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743&local_id=10011544
북한 정권의 기원과 북한 문학 전개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북한 정권의 기원과 북한 문학 전개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김명신(Univ. of Chicago )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109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5월 26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This article is focused on the correlation of the origin of North Korean government and the development of North Korean literature. To begin with, I trace of the arguments of the origin of Korean war and the reasons because this debate make the understanding of the North Korean society possible. Meanwhile, I investigate the proletariat literary movement and anti-Japanese revolutionary movement. These two literary traditions of the North Korea are very important to approach to the core of the North Korean society. Simultaneously I investigate novelist Han sorya’s works and his literary path in North Korea and the development of JUCHE[reliance]theory in the North Korean literature.
    북한정권의 기원과 북한문학 전개과정의 상관성 연구를 위해서는 식민지 시대와 해방 전후를 관통하는 광범위한 역사적, 사회과학적 통찰력이 요구된다. 항일혁명전통과 그것의 문학적 형상화로서의 항일혁명문학의 전통은 북한 사회에서 가히 절대적이다. 북한 사회와 북한 문학에서 항일혁명전통에 입각한 대중노선이 기본적 노선으로 수렴되고 있음과, 문학에서의 혁명적 영웅상에 대한 구현은 맞물려 나타나는 현상이다. 주체이론은 이러한 대중노선에 근거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그렇다면 이런 주로 구전에 의거한 항일혁명의 문예적 전통과 식민지 시대의 대표적 인텔리겐차의 운동인 프로문학운동은 어떻게 병행할 수 있는가.
    격렬한 반종파 투쟁과 그에 이은 숙청의 역사가 보여주는 북한 사회의 특징은 주체의 이론이 정립되어 나가면서 보다 명확해진다. 찰스 암스트롱은 <The North Korean Revolution,1945-1950>에서 북한 사회의 유연성과 탄력성은 바로 만주에서의 항일투쟁 경험과 같은 역사적 유산에서 비롯되고 있으며, 이런 유산은 식민지 시대의 대중동원이나, 조선 왕조 초기의 유교화 (Confucianization) 정책 등에서 나타나는 엄격한 위계질서(hierarchical structure) 에서도 보여지는 것으로, 북한 사회의 핵을 이루는 확대된 가족을 기반으로 한 국가 체제 및 어버이 수령의 형상은 바로 이러한 역사적 유산을 계승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평가는 그의 논의가 그 동안의 북한사회 연구에 대한 국내외의 광범위한 성과를 바탕으로 한 이 분야의 가장 최근 저작임을 감안할 때 그 중요성을 획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북한 주체 철학의 핵심을 이루는 수령의 형상이나, 군사동원을 포함한 광범위한 대중동원, 혹은 그것의 대중적 노선은 이미 항일 혁명 투쟁이나 조선 건국과 같은 한국의 혁명적 전통(native Korean revolution)에서 그 단초를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북한 정권이 그러한 기원을 내포하고 있다고 했을 때, 북한 문학에서의 두 흐름인 항일혁명문예전통과 프로문학의 전통이 어떤 식으로 북한 사회내에서 자리매김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본 연구의 중요한 과제의 하나이다. 북한의 문학사를 보면 프로문학의 전통을 일정하게 인정하고 평가하는 입장에서 그것이 항일혁명의 문예전통으로 귀속 흡수되었다가 다시 부르조아적 문예운동으로 매도되었고, 다시 최근에 카프문예운동에 대한 긍정적 재평가를 시도하는 방향으로 바뀌는 일련의 흐름을 갖는다. 이러한 서술의 심한 굴곡이나 변화는 북한의 문학사들이 사회의 변화에 따른 각기 다른 기술방법을 갖음으로써 작품과 작가에 대한 평가도 달라지고 있는데서 명확히 드러나고 있다. 이른바 3대 고전적 불후의 작품들의 근본적 토대는 항일혁명전통이라 할 수 있는데, 여기서 주목할 것은 과연 식민지 시대 프로문예운동이 항일혁명문학의 전통으로부터 일정하게 영향을 받았던 것인가 그리고 과연 항일혁명문예 전통의 역사적 사실성은 어디까지인 것인가 항일 혁명문학이 갖는 대중성은 오늘날의 주체사상 및 북한 사회에서 보여주는 대중성과 어떤 공통점과 차별성을 갖고 있는가 이것이 본고가 목표로한 연구의 핵심이다.

