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성과물 유형별 검색 > 보고서 상세정보

보고서 상세정보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SD&m201_id=10006751&local_id=10010802
현대소설에 있어서의 도시공간의 시학
이 보고서는 한국연구재단(NR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이 지원한 연구과제( 현대소설에 있어서의 도시공간의 시학 | 2004 년 신청요강 다운로드 PDF다운로드 | 이수정(서울시립대학교) ) 연구결과물 로 제출된 자료입니다.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는 연구기간 종료 후 6개월 이내에 결과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사업유형에 따라 결과보고서 제출 시기가 다를 수 있음.)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연구과제번호 A00129
선정년도 2004 년
과제진행현황 종료
제출상태 재단승인
등록완료일 2006년 06월 29일
연차구분 결과보고
결과보고년도 2006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그 동안 ‘도시소설’에 대한 기존 연구들이 주로 도시가 주 배경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던 1930년대에 머물러 있는 현단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1960-70년대까지 작품의 대상과 시기를 넓혀 도시적 삶의 특성과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도시’라는 공간에 주목하는 이유는 이미 보편적으로 인식되듯이 이제 도시가 현대의 시`공간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과 가치기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변화하는 시기마다 하나의 문화적 담론을 형성하는 기저영역으로 비중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우선 사회시학적인 관점에 입각하여 우리 근대성의 상징인 도시공간의 인식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고, 도시적 삶에서 지각되는 현상과 징후들을 사회구조적`지형학적`생태학적`심리적`육체적 측면에서 해석해 보려고 하였다.
    1장에서는 도시인식의 배경을 도시발달사적인 면과 문학사적인 면에서 설명하고, 문학장르로서의 ‘도시소설’의 가치를 검토해 보았다.
    2장에서는 도시공간의 외형을 채우면서 도시의 위용을 드러내는 기표로서의 장소들(백화점, 기차역, 카페, 아파트 등)이 텍스트 내에서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인식주체 혹은 지각주체에 의해 재구성 된 공간임을 전제하여 그 서사적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도시공간이 지닌 흡인력과 파괴력의 양가성에 의해 인간의 욕망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도시적 욕망이 남성성/여성성의 성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양상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도시의 일상성에 주목하여 도시 일상의 반복과 권태가 끼치는 자기정체성의 위기와 일탈충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일상성을 묘사하고 인식하는데 중요한 매개행위가 되는 ‘걷기’혹은 ‘외출’이 내포하는 의미와 서사적 기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마지막으로 도시를 상징하는 이미지들의 패러다임을 짜봄으로써 어떻게 도시성을 환기하는 데 서사미학적 요소로 기능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텍스트와 더불어 현대인의 삶의 질과 가치관에 대해서도 되짚어보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는 ‘도시성’에 대한 앞으로의 통시적인 주제학과 시학적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의의를 지니리라 본다.
  • 영문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properties and aspects of the life in the city by extending the range and times of city novels up to the 1960s-70s, a further progression from the present stage where the existing studies on the city novels have been in a standstill focusing mainly on the 1930s in which cities appeared as a main setup. The reason why we pay attention to the space of 'cities' is that as universally recognized, now the cities not only have great influence on the life and value standard of those who live in the times and spaces of the modern times, but also gain gradual importance in the underlying domain in which cultural discourses are formed in times under change. In this respect, this study above all investigates the background of therecognition of city spaces, which are symbols of our modernit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poetics, and tries to interpret those phenomena and symptoms perceived in the urban life on the sociostructural-topographical-ecological-psychological-physical sides.
    Chapter 1 explains the background of the recognition of the city on the sides of urban-developmental history and literary history, and examines the values of 'city novels' as a literary genre.
    Chapter 2 presupposes that the places as significant(department stores, railroad stations, cafes, and apartments), which simultaneously fill up the exterior of the city space and reveal the magnificence of the city, are spaces reconstructed by cognitive or perceptive subjects rather than simply backgrounds in a text, and then examines their narrative functions.
    Chapter 3 investigates how the human desires are developed by the ambivalence of absorbing and destructive powers of the city space. This chapter also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the urban desires on the sex identity of male/female and its aspects.
    Chapter 4, focusing on the everydayness in the city, investigates the crisis of self-identity and the impulse of deviance triggered by the repetition of urban routineness and weariness. In particular, this chapter also explores the meanings and narrative functions that are contained in 'walking' and 'going out,' both of which are important intermediate activities in describing and recognizing everydayness.
