Jung-Dong-Pal-Gwan-Hoe), 상원연등회(Sang-Won-Yeun-Deung-Hoe), 대나(Dae-Na), 가무백희 공간(GaMuBaekHi's space), 궁중(The royal palace), 사원(Temple)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