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748&local_id=10010672
일제 말 흥망사 이야기와 '타락'의 표지들에 관한 연구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일제 말 흥망사 이야기와 & #39;타락& #39;의 표지들에 관한 연구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공임순(홍익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117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2월 02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다른 발표지면을 통해 고찰한 식민지 시대 흥망사 이야기에 관한 두 번째 개관이다. 앞선 논문에서 필자는 이광수의 󰡔마의태자󰡕와 유치진의 <개골산> 그리고 한상직의 <장야사>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번 논문의 주된 연구 대상은 백제를 둘러싼 공적 담론과 김동인의 장편역사소설 󰡔제성대󰡕이다.
    황기 2600년을 맞아 식민지 당국은 일본과 조선의 내선일체를 증명하는 가시적 조형물로 부여신궁 건설에 대대적으로 착수한다. 이를 기화로 고대사, 특히 백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다. 이런 공적 담론의 활성화와 더불어 본 연구는 흥망사 이야기가 어떤 방식으로 이런 공적 담론과 절합·결부되는지를 살폈다. 흥망사 이야기는 고대 왕조의 멸망을 성적 문란과 타락으로 형상화한다. 이 과정에서 여성 내지 여성적인 것은 고대 왕조의 멸망과 파국을 적시하는 구체적인 표상체가 된다. 여성 육체의 시각화와 타자화를 통해 김동인의 󰡔제성대󰡕는 후백제의 기원을 재설정하는 남성 주인공의 회귀형 성공담을 보여준다. 기원을 재설정하고 이로부터 혈연적이고 문화적인 계보를 재창조하는 일은 식민지 지배자의 내선일체 정책과 중층적으로 결합하여 김동인의 대표적 친일협력소설인 󰡔백마강󰡕의 단초가 되었다는 것이 본 연구의 최종 결말이다.
  • 영문
  • This is the second dissertation of serial studies on the prosperity and adversity histories(興亡史) produced in colonial Korea. While I examined Lee Kwang-Su's Mauitaeja(마의태자), Yoo Chi-Jin's Gaegolsan(개골산), and Han Sang-Jik's Jangyasa(장야사) in the first one, I focussed on the public discourses about Baekje and Kim Dong-In's Jesungdae(제성대) in this dissertation.
    In 1940, the 2600th year of origin of Japanese' emperor, the colonial government started to build the new palace of Puyo(부여) on a grand scale, where manifested the unification of Japan and Chosun as the visible construction. Following that, it had been highly increased that the interests about ancient times, especially Baekje. The prosperity and adversity histories interweaved with these public discourses represents the ruin of ancient countries as the depravity and corruption of sexual intercourse. And women and the female became the concrete configuration of the decline and ruin of ancient countries. Through the visualization and othering of female body, Kim Dong-In's Jesungdae(제성대) shows the regressive success story of male protagonist re-established the origin of Hubaekje(후백제). It was the clue of Baekmagang(백마강), the representative of pro-japanese novel by Kim Dong-In, that the reestablishment of origin and the re-creation of cultural genealogy joined together the policy of unification, 'Naesunilche'(내선일체).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is is the second dissertation of serial studies on the prosperity and adversity histories(興亡史) produced in colonial Korea. While I examined Lee Kwang-Su's Mauitaeja(마의태자), Yoo Chi-Jin's Gaegolsan(개골산), and Han Sang-Jik's Jangyasa(장야사) in the first one, I focussed on the public discourses about Baekje and Kim Dong-In's Jesungdae(제성대) in this dissertation.
    In 19@@, the 2600th year of origin of Japanese' emperor, the colonial government started to build the new palace of Puyo(부여) on a grand scale, where manifested the unification of Japan and Chosun as the visible construction. Following that, it had been highly increased that the interests about ancient times, especially Baekje. The prosperity and adversity histories interweaved with these public discourses represents the ruin of ancient countries as the depravity and corruption of sexual intercourse. And women and the female became the concrete configuration of the decline and ruin of ancient countries. Through the visualization and othering of female body, Kim Dong-In's Jesungdae(제성대) shows the regressive success story of male protagonist re-established the origin of Hubaekje(후백제). It was the clue of Baekmagang(백마강), the representative of pro-japanese novel by Kim Dong-In, that the reestablishment of origin and the re-creation of cultural genealogy joined together the policy of unification, 'Naesunilche'(내선일체).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논문은 2005년 12월 30일자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141호에 실렸다. "일제 말 흥망사 이야기와 타락의 표지들에 관한 연구"라는 제목으로 총 31쪽에서 56쪽에 이르는 논문이다. 이 논문은 2005년 6월 시학과 언어학회 [시학과 언어학] 9호에 실린 "식민지 시대 흥망사 이야기와 여성 육체의 시각화"라는 중간 예비 논문을 거쳐 최종 완성된 것이다. 이 논문들을 바탕으로 단행본을 계획하고 있다. 식민지 시대 여성들의 표상이 어떻게 식민권력과 서로 조우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예정이다. 흥과 망의 상대적 변별성을 통해 흥망의 메커니즘을 파악하는 일은 곧 식민지 시대 전체 메커니즘을 살펴보는 일 계기가 된다. 본 연구자가 연구 계획서에서 밝힌 것으로 이후 이 작업을 계속 수행해나갈 것이다.
  • 색인어
  • the Prosperity and Adversity Histories, 'Depravity', Puyo(부여), the Visualization of Female Body, Family Romance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