    Lastly, chapter 5 investigates how the images standing for the city serve as narrative-aesthetic elements for awakening urbanism by setting up paradigms of these images. Also, this chapter tries to reconsider moderners' life quality and values with texts.
    This study will have significance in presenting the possibilities of further diachronic-thematic and poetic studies in urbanism.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그 동안 ‘도시소설’에 대한 기존 연구들이 주로 도시가 주 배경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던 1930년대에 머물러 있는 현단계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1960-70년대까지 작품의 대상과 시기를 넓혀 도시적 삶의 특성과 양상을 살펴보는데 있다. ‘도시’라는 공간에 주목하는 이유는 이미 보편적으로 인식되듯이 이제 도시가 현대의 시`공간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과 가치기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변화하는 시기마다 하나의 문화적 담론을 형성하는 기저영역으로 비중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우선 사회시학적인 관점에 입각하여 우리 근대성의 상징인 도시공간의 인식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고, 도시적 삶에서 지각되는 현상과 징후들을 사회구조적,지형학적, 생태학적, 심리적, 육체적 측면에서 해석해 보려고 하였다.
    1장에서는 도시인식의 배경을 도시발달사적인 면과 문학사적인 면에서 설명하고, 문학장르로서의 ‘도시소설’의 가치를 검토해 보았다.
    2장에서는 도시공간의 외형을 채우면서 도시의 위용을 드러내는 기표로서의 장소들(백화점, 기차역, 카페, 아파트 등)이 텍스트 내에서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인식주체 혹은 지각주체에 의해 재구성 된 공간임을 전제하여 그 서사적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도시공간이 지닌 흡인력과 파괴력의 양가성에 의해 인간의 욕망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도시적 욕망이 남성성/여성성의 성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력과 양상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도시의 일상성에 주목하여 도시 일상의 반복과 권태가 끼치는 자기정체성의 위기와 일탈충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일상성을 묘사하고 인식하는데 중요한 매개행위가 되는 ‘걷기’혹은 ‘외출’이 내포하는 의미와 서사적 기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마지막으로 도시를 상징하는 이미지들의 패러다임을 짜봄으로써 어떻게 도시성을 환기하는 데 서사미학적 요소로 기능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텍스트와 더불어 현대인의 삶의 질과 가치관에 대해서도 되짚어보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는 ‘도시성’에 대한 앞으로의 통시적인 주제학과 시학적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의의를 지니리라 본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본 연구과제는 기존의 연구가 1930년대에 편중된 것으로부터 확대해서 1970년대까지 범위를 넓혔기 때문에 여기서 분류기준으로 삼은 사회구조적`지형학적`생태적`심리적`육체적 측면에서 바라본 도시성 이외에도 다른 방식으로의 분류와 유형화 작업이 가능하리라 기대한다. 그것은 각 시대별로 독특한 주제가 추출될 수도 있고, 그에 따른 유형화도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지엽적이면서도 세밀하고, 문학사적으로도 연계성이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앞으로 이런 작업은 도시소설에 대한 통시적인 주제학으로서의 가치를 지닐 것이다.
    2. 장르론적인 관점에서 보면 본 연구는 보다 풍부한 텍스트들과 통시적인 맥락들로 ‘도시소설’이라는 장르적 위상을 확고하게 다지리라 본다. 이것은 근래에 들어 ‘소설가 소설’, ‘성장소설’ 등과 같은 하위장르들이 많이 생겨나고 입지를 굳혀가고 있는 데서도 알 수 있다. 더구나 도시는 현대의 삶의 양태와 직결된 공간으로서의 의미가 큰 만큼 다른 하위 장르들보다 다각적이고 비중있게 연구될 여지가 많다.
    3. 도시공간에 대한 인식은 서사텍스트를 이해하는 데 기본이 되는 공간 연구의 일환으로서 최근들어 재부상하고 있는 공간에 대한 다각적인 관심에 호응할 수 있는 연구가 된다. 이는 도시라는 공간이 거대한 규모만큼이나 가지각색의 삶의 모습들과 욕망들이 혼재하고 충돌하는 곳이므로 모더니즘적인 시각에서 뿐 만 아니라 다성적이고 역동적인 세계관을 지향하는 요즘의 페미니즘적, 포스트모더니즘적, 탈식민주의적인 관점에서도 매력적인 연구 대상으로 다루어질 수 있다.
  • 색인어
  • 도시소설, 도시성, 양가성, 일상성, 보행, 이미지, 주제학
  • 이 보고서에 대한 디지털 콘텐츠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 본 자료는 원작자를 표시해야 하며 영리목적의 저작물 이용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 또한 저작물의 변경 또는 2차 저작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