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730&local_id=10011889
격 허가 기제와 의미역 위계 순서에 관한 한국어와 여타 언어 간의 비교 연구 -생성문법의 관점에서- (Comparative Studies on Case licensing mechanisms and Thematic Hierarchy between Korean and other languages in the perspective of Generative grammar)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102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7월 1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국어에서 보이는 5가지 격 허가 기제(명사 포합, 보조사 첨가, 어휘격 허가, 구조격(의존격, 자립격) 허가 )와 의미역 위계가 일본어와 중국어에서는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피고자 한다. 연구 결과 5가기 격 허가 기제는 일본어와 중국어에서도 거의 모두 확인되었으며, 일본어는 한국어와 동일한 의미역 위계성을 지니고 중국어는 영어와 흡사한 의미역 위계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의의를 가진다.
    첫째, 한국어에 나타나는 5가지 격 여과 회피 기제가 고립적이고 특이한 것이 아니라 적어도 한국어와 인접한 일본어나 중국어에서 모두 관찰되는 유용한 격 허가 기제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제들은 보편문법적인 관점에서 좀 더 넓고 깊이 체계적으로 계속 연구해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어의 주요한 특이성으로 고려되어 온 격 중출 구문은 더 이상 한국어만을 고립적인 성격이 아니라 일본어와 특히 중국어에서도 발견되는 현상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문론적 특성은 보편문법의 이론이 충분히 설명해 줄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의미역 위계성은 범언어적으로 획일적일 것이라 주장되어 왔지만 적어도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영어를 비교해 볼 때 재고의 여지가 충분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특히 인구어들과의 비교를 통해서 그 성격이 더욱 확실히 밝혀질 필요가 있다.
    넷째, 의미역 위계성을 바탕으로 한 한국어와 일본어의 주체 경어법 구명은 매우 희망적으로 보인다. 이는 그동안 양국의 언어에서 가장 특징적이고도 설명하기 어려운 것으로 꼽아 온 주체 경어법에 대해 획일적이고도 합리적인 설명의 방향을 제시해 주는 것일 뿐만 아니라 문법론에서 의미역의 역할이 실제적으로 어떻게 중요하게 작용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 영문
  • Korean has 5 kinds of Case licensing mechanisms: Noun Incorporation, Postposition addition, Lexical Case assignment, and Structural Case(Dependent Case and Independent Case) assignment. On this basis, I research whether they exist in Japanese and Chinese as well. According to my Ph.D. thesis, Korean has its own thematic hierarchy. From the same point of view, I also investigate the thematic hierarchies of Japanese and Chinese. In the result of these studies, I concluded Japanese and Chinese almost have 5 kinds of Case licensing mechanisms in Korean and they have their own thematic hierarchies respectivel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핵심 논제는 격 허가 기제와 의미역 허가 기제에 있어서 한국어를 중심으로 일본어와 중국어를 비교 연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보편문법의 원리를 점검하고 확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목적으로 한 세부 연구 주제는 다음과 같이 도식화된다.

    (1) 격 허가(=격 여과 회피) 기제에 관한 세부 연구 주제(Ⅰ)
    가. 중국어와 일본어에 [명사포합]에 의한 격 여과 회피 현상이 보이는가
    나. 중국어와 일본어에 [보조사 첨가]에 의한 격 여과 회피 현상이 보이는가
    다. 중국어와 일본어에 [어휘격 할당]에 의한 격 여과 회피 현상이 보이는가
    라. 중국어와 일본어에 [의존격 할당]에 의한 격 여과 회피 현상이 보이는가
    마. 중국어와 일본어에 [자립격 할당]에 의한 격 여과 회피 현상이 보이는가
    (2) 격 허가 기제에 관한 세부 연구 주제(Ⅱ)
    가. 한국어의 5가지 격 여과 회피 기제 가운데, 중국어와 일본어에서 관찰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나. 한국어의 5가지 격 여과 회피 기제 이외에, 중국어와 일본어에서 새롭게 관찰되는 것은 무엇인가
    (3) 의미역 위계에 관한 세부 연구 주제(Ⅰ)
    가. 중국어에서 관찰되는 구체적인 의미역 위계는 무엇인가
    나. 일본어에서 관찰되는 구체적인 의미역 위계는 무엇인가
    (4) 의미역 위계에 관한 세부 연구 주제(Ⅱ)
    가. 의미역 위계에서의 중국어와 한국어 비교 결과
    나. 의미역 위계에서의 일본어와 한국어 비교 결과
    다. 의미역 위계에서의 중국어와 일본어, 한국어의 비교 결과

    (1~2)는 격 허가와 관련된 사항이고, (3~4)는 의미역 위계와 관련된 항목이다. 전자와 관련해서는 우선 (1)의 5가지 항목별 연구를 진행하였다. 즉, 일단 한국어에서 보이는 5가지의 격 여과 회피 기제가 일본어나 중국어에서도 확인이 되는가를 일일이 살펴보았다.