  • 영문
  • This article is focused on the correlation of the origin of North Korean government and the development of North Korean literature. To begin with, I trace of the arguments of the origin of Korean war and the reasons because this debate make the understanding of the North Korean society possible. Meanwhile, I investigate the proletariat literary movement and anti-Japanese revolutionary movement. These two literary traditions of the North Korea are very important to approach to the core of the North Korean society. Simultaneously I investigate novelist Han sorya’s works and his literary path in North Korea and the development of JUCHE[reliance]theory in the North Korean litera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과제는 북한 정권의 기원과 북한 문학 전개의 상관성 규명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사건이었던 한국전쟁의 본질규명과 이를 둘러싼 논의를 고찰한다. 한국 전쟁의 성격과 그 주체가 누구인가는 한국전쟁의 성격과 본질에 대한 규명을 위해서만이 아니라, 한국 현대사의 이해를 위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전쟁의 주체가 누구인가에 대한 이해, 그리고 전쟁 이후 북한 사회 혹은 남한 사회의 전개가 자신의 이데올로기를 어떻게 관철시켜나가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곧바로 정권의 기원과 문학의 상관성에 올바르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핵심적 요소가 된다. 이들 현대사 연구의 주요 논쟁들에 대한 탐구가, 주체의 문학이론 및 문학에서의 수령의 형상화 문제라는 주체의 정립화 과정에 대한 이해와 연계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본고는 한국전쟁의 기원에 대한 고찰을 필두로 북한 정권의 기원과, 그것의 이론적 정립을 위해 동원되는 북한 문예의 이론적 정초 및 문학의 전개 양상을 살펴본다. 북한 문학의 두 흐름인 프로문학운동과 항일혁명문학의 전통의 정신적 지향과 특질을 규명하고, 그것이 북한 문예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고찰한다. 궁극적으로는 혁명적 낙관주의를 기반으로한 미학과 정치의 결합의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프로문예운동에 참여했던 작가 한설야의 정치적 도정, 전쟁 직후 북한 문학 건설 수립과 주체사상의 정립화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주도했던 한설야의 작품과 행로를 통해 북한 사회 문화가 보여준, 미학과 정치의 공고한 결합의 양상을 살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본 연구수행 과제는 북한의 역사와 문학, 정치와 문화를 아우르는, 우리 사회의 가장 긴요하고 절박한 연구과제의 하나라는 점에서 그 기대효과는 클 수밖에 없다. 급격히 변화하는 세계 정세 속에서 북한 사회의 추동력을 북한 정권의 기원과 그것의 창출과정에서 결정적 역할을 담당한 북한 문학 전개과정에 대한 심층적이고도 포괄적인 연구를 통해 우리 사회의 역사적 자화상을 그려내고 심화된 남북한의 이질성의 간격을 좁혀갈 수 있는 단초를 제시할 수 있다.
    둘째, 또한 본 연구과제는 남북한을 위시한, 우리 사회의 문학적 전망과 혹은 그것의 부재의 길목에서 풍부한 문학적 상상력의 세계를 통해 현실개혁의 의지를 불태웠던 프로문학인들의 문학적 행로와 그 굴절의 역사를 밝혀냄으로써 망각되었던 역사와 문학의 한 부분을 복원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는 점에서 그 기대효과도 클 수밖에 없다.
    셋째, 본 연구과제는 북한 사회와 북한 문학을 거부할 수 없는 우리의 또다른 실체임을 인식하고, 북한 사회와 북한 문학에 대한 이해의 수준을 높힘으로써 통일을 대비하여 문화적 이질성을 좁혀나갈 수 있는 한 길을 제시할 수 있다. 그리하여, 단절되고 고착화된 냉전의 틀을 버리고, 우리 사회의 공생의 길을 모색해가는 한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다.
    넷째, 그동안 북한 문학의 연구는 남한사회의 시각이라는 프리즘을 통해 관찰되어왔는데, 북한문학을 사회 내적 동인에서 추적해나감으로써 북한문학의 기원과 북한 정권의 기원을 탐색해나가고, 남북한의 동일한 문학적 기원의 한 축을 식민지 시대의 프로문학운동에 둠으로써 통일시대를 대비한 남북한 문학사의 접점을 찾아낼수 있다고 본다.
    다섯째, 북한 문학만이 아니라, 한국문학 전반이 서구학계에서 아직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는 단계임을 고려할 때, 미개척 분야인 북한문학의 기원에 대한 연구나 본 연구과제가 포함하는 항일혁명문학, 혹은 프로문학론에 대한 연구는 이 분야에 대한 심층적 이해의 길을 열어놓을 수 있다. 더구나, 영어권을 대상으로 한다고 했을 때, 한국문학이 그동안의 고립성과 폐쇄성을 벗어나서 전세계적 보편성과 민족적 특수성을 획득한 문학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중차대한 과제이자 귀중한 기회가 됨으로써, 북한 사회만이 아닌 한국에 대한 전반적 이해가 부족한 세계인들에게 한국의 문화적 유산과 아이덴터티를 보여줄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그동안 국내 학자들끼리의 교류에만 머묾으로써 다분히 자민족중심의 폐쇄성과 강렬한 민족주의적 시각으로 인한 배타성을 일부분 노정하기도 했던 저간의 국내 학계 사정을 고려했을때, 이러한 효과는 배가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그럼으로써 한국문학의 세계화와, 한국학의 세계화라는 표어는 그 보편성과 실효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여섯째, 북한학에 관련된 저명한 학자들과의 학문적 유대 및 그들과의 심층적이고도 지속적인 학술토론을 통해 국제적인 안목을 키우고, 전세계적인 학문적 인적 넷워크를 연결시켜나감으로써, 차세대 한국학을 주도해나가는 학자로서의 핵심적 소임을 다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상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이 과제의 연수결과는 막대한 기대효과와 활용 가치를 창출해냄으로써, 북한 문학에 대한 이해만이 아니라, 통일시대를 대비하여 북한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높이고, 실질적인 남북의 화해와 공존을 모색하게 하는 이론적 바탕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주체문학, 주체철학, 수령, 대중노선, 한국전쟁의 기원, 혁명적 낙관주의, 혁명적 전통, 종자론, 프로문학운동, 항일혁명문학, 유일사상, 인텔리겐차, 미학, 정치, 민족문학운동,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