    최종적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우선 한국어와 유형론적으로 매우 가까워 보이는 일본어는 한국어에서 발견되는 (1)의 다섯 가지 항목 모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유형론적으로 한국어와 매우 달라 보이고 격 표지와 같은 문법소들마저 외현적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중국어에서도 보조사를 제외한 거의 모든 격 여과 회피 기제가 분명히 존재함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었다. (2나)는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의 연구 과제로 남게 되었다. 5가지 기제의 확인만으로도 벅찬 감이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편, 의미역 위계와 관련하여서는 일본어와 중국어의 어순제약을 통해서 그들 각각의 의미역 위계의 개략적인 윤곽을 면밀히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문헌에 나타난 자료들뿐만 아니라, 개별 언어의 모어화자로부터 면접 질문을 통하여 원하는 자료를 추출해 내는 과정을 거쳤다. 그 연구 결과 매우 놀랍고 고무적인 연구 성과를 거둘 수 있었는데, 그것은 다름 아닌 의미역 위계성과 경어법의 상관성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자세히 말하면, 본인은 박사학위논문에서 기존의 연구들과 달리, 한국어의 주체 경어법은 한국어의 의미역 위계성에 의해 통제되고 있다고 주장했는데, 이러한 설명이 일본어에도 거의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어법이라는 통사 현상이 의미역 위계성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는 제안이 한국어뿐만 아니라 일본어에서도 그대로 확인된다는 점은 매우 놀라운 발견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자가 한국어를 대상으로 제안한 이론이 일본어를 통해 보편성을 확득하게 된 것이다. 물론 이를 더욱 확실히 하기 위해서는 좀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사실상 현재까지 본인이 확인한 자료만으로도 필자의 그와 같은 주장을 뒷받침하기에는 부족함이 없다고 판단된다. 이는 최종 연구 결과 보고에서도 본인이 언급할 수 있는 연구 성과 가운데 가장 값진 것이며, 아마도 본인의 박사후 연수의 전 과정을 통틀어서도 가장 값진 연구 성과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 결과의 의의와 향후의 연구 과제 등을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에 나타나는 5가지 격 여과 회피 기제가 고립적이고 특이한 것이 아니라 적어도 한국어와 인접한 일본어나 중국어에서 모두 관찰되는 유용한 격 허가 기제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제들은 보편문법적인 관점에서 좀 더 넓고 깊이 체계적으로 계속 연구해야 할 부분이다.
    둘째, 한국어의 주요한 특이성으로 고려되어 온 격 중출 구문은 더 이상 한국어만을 고립적인 성격이 아니라 일본어와 특히 중국어에서도 발견되는 현상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문론적 특성은 보편문법의 이론이 충분히 설명해 줄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의미역 위계성은 범언어적으로 획일적일 것이라 주장되어 왔지만 적어도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영어를 비교해 볼 때 재고의 여지가 충분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특히 인구어들과의 비교를 통해서 그 성격이 더욱 확실히 밝혀질 필요가 있다.
    넷쩨, 의미역 위계성을 바탕으로 한 한국어와 일본어의 주체 경어법 구명은 매우 희망적으로 보인다. 이는 그동안 양국의 언어에서 가장 특징적이고도 설명하기 어려운 것으로 꼽아 온 주체 경어법에 대해 획일적이고도 합리적인 설명의 방향을 제시해 주는 것일 뿐만 아니라 문법론에서 의미역의 역할이 실제적으로 어떻게 중요하게 작용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의 네 가지 연구 의의와 향후 연구의 방향은 본인의 앞으로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계속적으로 추구될 것이다. 네 가지 연구 모두 관련된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는 연구로서 인정되리라 확신한다. 연구 결과를 좀 더 보강하여 모두 국내외의 유수한 학회나 학술지에 발표할 계획이다. 특히 네 번째의 연구는 본 연구 과정을 통해 얻게 된 획기적인 성과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앞으로 순수 이론적인 차원에 머물지 않고 외국어 교육과 자연언어처리 등에서도 활발히 인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먼저 외국어 교육과 관련하여 네 가지 성과 모두는 한국어와 일본어, 중국어의 교육에서 중요한 교차점으로 교육될 수 있다. 5가지 격 여과 회피 기제나 의미역 위계에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한국인이 일본어나 중국어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나 일본인이 혹은 중국인이 한국어를 배우는 데 있어서 학습을 용이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자연언어처리에서도 어순 정보가 중요하다. 논항이 어휘격으로 실현될 경우와 구조격으로 실현될 경우, 보조사를 가지고 나올 경우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를 예측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문장 단위의 자연언어처리에서 매우 중요하고도 유의미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한국어와 중국어, 일본어를 대상으로 한 이와 같은 연구는 인구어와 같은 다른 유형의 언어들과의 비교를 통해서 거시적인 차원에서 계속 연구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세계의 문법지도를 그릴 수도 있을 것이다. 즉, 5가지 격 여과 회피 기제의 존재 여부와 의미역 위계를 구성하는 의미역들 간의 위계 순서를 가지고 세계의 언어들 간에 존재하는 문법적인 유형론을 체계적으로 논의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Korean, Japanese, Chinese, Binding, Case, Case filter, Case-marker, Checking Theory, Dependent Case(≒Non-default Case), Independent Case(≒Default Case), Inherent Case, Lexicon-Syntax Interface, Nominal predicate, Noun Incorporation, Noun Phrase, Postposition, Semantic Function, Structural Case, Subject-honorification sentence, Syntactic Function, Thematic Hierarchy, Thematic(θ)-role Filter, Universal Grammar, Visibility condition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